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SPEED | 2021.03.30
|
 |
|
|
|
1. 약물이 잘 녹는 용매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2. 용매를 아예 바꾸자고 하니 제형에서 liposome을 이용하다보니 구조 자체가
파괴되고
: 용츌 시험 시 시간 별 sampling 후 liposome을 제거하여 용출된 약물만
분석을 합니다.
3. 생체에 적용시킬 예정이다보니 toxity도 있어
: 분석과 인체 적용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4. 심지어 한 약물은 EtOH에서 시간에 따라 파괴되는
: 약물이 stable한 용매에서 실험해야 합니다.
|
|
|
|
Arkadis | 2021.03.30
|
|
|
|
|
2번에 대해서 추가 질문입니다.
저희가 reverse dialysis를 사용해서 PBS에서 PBS로 sampling을 하는데 이럴 경우 PBS를 전부 증발시킨 다음 용매를 바꿔야 하나요?
저희가 가진 장비중에서 evaporator가 없고 PBS가 증발하면서 약물의 stablity가 떨어질 것 같은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하죠?
|
|
|
|
SPEED | 2021.03.30
|
 |
|
|
|
약물이 PBS에 녹지 않는 경우이므로 방출된 약물은 용해되어 있다기 보다
현탁된 상태입니다.
최대한 균일 하게 sampling 후 carrier를 제거합니다.
이 후 약물만 있는 상태에서 약물이 용해되는 용매로 희석합니다.
HPLC 분석 감도 안에서 희석된 용매 % 별 약물의 용해도 및 검출 한도를
분석해서 정해야 합니다.
이후 약물이 용해되는 최소 용매 %로 희석하여 분석하면 됩니다.
|
|
|
|
Arkadis | 2021.03.30
|
|
|
|
|
carrier 제거의 경우 centrifuge로 가능한가요? 저희쪽에서 가진 HPLC의 경우 sorting이 안되는 모델이라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
|
|
SPEED | 2021.03.30
|
|
|
|
|
release test를 dailysis tube를 사용해서 하는 방법, sampling 후 UF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원심분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carrier의 크기나 성분에 따라서
검증을 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
|
|
|
Arkadis | 2021.04.16
|
|
|
|
|
답변을 다시 확인하던 중 궁금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carrier가 DMSO를 말씀하시는게 맞나요? 아니면 PBS인가요?
sampling시 dialysis를 사용하기에 liposome은 걸러져서 해당되지 않는 것 같아서요..
|
|
|
|
SPEED | 2021.04.16
|
 |
|
|
|
dialysis 시 약물은 용해 되나요?
방출 실험을 dialysis방법으로 하나요?
그러면 drug carrier는 신경쓰지 않아도 되지만 drug의 분포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체 실험에 대하여 설명이 없고 답변을 하는 중에 조금씩 설명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을 하기에 한계가 있습니다.
drug release test의 가장 중요한 점은 시간 별 released drug의 정확한 농도
측정입니다.
이 원칙에 맞게 실험을 디자인 해서 검증하면 이것이 validation data가 됩니다.
|
|
|
|
Arkadis | 2021.04.16
|
|
|
|
|
약물의 용해의 경우 장기간 방치시 응집현상으로 추정되는 현상이 일어나서 dialysis를 하는동안 지속적으로 shake해주고 있습니다.
방치시 응집이 일어나는 것을 보면 말씀하신 것처럼 용해가 아니라 현탁인 것 같은데 시간에 따른 release를 측정해야 하다보니 release buffer를 DMSO로 교체하면 liposome에 구멍이 나서 정확한 측정값을 얻지 못할 것 같아서요..
실험절차의 경우 reference를 참고하여 DMSO 10uL, PBS 990uL로 희석한 약물(100uM, 32uM)을 여러 농도(1~80배)로 PBS에 희석하여 lipid flim에 넣고 shaker로 흔들어 제조한 liposome을 2회 washing 후 PBS 1.1mL에 재현탁하여 0.3mL PBS를 방출배지로 사용하는 reverse dialysis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ampling의 경우 100uL을 sampling하고 다시 PBS 100uL을 채워넣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
|
|
SPEED | 2021.04.16
|
|
|
|
|
투석막 안과 밖의 released drug의 농도가 동일한 상태에서 sampling을 해야
하는데 현재 방법으로는 농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release %를
계산하기 힘듭니다.
|
|
|
|
Arkadis | 2021.04.16
|
|
|
|
|
투석막 안과 밖의 농도차의 발생을 확인하는 방법이 따로 있는 건가요?
다른 reference에서는 평형에 30분정도 시간이 소요된다고 적혀있는 것밖에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