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t를 이용하시는지 아니면 개별 protocol로 직접 하시는지요?
Kit의 경우는 보통 해당 sample type에 따른 희석버퍼나 희석배율 등 안내가 되어 있습니다.
만약에 개인이 만든 커스텀 protocol로 실험을 하신다면 직접 해보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우선 타 논문을 보고 비슷한 모델(Rat)의 IFNγ 농도를 확인하시고 standard 범위 안에 나올 수 있도록 계산하여 희석하는게 좋습니다.
kit를 이용하더라도 가끔 다른 자극에 의해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기에 저는 모든 샘플을 돌리기전에 컨트롤과 가장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샘플을 미리 돌려봅니다. 그리고 overage 되면 희석배율을 다시 정해서 실험하곤 합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기에 처음 테스트할때 kit의 경우 희석배율이 정해져있지만 권장 희석배율 근처로 0.5X 1X, 5X, 10X 등으로 찍어봅니다..
혹시 kit면 제품번호나 개인 protocol 이라면 준비과정 부분을 올려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