|
Q. |
brain OCT section slide 보관법 |
|
|
mouse whole brain을 '4% PFA -> 15% sucrose -> 30% sucrose'
후 OCT 하여 -80'c에 보관하였습니다.
이제 cryosection(24um)하여 슬라이드에 붙인 후 IHC-IF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하여야 하는 IHC antibody 종류가 많다보니,
section 후에 slide 상태로 보관 후에 IHC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아래와 같이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어떤 분은 slide에 올린 뒤 그냥 바로 -80'c에 넣어도 된다고 하시고,,, 조언부탁드립니다.
1) 자른 section을 slide에 올리기
2) PBS wash (5min X3)
3) Cold acetone (10min Fixation) -> 다 증발하면, deep freezer 보관
(2)보관 후 brain 붙은 slide 사용할때,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될까요..?
#RT에 놔두고 온도 안정화 à PBS wash (5min X3) è PAP PEN è 4%PFA로 고정
(3)딥프리져에 slide 보관 후, 이후에 다시 사용할때 60도 dry oven에서 1시간 baking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이것에 대한 의견도 궁금합니다.
바쁘신 시간 내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척척석사_ | 02.02 |
|
Q. |
cDNA 합성 전 rna 농도 |
|
|
제가 RT-PCR을 하려고 RNA을 뽑았습니다.
6-well에 6*10^5 cell/ml 로 시딩하고 처리하고 RNA를 뽑는 과정에 pallet이 매우 적어서 걱정을 했습니다.
cDNA 합성전에 RNA 농도를 측정하였는데
전에 동일한 조건으로 뽑았는데 400~600ng/ml 대로 나왔습니다.
그리고 cDNA 합성할때 농도를 1ml에 맞춰서 계산합니다.
근데 이번에 RNA 농도가 none이 77이 나오고 처리한 것들도 300ng/ml가 나왔습니다. 머가 문제일까요?....
cDNA 합성하게되면 계산을 해보니 none은 13ul를 넣어야하더라고요...
이렇게 해도되나요?... 아니면 다시 처음부터 해야되나요ㅜㅜ
|
|
oneday | 02.02 |
|
Q. |
transcription factor의 potential 관한 기본적인 질문입니다. |
|
|
JASPAR등과 같은 사이트에서 특정 gene에 대한 특정 Transcription factor의 binding을 prediction하면, 어떤 T.F A같은 경우에는 promoter 기준 전후로 굉장히 많은 prediciton site가 나오고 또 다른 T.F. B는 prediction site가 많지는 않지만 promoter 바로 앞부분에 위치한 prediction site가 나오는데요. 기초적인 것일 수도 있는데 문득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A가 이 gene에 더 potential한 T.F일지 혹은 B가 더 강력한 inducer일지가 궁금해졌습니다. 경우에 따라 다를 것 같긴 하지만, 둘 중 어느 것이 더 potential하다고 봐야할까요?
|
|
슈동 | 02.01 |
|
Q. |
western antibody |
|
|
안녕하세요
WB 할떄 1차 , 2차 안티바디 구분하는 법이 어렵습니다. ㅜㅜ
항체, 항원에 대한 개념과 1차 2차에 대한 개념이 있다고 하기엔 부족하고 없다고 하기엔 있는거 같습니다.
1차 항체 : A라는 동물에 target 단백질을 주사해서 만든 Ab
- 2차 항체 : B라는 동물에 A라는 동물의 IgG를 주사해서 만든 IgG
어떤 원리로 어떤 방법으로 1차 2차를 붙히는지는 알겠지만
예를 들어 actin을 확인하고자 하면 1차 안티를 anti- actin antibody in Rabbit 이라고 하면 2차 항체로 Rabbit lgG (HRB) 를 쓰는데
그러면 1차에 Rabbit를 쓰고 2차를 goat를 쓰면 안되는건가요??
1차를 rabbit을 쓰면 2차도 rabbit을 써야하는지 아니면 goat를써도 되는건지에 대한 개념을 못잡겠어요 ㅜㅜ
매번 누구한테 이렇게 쓰면 되냐고 물어볼수도 없고 공부할수 있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
|
AD석사생 | 02.01 |
|
|
Q. |
세포독성 흡광도 |
|
|
현재 세포독성실험만 10번은 진행했는데 흡광도가 자꾸 0.7~1.3 정도로 나옵니다ㅠ
L929셀을 96well plate에 1×10⁵개/well씩 깔고 다음날 검액 교체했습니다. 그리고 24시간 후에 EZ-cytox(WST assay) 10ul 처리해서 1시간 동안 CO2 incubator에 넣어뒀다가 흡광도 측정하는데요..
사수분은 항상 흡광도가 0.9~1.1 사이로 나왔고 실험실 프로토콜 상으로도 그 정도 범위에 들어가는 흡광도로 나와야 하는데 저는 암만 해도 그 정도로 안나오네요ㅠ
몇 번이나 실험 말아먹는 중인데 어떻게 해야 흡광도값이 일정하게 나올까요ㅠㅠ |
|
젤리빔 | 02.01 |
|
Q. |
희석 계산 질문 드립니다. |
|
|
저희 실험실에 NAD 시약 (Molecular Weight:663.43) 250mg이 있습니다.
저희가 필요한 stock의 농도는 100mM 인데 계산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질문 드립니다....
1M NAD로 만들어서 100mM로 만들면 되는건가요?
|
|
Illl!Ill | 02.01 |
|
Q. |
methanol에 녹인 ammonium acetate filter paper 종류 |
|
|
ammonium acetate를 0.5M이 되도록 methanol에 녹인 용액이 있는데요, 이를 필터해야해요..
어떤 필터지를 써야 필터지가 안녹고 필터가 될까요?ㅠㅠ PTFE mambrain filter는 ammonium acetate에 녹는거같고,
membrane filters mixed cellulose ester는 메탄올에 녹는거같은데..
찾아봐도 사용한 필터지 종류는 안나와요ㅠ UPLC에 쓸거라 0.2um로 필터하는데,
다른 논문들도 그냥 0.2um 필터지를 사용했다고만 나오고 정확한 종류가 안나온거같더라고요
제가 못찾은걸수도 있긴 하지만...ㅠㅠ |
|
생물으아악 | 02.01 |
|
|
Q. |
혹시 Pipette Washer 하는 바이오 랩이 있으신가요? |
|
|
저희 랩에서 세포 실험, 박테리아 실험, 클로닝 등등 다양한 실험을 합니다.
여러 실험에서 serological pipette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 cell 실험 외에 멸균된 새 serological pipette을 사용하지 말라고 하시더라고요.
cell 실험 외에는 pipette washer를 사용하여 세척된 serological pipette을 사용하라고 하십니다.
저는 세척된 serological pipette을 사용하면 contamination이 일어나지 않을까라는 걱정이 있습니다.
혹시 바이오 실험에서 pipette washer를 사용하여 세척된 serological pipette을 사용하신다면, contamination이 잘 일어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참고 URL
pipette washer: https://www.fishersci.se/shop/products/pe-pp-automatic-pipette-washers/10040991
pipette washer 사용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28b7VTQw_-s
|
|
말혀는곰마 | 02.01 |
|
|
Q. |
promega genome dna 추출이 안되는 이유가 있을까요ㅠ |
|
|
promega genome dna purification 키트 사용해서 진행했는데
프로토콜에서 protein precipitation solution 넣고 ice에 넣고 centrifuge 돌린후에 상등액 옮겨서 isoprophenol 넣고 centrifuge 돌리면 pellet이 생겨야하는데
아무리해봐도 pellet 없습니다..
cell양이 적은가해서 양도 늘려서 해봤는데 pellet이 다운이 안되는데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
|
말하는걈쟈 | 02.01 |
|
Q. |
protoplast counting 방법  |
|
|
protoplast를 추출하고 hemocytometer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계산해야하는 샘플의 양이 많아서 현미경을 오래 보고 있기 힘들더라구요.
혹시 세포를 넣은 hemocytometer 사진을 찍고, 다른 프로그램으로 자동 계수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Image J 나 기타 프로그램으로 할 수 있는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감자역병 | 02.01 |
|
Q. |
EO gas 멸균 업체 |
|
|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기구들을 EO gas 멸균을 해야하는데
마땅한 업체를 찾는게 어려워서 문의드립니다.
광주/전남 지역에서 소량으로 EO gas 멸균 맡길 수 있는 업체가 있을까요?
아시는 분들은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
|
|
Rulula | 02.01 |
|
|
Q. |
면역염색이나 wb 실험시 2차 antibody관련 질문 |
|
|
필요한 1차 항체를 몇가지 찾다가
source에 rabbit과 rabbit IgG 가 구분되어서 적혀 있던데,
둘 다 2차 antibody를 rabbit으로 사용하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rabbit IgG에 맞는 2차 antibody가 있는건가요? 구분해서 붙여야 하나요?
|
|
용구리 | 02.01 |
|
Q. |
세포동결 할 때 vial 안으로 들어가는 액체 질소 |
|
|
cryo vial을 사용중인데, 동결 시 바이알을 꽉 잠그고 -80도에 보관 후, 액체질소(liquid nitrogen)로 옮깁니다. 동결 후 풀면 세포 상태가 너무 안좋고 붙어있는 셀 양도 별로 없어 질문남깁니다 ㅠㅠ
1. 동결을 풀기위해 액체질소에서 꺼내면 vial안에 액체질소가 들어서 부글부글 끓는 것이 보입니다. 정상인가요..?
그리고 꽉 닫았던 뚜껑들도 뚜껑이 얼어 다 헐렁헐렁해져서 살짝만 힘줘도 열려버립니다...
2. 안에 액체질소가 들어가더라도 세포는 사용이 가능한가요?? 액체질소에 닿으면 세포에 타격이 가나요..
3. 안에 들어간 액체질소를 빼주고 사용해도 된다면, 뚜껑을 열지않고 엎드리기만해도 액체질소가 빠져나오던데 이렇게 빼주면되나요 아니면 꺼내자마자 뚜껑을 살짝 열어 빼주면 되나요..?
* 저는 액체질소에서 빼내서 실험실로 가져가 바로 37도에 녹입니다. 닫힌상태에서도 증발이 된다면 녹이는 과정이나 들고옮기는 과정에서 다 날라가지않나요..?? 근데도 세포가 이상해서 ㅠㅠㅠ
|
|
마징가도리 | 02.01 |
|
Q. |
TLC 질문 드립니다. |
|
|
TLC관련 질문 드립니다.
왼쪽은 쿠마린 이라는 스탠다드 물질의 농도를 잡기 위해 실험한것으로 0.2,0.02,0.002g/ml입니다. 오른쪽은 양쪽이 스탠다드이고 중간에 세개의 spot은 곰팡이의 배양액입니다. 배양액이다 보니 탄소원이 들어있어서 파란색으로 나온것인지 아니면 아예 다른물질들이 들어있어서 파란색으로 나온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실험 결과 상 쿠마린 스탠다드와 동일한 위치에 밴드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 배양 액에 쿠마린이 없는 것으로 판단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배양액 sample들이 전개 되지 않은것이 이동상이 잘못되어서 인지 아니면 sample에서 많은 물질들이 추출되어서 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
김소현이다 | 02.01 |
|
Q. |
normal cell line |
|
|
안녕하세요. 석사 1년차에 접어들게된 초보 연구자 입니다.
최근에 암연구를 하게 되어 현재 breast, liver, pancreas, stomach cancer에 대해 연구를 하게 되었는데 normal cell line을 한국세포주은행에서 얻을수가 없더라구요.
제가 찾은 cell line은
breast: MCF-10, MCF-10A, MCF-12A, MCF-12F, HBL-100, 184A1, 184A5
liver: Fa2N-4
pancreas: H6c7
stomach: HGaEpC
이렇게 있는데 다른 normal cell line이어도 괜찮습니다.
cell line 분양 해주실 수 있다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jmk95@naver.com
010-6899-1058
|
|
newbee | 02.01 |
|
Q. |
HPLC peak 재현성(나오다 안나오다 함) |
|
|
안녕하세요.
C18 컬럼을 이용해서 같은 용매로 같은 바이알을 여러번 찍는데 peak가 나오다 안나오다 합니다ㅠ
이런 경우 원인이 뭘까요?ㅠㅠ
이동상은 98% MeOH로 iso이며 시료 전처리는 그냥 에탄올에 희석입니다.
|
|
지이 | 02.0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