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
|
|
|
|
|
2차는 1:2500 으로 했습니다!
2차가 고농도라 이런걸까요.ㅠ
|
|
|
|
|
|
|
|
|
2차는 1:2500 으로 했습니다!
2차가 고농도라 이런걸까요.ㅠ
|
|
|
|
ExDown's | 2013.05.27
|
|
|
|
|
skimmilke 는 보통 signal 이 강한것을 잡을 때 쓰는데, 1, 2차를 1:1000으로 하셨으면...
2차를 1:10000으로 바꿔보시고 2차후에 TBS-T wash를 15min x 8 해보시고 찍어보세요 |
|
|
|
ExDown's | 2013.05.27
|
|
|
|
|
MEOH 20% 는 transfer 시에 넣어준다면 더잘된다는 말이 있더군요 그건 문제가 전혀 되지 않을거라
생각되네요, 우선적으로 조절해야 될건 1, 2차 antibody 의 농도같네요...
1차도 1:1000이면 너무 높은것 같다고 생각되네요.. |
|
|
|
엘피스 | 2013.05.27
|
|
|
|
|
Transfer에 관련된 것은 전혀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Antibody의 (1) quality, (2) antibody의 titer, (3) wash condition의 문제입니다. |
|
|
|
미네르바 | 2013.05.28
|
|
|
|
|
안티바디를 어떤걸 사용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안티바디 자체의 specificity가 낮아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st Ab를 1:1000으로 쓰는건 무난한데 2nd Ab는 너무 높게 쓰셨네요. 1st Ab의 non-specific band가 많이 나오신다면 1st Ab이 농도도 더 낮춰서 사용해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단 원하시는 band 가 잘나오는 상황에서) 그리고 보통 2nd Ab는 1:10,000 정도를 사용하시는게 background를 줄이시는데 효과적이지 싶습니다. 그리고 primary Ab reaction 후에도 wash를 여러번 해주시면 좋을듯 하네요. |
|
|
|
|
doubleu | 2013.05.28
|
|
|
|
|
고수님들 말씀대로 안티바디 dilution이 중요한 factor인것 같습니다. washing도 잘 흔들리도록 제대로 해 주시구요.. 더불어서 한 가지 tip을 드리자면, 아랫쪽에 induction 되는 듯한 band가 보시고자 하는 부분이신가요? 그렇다면 윗쪽에 major하게 나오는 부분을 Ab blotting 전에 잘라서 버리시고 원하시는 밴드 부분이 major한 위치가 되도록 해서 ab를 붙여 보세요. 적은 dilution factor를 가지고 지금 보다 더욱 band signal이 강하게 올라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연 그렇게 되면 background가 지금처럼 비교적 많이 올라오기 전에(ab quality 문제라면..) 원하시는 band를 얻으실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