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get protein은 약 130kDa 정도의 크기를 가진 p-jak 으로 웨스턴을 진행하였습니다.
7.5%gel에 전기영동후 1시간 트랜스퍼하여 항체를 실온 2시간 20분정도를 붙였고 희석은 5% bsa(in 0.05% pbst)하여 처리하였습니다. blocking은 5%bsa 그리고 워싱은 pbst로 10분마다 한 번씩 3번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사진처럼 band가 약 63kDa 근처에서 가장 진하게 나와 이유를 찾아보다 글을 올립니다..
130 근처에서도 희미하게 밴드가 보이기는하는데.. 그외 마커부분(75kda)에도 밴드가 조금 보이고 다른 크기의 밴드들도 잡히는 이유가 무엇인지 도통 감이 안잡힙니다.. (단순히 non specific한 항체반응인지...)
첫번째 lane도 다른 lane보다 진하게 나올 이유가 없는데.. (정량 및 로딩시 문제일거라 생각)
목적단백질이phosphoform이기 때문에 밴드가 잘 보이지 않았거나 모두 non specific한 band가 아닐까란 생각도 해보았고 목적 단백질이 cleavaged 되어 저렇게 밴드가 아래에 나타날 수도 있는게 아닐까 생각해보았는데 그럴 수 있는지 전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