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벡톤디킨슨코리아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최정욱 교수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카테고리: 전체
Mol. Biol.-DNA Mol. Biol.-RNA Mol. Biol.-Protein Immunology
Cell Biology Microbiology Plant Biology Laboratory Animals
Omics Chemical biology Bioinformatics Laboratory Equipments
Buffer/Reagent Bioethics Etc.
카테고리 전체보기펼치기
질문/투표/프로토콜 등록
투표완료 R&D Systems Human XL Cytokine Array Kit를 사용하였습니다. 필름에 아무것도 현상되지 않았습니다. Protoco...
진행 2023.06.01~06.05  |  참여자 15명  |  댓글 1
Q. 고체배지 세포배양 실험 결과 오류, 도와주세요!
세포 배양 실험을 하기 위해 1. 안 씻은 손 2. 물로만 씻은 손 3. 비누로 씻은 손 이렇게 세 가지로 조건을 다르게 하여 고체 배지에 찍은 후 항온기에서 38도로 하여 세균을 배양하였는데 물로만 씻은 손보다 비누로 씻은 손에서 세균이 더 잘 자라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2, 3번째 비누로 씻은 손, 물로 씻은 손 둘 다 씻은 후에 같은 티슈로 물기를 제거한 후 실험 진행하였습니다. 배양 결과가 예상과는 다른데 고체 배지에 손을 찍을 때 손에 물기가 남아 있다면 세균 배양 과정에서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있나요? 만약 있다면 손에 물기가 남아 있는 것과 남아 있지 않는 것 둘 중에 어떤 것에서 더 잘 자라는 지, 혹은 미생물 비누로 손을 씻은 경우에 물로만 씻은 손보다 비누로 씻은 손에서 세균 배양이 더 잘 이루어지는지 그 점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회원작성글 우니e  |  06.06
Q. 5% skim milk... 왜 아무것도 안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western blot 수련생입니다.   biosesang 꺼 blocking buffer 사용하다가 background, 비특이 밴드가 사라지지 않아서   5% skim milk(서울탈지분유) 만들어서 사용 했는데요,    밴드가 하나도 안 나오네요.. 아무것도 없는 까만 화면만 나옵니다. 멤브레인 전체가 문제인가 했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blocking buffer로 항체 처리한 부분은 잘 나오네요.. 원인이 뭘까요..? skim milk가 좋다고 해서 기대했는데 나오지 않아서 당황스러워서 질문 드립니다. 5% skim milk PBST에 colloid 형태로 녹이고 항체 희석해서 사용했습니다. blocking 2시간 정도 하였고,  1차 1:1000 (santa cruz) 19시간 정도 o/n, 2차 1:5000 1시간 진행했습니다.
회원작성글 Brady  |  06.05
Q. 불안정한 단백질 샘플 얻는 법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 차에 WB으로 애를 먹고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WB으로 보려고 하는 단백질이 turnover가 잘되는 매우 불안정한 단백질이어서, WB을 했다 하면 원하는 크기의 band가 아닌 그보다 더 작은 isoform의 밴드가 잡힙니다. 단백질을 얻는 과정은 mouse의 눈에서 bleeding을 하여 lymphoprep이라는 kit를 이용하여 뽑고 있으며, bleeding을 제외하고 kit를 사용하여 RIPA를 넣기 전까지의 과정이 대략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됩니다. 혹시 이렇게 turnover가 잘 되는 단백질의 경우, 따로 샘플을 만드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킹짱프  |  06.05
Q. 메탄올 희석 후 incubation 이유
GC-MS 실험을 위해 미생물 배양 및 추출 하는 전처리과정에서 7 days cultured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 후 상층액 2ml에 MeOH 4ml을 첨가하여 1시간 incubation을 실시하였습니다.  여기서 1시간의 incubation을 실시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vial에 넣고 분석하면 안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회원작성글 아렛  |  06.05
Q. qpcr melting curve
melting curve가 위의 녹색 그래프처럼 살짝 올라온 뒤 피크가 형성된다면 이건 어떤 의미일까요? 상관 없을까요?
회원작성글 별헤는밥  |  06.05
Q. 커브피팅
실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고자 엑셀과 MATLAB을 이용하여 선형으로 각각 R2값을 얻었는데,  수식 및 R제곱 값이 다릅니다.   차이가 나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참고> 엑셀을 이용하였을 때, y=908.84x-687.02/ R2=0.984 MATLAB을 이용하였을 때, y=47.39x+333.3/ R2=0.969
회원작성글 yourim  |  06.05
Q. 골드나노로드의 2차 원심분리 실패 원인
골드나노로드에 이용된 과다한 CTAB를 제거하고자하여 논문에 작성된 RPM을 참고하여 10000rpm 12000rpm으로 원심분리를 진행하였습니다. 2회까지는 분리가 잘되었는데 3회부터는 되지않았습니다. 더 돌려보아도 검은색의 입자가 아래에 보이지 않았습니다.. 1,2회는 아래에 침전된 것을 확인 하였고 날리지않기 위해서 용액을 많이 남겨두고 상층액을 조심히 제거하였는데요. 분명히 잘 남아있는걸 확인 하고 돌렸는데 침전되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실리카코팅 후에 원심분리 진행했는데 1회때 보이고 2회때 침전물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 현상이 또 생겨서 여쭤봅니다...ㅠㅠㅠ 살려주세요 조심해서 진행했는 데 눈으로도 확인 했었는데 안보여서 너무 당황스럽습니다.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회원작성글 bits lee  |  06.05
Q. 황산나트륨(망초) 10수화물이 무수화물로 전환되는 조건
안녕하세요. 황산나트륨 10수화물을 무수화물로 전환하려고 하는데 단순히 온도만 맞춰주면 되는지, 진공 조건까지 필요한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senssony  |  06.05
Q. Western blot - SDS gel - short plate
SDS PAGE 에 쓰이는 gel 만들 때 쓰는 유리 앞판 Short plate를 대량으로 유리가게에서 주문하고 싶은데 아시는 곳 있으신분 계신가요? 수도권 혹은 대전지역 외 정보가 있으시면 소개부탁드립니다. 혹은 정확한 spec 아시는 분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회원작성글 새내  |  06.05
Q. HPLC 분석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HPLC로 물질분석하기 위해 확인중에 있는데 잘 모르는 부분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1. 같은 조건에서 flow rate만 바뀌었는데 (0.5mL/min -> 0.8mL/min) retention time이 2분가량 뒤로 밀렸습니다 (4.01 min -> 6.1 miin). flow rate를 높이면 retention time이 앞으로 와야하는 걸로 알고있는데, 뒤로 밀리는게 맞는건가요? 2. 같은 조건에서 flow rate 차이로 인한 retention time에서의 area값이 2농도에서 각각 (54126 -> 83604, 145057 ->230795)로 바뀌었는데 해당 값도 맞는건지 문의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회원작성글 연구직  |  06.05
Q. sds-page 전기영동 결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차 학생입니다. 제 target peptide를 Ni-NTA resin으로 정제 후 16% gel로 sds-page로 정제를 확인해보니 정제 전에 발현을 확인했을 때는 아래 사진과 같이 잘 발현이 되었습니다. 이후 사정상 1달 가까이 sample을 냉장보관해두면서 8M urea로 insoluble한 제 target peptide를 solubilization 및 정제를 진행하고 다시 sds-page를 내려보니 다음과 같이 앞서 나온 분자량보다 더 작은 분자량에서 단백질이 확인되었습니다.  Ni-NTA purification은 다음과 같이 진행했습니다. open column에서 resin을 하루 전에 5mL정도 packing해서 냉장보관한 후, 1. resin 보관용액인 20% EtOH 제거 2. lysis buffer(8M urea, 20mM Tris, 500mM NaCl, 10mM imidazole) 25mL 주입 후 제거 3. column 출구를 막고 sample 15mL 주입 후 5분간 정치 4. unbound fraction 받기 5. washing buffer(8M urea, 20mM Tris, 500mM NaCl, 20mM imidazole) 20mL 주입 6. washing fraction 받기 7. elution buffer(8M urea, 20mM Tris, 500mM NaCl, 250mM imidazole) 25mL 주입 8. elution fraction받기   결과 상 문제점으로는 1. sds-page 결과를 보면 unbound wash elution에서 모두 제 target peptide가 용출된 점 2. target peptide의 크기가 달라진 점   이렇게 크게 2가지 인 것 같습니다.   생각하는 원인으로는 insoluble 을 보면 band가 2개가 나온 걸로 보아 장기간(거의 1달간) sample을 냉장보관해서 단백질이 불활성화되면서 저분자화되었다. 정도입니다.   왜 제 target 단백질 크기가 작게 나왔는지 궁금하고 현재 protocol을 찾고 있는 중이긴 한데 제 open column에서 정제 시 개선할 점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솔로몬이꿈  |  06.05
Q. L929 세포 모양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세포배양중에 세포 모양이 계속 변해서 질문드립니다. 세포는 L929세포입니다. 같은 실험실에서 같은 세포를 키우는 다른 친구는 모양이 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세포의 노화나 컨텀은 아닌듯 합니다. 키우는 다른 세포주들도 시간이 지나면 이렇게 마른 가지같은 형상을 띄는데 왜 이러는 걸까요ㅜㅜ 사진은 같은 세포를 조금씩 더 확대한것입니다
회원작성글 choucream  |  06.05
Q. 300kDa 이상 단백질, REV3L western blot band 확인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석사 과정 중에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7% gel에서 stacking 30분, seperating 30분 총 1시간 전기영동하고, PVDF membrane에서 350kDa 사이즈의 REV3L의 웨스턴블롯 밴드를 보려고 하는데 잘 되지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이전에 사이즈 300 정도 되는 단백질을 transfer 390mA / 6hr 조건에서 band 본 적이 있다고 해서 같은 조건으로 해보았는데 밴드가 나오질 않습니다.   그래서  - 1차 항체 붙이는 시간을 기존 RT, 1hr -> 2hr로 더 길게 붙이고,  - BSA 농도도 기존 3% -> 0.5% 농도로 낮추어서도 해보았는데 밴드가 안 나옵니다..   혹시 REV3L band 보셨거나, REV3L이 아니어도 300 이상 단백질의 band를 보신 선생님 계시면 관련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회원작성글 가나다라다나가  |  06.05
Q. Enzyme cut 이후 Gel purification에서 Insert와 Vector의 농도 차이
안녕하세요 저는 학부생으로 아직 실험적인 개념이 다소 낮다는 점 우선 말씀드립니다.. ㅜ Cloning 실험을 하는 중에 Gel purification 후 정량을 측정했는데 Insert와 Vector의 농도 값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제가 전기영동 후 Gel을 잘라낼때 Insert가 Gel 구멍에서 옆칸으로 세어나가는 바람에 무게에서부터 많이 나가긴했는데.. 정제할때도 애를 먹었고 이때문인지 최종 콜로니도 뜨지않더라구요.. Insert 260:280 = 1.046 -> 농도 228.600ng/ul Vector 260:280 = 1.872 -> 농도 45.300ng/ul 이유가 무엇인지 혹시 예측이 가능할지, 또 이같은 농도 차로 인해 Ligation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회원작성글 시월이  |  06.05
Q. 0.1% peptone water 만드는법 알려주세요ㅠㅠ
difco 제품으로 bacto peptone 있고 미생물 dilution에 사용하려고 합니다! 0.1% peptone water를 만들어야 하는데 1L 증류수에 bacto peptone 1g 넣으면 되는건가요? (원래 bacto peptone 10g 넣어서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혼란이 와서요ㅠㅠ)
회원작성글 졸업하고싶닥  |  06.05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실험 회원 등급이란?
실험Q&A 회원등급안내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