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polyplus-INTERFERin siRNA trasnfection reagent 사용하시는 선생님 있나요 |
|
|
cell에 konckdown을 진행하기 위하여 polyplus사의 INTERFERin siRNA trasnfection reagent를 사용하는데 6-well plate를 할땐 실험이 KD이 잘 진행되었는데 100mm dish scale에선 KD이 잘 안되네요.
protocol이나 제품 문서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siRNA Mixture의 용량이 커지면 siRNA와 reagent가 aggregation되듯이 뭔가 뭉쳐있는게 떠다니는게 있던데 혹시 이것때문인가도 의심됩니다.
이럴경우 mixture를 여러 tube에 소문하여 만든 후 10분 반응시켜 다시 하나로 합쳐 transfection 진행해도 될까요.
6-well plate할 땐 siRNA 5ul/ reagent 14ul를 OPti-MEM 200ul에 섞어 mixture만들었고 100mm dish에 할땐 siRNA 25ul/ reagent 70ul를 OPti-MEM 500ul에 섞어 mixture형성하였습니다.
벌서 여러번 이와같은 상황이고 실험이 6일짜리 스케쥴이라 시간낭비도 너무 심합니다... 혹시 같은 문제를 겪다가 해결하신 선생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멋있는딸기 | 06.08 |
|
Q. |
Western 전기영동(electrophoresis)시 끝까지 |
|
|
Western blot중 전기영동 부분에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전기영동으로 프로틴을 내릴때 유리 끝까지 빠져나갈때까지 돌려도 되나요 안되나요.
원래 실험실에서는 끝까지 내리면 안된다고 배웠는데, 다른 박사님은 끝까지 내려도 된다고 하시더라구요.
끝까지 내려도 되나요 안되나요.
|
|
애기비누 | 06.08 |
|
Q. |
dns method |
|
|
안녕하세요 석사 1학기차 학생입니다.
dns method 과정을 이해하는데 해결되지 않는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sample과 standard에 각각 dns를 분주하고 바로 vortexing 후 10분 boiling하는 순서로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vortexing을 해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해낸 이유는
sample의 경우, 효소를 vortexing하면 역가가 떨어지니까 일정시간 반응 후 일괄적으로 boiling하기 전에 pre-denaturation시키는 것이다.
standard의 경우, standard 물질과 dns가 짧은 시간동안 빠르게 반응시키기 위해 boiling 전에 vortexing하는 것이다.
이 정도입니다. 반응을 정지시키기 위해 vortexing을 진행한다는 의미가 두 경우에 좀 다른 것 같아서요..!
혹시 제가 생각한 게 맞을까요?
감사합니다!
|
|
솔로몬이꿈 | 06.08 |
|
Q. |
제한효소 처리 결과 질문 |
|
|
EcoR1 제한효소 처리
37도에 30분 배양해서 전기영동으로 확인했는데
어떤 것은 잘, 많이 잘리고 어떤 것은 조금만 잘렸는데
왜 똑같은 시간으로 제한효소 처리를 했는데 결과가 다르게 나오나요?
형질전환 후 colony pcr, 전기영동으로 확인한 다음에
white colony만 제한효소로 처리했습니다.
|
|
dPfls | 06.08 |
|
Q. |
형질전환 후 colony가 생성되지 않음 |
|
|
대장균을 형질전환하고 배양해서
blue/white selection을 해야 하는데
배지에 blue colony, white colony가 하나도 생기지 않았습니다.
이유가 궁금합니다.
|
|
dPfls | 06.08 |
|
Q. |
메스플라스크 사용법 |
|
|
1000ml 메스플라스크를 사용하여 대기 중 기체 1000ml 부피를 맞추었다.
1ml 주사기로 메스플라스크내 공기를 한번 빼고,
1000ppm 농도의 메탄을 한번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1ppm 짜리 메탄을 만들었다.
이것을 여러번 사용하기 위해 궁금점이 생겼습니다
질문입니다. 10ml 주사기로 추출하고 다음에 또 추출하기 위해서 일반 대기의 가스 10ml를 다시 주사기로 넣어주고 섞고 사용해야하는지? 아니면 그냥 10ml를 바로 추출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은 일반 대기 10ml를 넣어주면 플라스크내 농도가 변할것 같아 넣지 않고 사용하는게 맞을 것 같은데 기압 때문에 넣어주어야 하는건가요? |
|
포모리 | 06.08 |
|
Q. |
동물세포 유가식 배양배지 조성 |
|
|
안녕하세요,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올립니다.
동물세포를 배양할 때
기본배양을 할 때와 유가식 배양을 할 때
각 배양 배지 조성에 큰 차이가 있을까요?
차이가 있다면 어떤 점에 차이가 있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은으능 | 06.08 |
|
Q. |
LB broth 배지 항생제 첨가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초보 학부연구생입니다.
제가 LB broth를 제조하여 멸균하여 식힌 후 냉장고에 소분하여 보관해놓았는데, 항생제 첨가해야하는 것을 뒤늦게 알아서
냉장고에서 하루 지난 배지에 항생제를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다시 만들어야할지 고민중입니다..! 감사합니다!
|
|
ssso | 06.08 |
|
Q. |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 질문 ㅠㅠ |
|
|
안녕하세요. 미생물학 공부중인 학부생입니다.
ampicilin, chlornphenol, G418(geneticin)을
E.coli,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적용하는 실험을 했는데
E.coli랑 B.subtilis에 amp투여한 plate말고는 반응이 없네요 ..
이론적으로 어떻게 반응이 나와야 하는지 알고싶은데 찾아봐도 안나와서
혹시 알고계신분 있으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
|
찜닭이좋아 | 06.08 |
|
Q. |
보관된 균주 배양방법 |
|
|
안녕하세요. 어병세균에 대한 항균성펩타이드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균보관시에 5% skim milk 사용해서 50ml코니칼튜브에 동결건조하여 보관중인데 이렇게 동결건조한 균주를 다시 재배양할 때 동결건조분말 전체를 가지고 재배양을 해야하는 것이 맞죠? 그리고 보관시에 앞서말씀드렸듯이 50ml코니칼튜브를 사용하는데 40~45ml정도로 skim milk로 채운뒤 동결후 동결건조하는데 나 중에 액체배양시에 너무 뿌옇게 되어서 균이 자란게 육안으로 확인이 안되는데 skim milk를 저렇게 많은 양을 해서 보관하는게 맞는지... 미생물 수업은 학부생때 한게 전부라서 많이 어렵네요. 혹여 미생물 배양에 관련된 기초지식을 쉽게 설명한 책도 있다면 추천부탁드려요!
요약해드리면.
1. 동결건조보관 균주 분말 전체를 배양에 사용하는 것이 맞는가?
2. 균주 동결건조 보관시 skim milk 양을 얼마나 주어야하는가?(50ml 코니칼튜브기준)
3. 미생물 배양 기초지식 교재또는 책도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NOTEnot | 06.08 |
|
Q. |
마이크로 피펫 사용법 |
|
|
저는 원래 피펫팅을 할 때 팁을 샘플의 끝에 살짝 닿게 해서 빨아들이는 편입니다.
1. 그런데 사수분께서 단백질의 정확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선 샘플의 중간 부분까지 팁을 넣어서 채취야 한다고 합니다.
제가 알기론 그렇게 하면 팁을 담군 만큼의 수압이 걸리기 때문에 원하는 양보다 많이 채취하게 되고, 팁 겉면에 묻어 흘러내리기 떄문에 정확한 양을 채취할 수 없습니다.
2. 또한 사수분께서 팁의 겉면에 묻은 샘플을 제거하기 위해서 팁을 튜브 벽면에 한번 둘러서 묻혀 제거하셨습니다.
제 생각엔 그렇게 하면 자칫 잘못하다가 팁 끝에서 용액이 딸려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결과 값을 보면 제가 사수분 보다 정량값이 낮게 나왔습니다.
3. 그리고 한가지 더 질문하자면, 피펫 버튼을 2step 끝까지 꾹 누르면 안에 있는 스프링이 망가질 수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도 사실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저와 사수 분 중에서 누구의 방식이 맞는지 세가지 질문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ejejej | 06.08 |
|
Q. |
인산완충액 |
|
|
미생물한도시험 할때 검체를 희석할 희석액을 조제해야하는데 보존완충액을 조제 후 800:1로 희석한 인산완충액으로 사용을 힙니다
위 두가지 시액의 사용기한은 따로 약전에 나와있지 않아서요 보존완충액은 6개월 인산완충액은 용시 단 2-8도 유지히면 24시간까지 가능하다고 들았는데
어떤게 맞나요?!ㅠㅠ |
|
비그리 | 06.07 |
|
Q. |
항균활성 테스트 paper disc |
|
|
paper disc를 이용한 항균활성 실험에서 페니실린과 엠피실린을 각각 메탄올을 negative control로 사용하여 균과 함께 BHI agar plate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여기서 negative control은 무슨 역할을 하며 메탄올을 사용하는 특정한 이유가 있을까요??
|
|
아렛 | 06.07 |
|
Q. |
돼지피부 침투 실험 (H&E Staining) |
|
|
안녕하세요.
화장품 성분을 돼지피부에 도포한 후 표피 및 진피까지 투과되는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1. 돼지피부 preparation
2. 화장품 성분에 형광인자 결합
3. H&E Staining protocol
4. Microtome, 광학현미경 등 필요 장비들
위 4가지 내용과 관련해서 경험 있으신 분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ㅠ
|
|
qwe123 | 06.07 |
|
Q. |
Raw 264.7 cell에 LPS유도시 세포독성, NO 측정 |
|
|
현재 Raw 264.7 cell에 LPS유도시 세포독성, NO 둘다 잇는지 확인중인데 잘안되네여 ㅠ
NO는 당연히 안나오고요 ... MTT시 원래 LPS를 유도하면 세포가 죽어야하는게 정상인데 Control로 standard를 잡았을 때 10, 100, 500, 1000, 5000ug/ml LPS를 유도했을 때 증가하더라고요..
1) 세포와 LPS 둘다 Fresh하지 않아서 일수도 있겠죠?
2) 아무래도 LPS 오염인 것같긴한데.. 이때 LPS를 Fresh하게 만드는 방법이있을 까여.. 그냥 멸균된 증류수에 희석하고 잘된사람도 있다던데..
3) 그리고 LPS 희석시 Clean bench에서 희석을 해도되나여?
|
|
wnsgud0853 | 06.07 |
|
|
Q. |
농도 계산 |
|
|
안녕하세요
정말 기초적인 질문이라 부끄럽지만 올립니다
LB 배지에 ampicillin을 첨가하려 하는데 농도 계산이 헷갈려서요
ampicillin stock은 10mg/ml이고 final 농도는 100ug/ml 입니다
그렇다면 농도는 100X 아닌가요? 500X로 적혀있어 헷갈립니다
LB 배지 1000ml가 있다면 10mg/ml의 ampicillin은 10ul 첨가하는게 맞나요
감사합니다
|
|
chochoc | 06.07 |
|
Q. |
BCIP/NBT와 ECL로 detection 하는 것에 대한 차이 |
|
|
안녕하세요
현재 ALPL관련해서 공부하는 중인데 실험 기법에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실험은 ALPL이 각 군에 어느정도 있느지 확인하기 위함으로
western blot으로 BCIP/NBT를 set up하여 그 양을 확인 하려고 합니다.
이 때 BCIP/NBT를 사용하려면 alkaline phosphate가 conjugation된 antibody를 사용해야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alpl 1'를 붙이고 2'를 붙여 ECL로 확인하는것과
alkaline phosphatase가 conjugation된 antibody를 이용하여 BICP/NBT로 확인하는것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단지 방법의 차이인지 두 방법에서 보고자 하는 목적이 다른건지 정확한 차이를 잘 모르겠어 질문드립니다.
(논문을 참고하였을 때, 같은 sample에서 일반 western blot으로 진행하였을 때는 band가 나오지 않고,
BCIP/NBT로 진행하였을 때, band가 뜨는 figure를 확인 한 바 있고 논문에서 BCIP/NBT로 진행하였을 때
activity 한 ALPL을 detection 할 수 있다라는 내용을 확인한 바 있으나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ㅠ)
|
|
모령 | 06.07 |
|
Q. |
바이러스 내 균 역가확인 실험 |
|
|
희석한 바이러스를 고체배지에 넣어 CFU를 확인하는 실험을 한다고 하는 것은
그 바이러스 내에 균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인 것인가요??
실험과정은 봤는데 실험의 목적이 이해가 안돼서 질문 남깁니다. 백신 관련의 실험입니다.
그리고 배지에 넣어하는 경우도 있고, cell이 들어있는 96plate에 넣어 역가 확인 하는 경우도 있던데 둘은 무슨 차이인가요? 어떤 바이러스인지에 따른 건가요?
|
|
interested | 06.0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