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RISPR-Cas9 경험이 있으신 분께 몇가지 여쭙고자 글을 남깁니다.
현재, 저희 실험실에서 CRISPR-Cas9과 Homology-Directed Repair (HDR) pathway를 이용한 SNVs의 functional study를 계획중입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18-0461-z
(위의 논문을 모티브로 설계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CRISPR-Cas9를 이용해본 경험이 없어 실험을 design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혹시나 CRISPR-Cas9를 경험해보신 분이 있으시다면 아래 질문에 대해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1. Target 유전자를 선정 후 CRISPR-Cas9으로 knock out을 시킬 예정입니다. 이후, target 유전자의 SNVs를 포함한 HDR library를 제작하여 co-transfection을 시킬 예정입니다. target의 SNVs를 수천에서 수만개를 대량으로 co-transfection을 시켜야하는데 세팅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2. 위 논문에서는 유방암 유전자 BRCA1을 HAP1 cell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기능을 검증한다하면, 특정 tissue 상관없이 HAP1 cell을 이용하여 germ-line mutation을 보는게 일반적인가요?
3. 현재 thermofisher에서 CRISPR Design to Validation Services라는 customizing service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혹시 customizing service가 잘 되어있는 추천해주실 만한 업체가 있을까요? (CRISPR-Cas9이나 Homology-Directed Repair 따로 추천해주셔도 좋습니다.)
4. 또한, HDR library를 이용하여 mutation과 관련된 functional study를 해보신 분이 있다면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