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교에서 구강상피세포 dna 추출 실험을 진행하게 된 고등학생입니다. 전문적인 지식 없이 인터넷의 다양한 사이트에서 정보를 조합해서 저희 학교에서 실험을 진행할 수 있게끔 정제하다 보니 올바른 실험 과정인지, 생략된 과정은 없는지 검토를 받고 싶습니다.
실험 과정입니다.
⑴ 컵에 생리식염수 1mL를 담고 조와 실험 조원 이름을 기재한다.
⑵ 45초 동안 입을 강하게 헹궈준다. (이때 더 많은 세포를 얻기 위해 뺨 안쪽을 살짝 씹어준다. - 피가 나지 않게 주의) 끝난 후 다시 컵에 뱉는다.
⑶ 피펫1을 이용하여 입을 헹군 식염수를 멸균처리된 뚜껑이 있는 튜브로 옮긴다.
⑷ 식염수가 담긴 튜브에 1mL의 Lysis buffer를 넣는다.
⑸ 피펫2을 이용하여 Proteinase K(단백질 분해효소)를 5방울 정도 넣고 뚜껑을 닫고 튜브를 잘 섞어준다. (Vortex Mixer 사용)
⑹ 잘 섞어 준 튜브를 56℃에서 10분 동안 배양해준다.
⑺ 배양된 튜브를 실온에 5분 정도 둔다.
⑻ 튜브를 45도 정도 각도로 잡고 피펫3을 이용하여 튜브 측면에 차가운 에탄올을 1mL 흘려준다.
⑼ 튜브랙에 꽂아둔 뒤 실온에 5분 정도 둔다.
⑽ 튜브 안의 용액의 표면에서 DNA가 보이는지 확인한다. 일부 DNA는 짙은 회색으로 보이거나 거품이 생길 수도 있다.
⑾ DNA가 들어 있는 튜브에 스포이드를 이용해 Flash blue™ solution 1방울 정도 넣어 DNA를 염색한다.
많은 조언과 지적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