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강시 | 2021.01.19
|
|
|
|
|
셀이 젤리처럼 됬다는 게 무슨 의미죠?
"셀"이?
20ml 배양한 대장균을 모두 모아서 한 번에 miniprep 했다는 의미인가요?
|
|
|
|
안재진 | 2021.01.19
|
|
|
|
|
|
|
|
|
저으 | 2021.01.19
|
|
|
|
|
Cell 찌꺼기를 다운시킨 것이 젤리처럼 되었습니다.
E.coli이용했고 20ml에 키운 것을 전체 다운시켜 P1 250ul로 풀어주고, P2 250ul, N3 350ul을 넣어 invortexing하였고 10분 다운시켜주었습니다.. |
|
|
|
안재진 | 2021.01.19
|
|
|
|
|
셀양이 많은경우 RNA에 의해 점도가 높아질수 있습니다.
셀양을 줄이세요
|
|
|
|
1st_Philekorea | 2021.01.19
|
|
|
|
|
20ml 전체를 cell down 하신건가요?
copy number가 낮은 경우가 아니라면 plasmid miniprep을 하는데 너무 많은 cell을 사용하신 것 같습니다.
|
|
|
|
강시 | 2021.01.19
|
|
|
|
|
plasmid가 많이 필요하거나 copy number가 낮다면 miraprep 방법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제 경험에서, 젤처럼 굳는 경우 대장균이 아니라 곰팡이 오염이었습니다. 자라는 패턴이나 garvest 한 후의 모습은 대장균이었는데 lysis도 안되고 물컹물컹해지더군요. 이것도 확인해 보세요.
|
|
|
|
|
|
|
|
|
저의 경우,
Sol1 처리 이후
실수로, Sol2 와 Sol3 순서를 바꾸어 넣은 경우 원심분리 후 젤리처럼 나왔었습니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