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답변을 하기 전에 수정할 내용 하나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D10A가 mutation이된 dCas9 벡터'는 약간 틀린 말일 수 있습니다. 보통 dCas9은 D10A와 함께 H840A mutation도 같이 있어야 dCas9이라고 말하고, D10A와 H840A 중에 한개의 mutation만 존재하면 Cas9 nickase라고 부릅니다.
1. dCas9에 gRNA가 붙게 되면 target site에 binding은 하지만 cleavage는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 때 dCas9에 Fok1이 linker로 연결되어있게 되면, dCas9용 gRNA로 targeting한 부위의 주변에서만 cleavage가 일어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지요.
dCas9-Fok1을 이용해서 specificity를 높이고 싶으면 두번째 논문 Fig 1a 방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2개의 Fok1이 homodimer를 이루어야만 nuclease activity를 가지도록 design을 하고, 2개의 gRNA를 target부위의 "매우 근처"를 인식하도록 만들게되면 specificity를 높일 수 있을겁니다.
2. 2개의 gRNA를 design을 했으면, 2개 중에 1개만 먹힐수도 있고, 2개 다 작동할 수도 있고....이론상으로는 2개가 동시에 working시키면서 editing 효율을 높이는 식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이 질문은 논문의 몇번 Figure에 대한 내용인지 추가 내용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