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
실전에서 M.O.I 정하고 감염시키려는데, 행동절차가 맞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
|
|
석사1학기차 초보입니다. 다양한 M.O.I(0.01, 0.1, 1, 10)으로
세균에 파지를 감염시키는 실험을 해야하는데, 공책에 끄적인 절차가
맞는지, 다들 이렇게 하는지 확인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주위에 조언을 해줄 사람도 없어서...ㅠ
특정 상황을 가정하여 적어보겠습니다. 이렇게 행동을 하는 것이 맞는지...
조언부탁드립니다
1) M. O. I 란, 간단히 말해서 '바이러스 수 ÷ 세포수' 이므로
분자에 바이러스 수(PFU/ml), 분모에 세균 수(CFU/ml)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중층 한천법으로는 PFU를 구하고,
또다른 plate의 TSA에는 위에 세균을 뿌리고 CFU를 구한다.
2) 1)의 결과, 10^5로 약분하였더니
분자는 75, 분모는 83이 나와서,
M.O.I가 약 0.903이 나왔다.
0.9라 치고, 이것을 보기 좋게 1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1ml에 들어있는 바이러스의 숫자(분자)가 1.11배 더 많아져야 한다.
따라서 1ml 내 바이러스 농도를 1.11배 더 짙게하여 바이러스 용액을 만든다.
M.O.I가 이제 1이 되었으므로,
3) 위에서 1.11배를 더 짙게 만든 바이러스 용액을 기준으로 삼아서
바이러스의 용액을 x10 해주면 M.O.I가 10이 되는거고, 반대로 x 1/10 해주면
0.1이 된다
맞나요?
그니까, PFU와 CFU 값이 최대한 서로 같은 값이 되도록 분자나 분모 둘 중 하나를 건드려서(농도를 증가시키던가, 농도를 희석시키던가) 최대한 M.O.I를 1과 가깝게 만든 뒤,
이걸 기준으로 다시 0.1이든 0.01이든 10이든 100이든
만드는건가요?
ㅠㅠ
|
|
답답한아이 | 04.01 |
|
Q. |
image j 간조직  |
|
|
image j 사용 도와주세요 ㅠㅠㅠㅠㅠㅠ
1. 각 엽의 면적
사실 면적까지는 구했는데 픽셀단위라서 어떻게 제곱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면적으로 해야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ㅠㅠㅠㅠㅠㅠ
2. 각 엽의 혈관의 면적과 그 면적에 대한 퍼센트
도와주시면 사례하겠습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
|
|
hrosa23 | 04.01 |
|
Q. |
primer sequence가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
|
|
안녕하세요.
현재 실험실에서 실험 공부 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hot-fusion method 통해서 pGR-blue plasmid에 mutated primer pink랑 purple express 시키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 cloning efficiency 확인 중에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primer sequence 가 혹시 cloning efficiency 에 영향을 미치나요?
해외 대학에서 공부 중인데 명확하게 설명 해주는 사람이 없어서 질문합니다.
|
|
바알못 | 04.01 |
|
Q. |
bradford assay 고체 시료 전처리 문의드립니다. |
|
|
간단하게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려고 하여 bradford assay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bradford assay를 이론적으로만 배워보고 실험은 처음인데, 고체 시료(단백질 강화 머핀)를 샘플로 사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진행하려면 고체시료 전처리를 어떻게 진행하여야 하나요?
|
|
우츠츠 | 04.01 |
|
Q. |
단백질 정량실험 bca assay |
|
|
단백질 정량실험을 진행하는데 준비한 bsa standard solution에서의 흡광도 값보다 구하고자 하는 미지 시료의 농도가 더 크게 나옵니다.
준비한 미지 시료를 희석해서 standard curve에 넣어 농도를 다시 배수하라고 대충은 알고 있는데 구체적인 방법을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서치 실력이 부족해서 그런가 어떻게 검색해야 할 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ㅠ 도와주세요
|
|
닉네임뭐하지 | 04.01 |
|
|
Q. |
Aliquot |
|
|
DEX 25mM 짜리를 1mM로 희석을 했는데
25mM 짜리 40ul 100% ETOH 960ul를 넣어서
1ml로 맞춘 뒤 100ul씩 엘리컷을 했는데 이튜브 9개가 나왔는데 10개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 ㅠㅠ |
|
석사감옥 | 04.01 |
|
|
Q. |
hplc, tlc 극성 비극성 |
|
|
holc,tlc에 용매를 극성 과 비극성을 섞어서 쓰는걸로 알고있는데 왜 섞어서 쓰는건지 이유를 알수있을까요? |
|
분자생물학도 | 04.01 |
|
Q. |
speed님께 |
|
|
speed님
조언주신데로 Agillent 사 pfu로 조건 바꾸어서 muta 하여서 결과 나와서
이전 글 아래에 결과 올려놓았습니다.
저희가 Dnp1 처리후, Amp+ plate에 chloramphenicol 25mg/ml 20ul를 도포하여 쓰고 있는데, 혹시 양이 많을까요?
Amp+를 한 20ml은 넣은 것 같아서요...
(제가 만든 것이 아니라...)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새슬 | 04.01 |
|
Q. |
다른 날 찍은 FACs data의 정량 비교 질문 |
|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FACs 실험 시 생긴 의문점을 해결하기 어려워 질문 드립니다.
3개월 전에 transfection한 샘플과 3개월 후 transfection한 샘플의 expression된 protein의 총량을 비교하고 싶은 상황에서
각기 다른 날 stain 하고 각기 다른 날에 찍은 FACs data로 정량 비교가 가능한가요? (protocol 및 FACs 장비의 세팅은 동일하다는 가정)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뱌쿠 | 04.01 |
|
Q. |
cell culture시, 이거 오염된건가요?ㅠㅠ 키우면 키울수록 의아합니다ㅠㅠ |
|
|
안녕하세요. 대학원생활 곧 1년이 되어가는 대학원생입니다.
caco2 cell을 키우는데, 요즘들어 dish에 검은색 점이나 cell모양인 것 같은데 검은색 점 모양으로 생긴 것 투성이입니다.
처음에 stock을 풀어 키울때는 분명 깨끗하게 잘자라고 있었는데, stock에 배지만 갈아주면서 키우고 있는데 어느순간 너무나 점같은 것들이 바닥에 너무 많아졌습니다.
마지막 cell stock을 풀었는데 바닥에 붙기는 너무 잘붙고, 모양도 너무 예쁘게 잘 붙어서 기분좋게 집에 갔는데 날이 지나면 지날수록 시커먼 점들이 따닥따닥 붙어서 너무 걱정이 됩니다.
이게 마지막 cell stock푼거였어서 걱정에 걱정이 더 얹혔습니다.
아직 미숙해서 어려움이 많은데, 실험실에 선배나 동기가 없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몰라서 글을 적습니다.
마지막 stock 푼 것이 오염됐을까봐 잠도 못자고 있습니다.
만약 이게 오염된 것이라면 혹시 caco2 cell을 배양하고 계시는 lab실 있으실까요? 혹시 cell을 분양해주실 수 있다면 꼭 좀 연락부탁드립니다.
정말 간절합니다...
|
|
Y.Y | 03.31 |
|
Q. |
약물의 염산염 제거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
|
|
약물의 염산염을 제거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약물을 녹인 용매에 triethylamine를 넣고 교반한 뒤, 용매를 증발시킨다.
이 간단한 과정이, 되다가 어느 순간부터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다른 논문을 참고하여 용매, 방법도 여러 번 바꾸어보았으나 DW를 넣는 순간 모두 녹아버립니다.
약물에 문제가 없다고 한다면(새로 구입하기가 아예 불가능합니다), 어떤 가능성이 있을지, 조언을 주실 분이 계실까요.
깊이 고민하다가 질문 올립니다.
답변 주신다면, 정말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백수 | 03.31 |
|
Q. |
mouse BAT 조직으로 웨스턴 하는 과정에서 궁금한점 입니당 |
|
|
안녕하세요
mouse BAT 조직으로 웨스턴 진행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웨스턴을 첨 해봐서 housekeeping gene이 두개로 뜨는게 맞는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
GAPDH 웨스턴 결과 사진입니다.
위에 줄이 37kD으로 GAPDH로 추정되는 띠인데 그 밑에 뜨는 띠는 뭔지 모르겠습니다ㅜㅜ
abcam antibody이고, monoclonal인데 두개의 띠가 뜰수가 있나요??
|
|
jineee | 03.31 |
|
Q. |
세균 배양 실험 실패 이유가 뭘까요?  |
|
|
흙에서 cellulolytic bacteria를 채취해여 CMC 배지에
배양 후 관찰하는 실험이었습니다
흙 5ml에 DPBS 20ml 넣어주고 상층액만 분리하여 10^-2까지 희석하였습니다
10^0, 10^-1, 10^-2 용액을 각각 CMC 배지에 spreading하고 하루 뒤에 결과를 확인했는데요
깨끗해요...
배양되면 CMC가 분해된 부분이 하얗게 나타난다고 들었는데 그런거 전혀 안 보이네요
또다른 조에서도 10^-2에서만 single colony가 딱 하나 보였다고 합니다 실험 방식은 동일했고요
왜 균이 배양이 안 된걸까요? 생각해봐도 잘 모르겠어서 여기에 여쭈어봅니다 |
|
시아프로즌 | 03.31 |
|
Q. |
수단3 반응 실패 |
|
|
분자검정 실험을 했습니다. 우유에 수단3를 넣고 6분이 지난 후 결과를 봤는데 빨간색으로 염색되어 부유하는 방울들을 보지 못했습니다. 왜 지질을 관측하지 못한 걸까요?
|
|
딸기바나나고구마 | 03.3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