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질문과 같은 건가요?
3.5kb를 T-vector로 넣기 어렵습니다. 안되는 건 아니지만, 글 내용으로 추측컨대 아직 DNA 다루는 일이 숙달되지 않은 듯 해서요. 우선적으로 제한효소 2-cut으로 넣는 걸 생각해 보세요.
일반적인 Taq DNA polymerase로 유전자 클로닝 하는 건 현명한 방법이 아닙니다. 에러가 생기면 곤란한 경우가 생깁니다. 사용하던 Phusion High Fidelity DNA polymerase를 구매하시는 게 좋습니다.
Phusion DNA polymerase는 굉장히 좋은 제품입니다. 가격은 부담되죠. 그러니까 실험 설계를 잘 해야 합니다. PCR 실험에서 설계란 것은 대체로는 프라이머를 잘 짜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구조가 복잡한 식물 genomic DNA에서 PCR이 안되는 경우가 다양하지만, 안될 때는 정말 안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GC가 엄청 높거나, 프라이머 자리에 GC%가 너무 낮거나, 반복서열이 있거나 하면 일이 어려워 집니다. 인트론에 뭔가 복잡한 구조가 있을 수 있다던 슈퍼바이저의 지적은 좋았습니다. 어쨌거나 이걸 풀어가야 하는데, 앞의 질문에서 overlap fusion PCR로 이어 붙이는 것을 어느정도 잘 했다고 했죠? 그 것을 주형으로 다시 PCR 증폭을 하면 좋았을 겁니다.
또 이럴 때는 Nested primer PCR을 하면 증폭이 어려웠던 1차 PCR의 프라이머 binding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이것은 overlap fusion PCR에도 적용되겠지만, 그냥 end-to-end PCR을 한번에 다시 해볼만도 합니다.
Populus tremula 종이이면 genome이 나와 있으니, 아마 그 서열에서 primer를 짜셨을 테죠. 다행히 genome 서열이 있으니, 그 유전자 모델을 보고서, 클로닝할 서열 부분의 앞뒤로 약간 여유를 둬서 이상적인 프라이머를 만들고, 이것으로 1차 PCR을 하세요. 그게 밴드가 나왔다면, 원래 클로닝하려고 했던 부분의 프라이머로 2차 PCR을 하면 대개 잘 나옵니다. 이때 조금 따져봐야 할 것이 참조 유전체의 서열이 내가 주형으로 삼은 개체의 것과 같을지 입니다. 예측이 어렵다면 exon처럼 서열이 잘 보존된 부분을 사용해야 하겠죠.
벡터는 pBluescript 같은 일반적인 것에 2-cut으로 넣어도 됩니다. 이때는 형질전환용 binary vector의 제한효소 자리를 신경써야 하겠죠.
Gateway나 TOPO 클로닝 방법을 쓸 수 있다면 그쪽의 벡터체계를 사용해서 조금 수월하게 할 수도 있고요.
더 신기한 방법들이 많지만, 아무튼! 지금 상황에선 우선 PCR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A whole gene amplification from gDNA가 한달째 안됩니다 ㅠㅠ 도와주세요. |
|
|
독일유학생(대학원생) | 11.18 06:46
|
|
안녕하세요.
독일에서 식물 분자생물학을 전공하는 마스터 학생입니다.
In vivo, overexpression 실험을 위해서 Transformation 전에 Promoter region이 포함된 전체 gene을 gDNA에서 증폭하려고 하는데요. 3.5kb 밖에 안되는 유전자가 도통 증폭이 되지 않습니다.
웃긴거는 같은 프로토콜로 다른 genus에 하면 결과가 나오는데 지금 제가 필요로하는
Poplar의 한 종에서만 이게 정말로 안됩니다. 슈퍼바이저와 테크니션들과 엄청나게 많이 토론하고 대안으로 생각한게 fusion PCR인데 한 gene을 A와 B 두 파트로 나눠서 다른 두 프라이머 set으로 증폭한다음에 두 Fragments를 함께넣어서 처음과 끝 프라이머로 두파트를 이엇습니다. 처음에 전체 유전자를 증폭했다는 사실에 엄청 기뻤는데, 클로닝으로 하려고 gel purificaiton 한 다음에 농도가 너무 낮고, 결국엔 클로닝에도 번번히 실패했습니다.
사용하는 중합효소는 Thermofisher Phusion-Taq 입니다.
슈퍼바이저 말로는 인트론 중에서 PCR을 방해하는 뭔가가 있을 수 있다는데 제 상식으로는 도대체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혹시 같은 경험이 있으시거나 해결방법을 아신다면 도와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