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분들 말씀처럼 apoptosis 유도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억제약물을 제외한 H2O2로만 유도시킨 샘플에 대해 15, 17kDa에서 밴드가 뜨는지 검증을 먼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혹시 유도과정이 제대로 되었다는 확신이 있으시면 쓰고 있는 caspase-3 외에 같은 excutioner caspase 역할을 하는 caspase-7의 cleaved form을 확인해보세요.
저도 caspase-3의 cleaved form을 같은 제품으로 본적이 있는데 다른 항체들에 비해 cleaved form이라 그런지 노출시간을 늘려도 잘 안뜨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에 비해 cleaved caspase-7은 상대적으로 밴드가 잘떴었는데, 보통은 apoptosis발생시 caspase-3/-7이 모두 activation되므로 이를 확인해보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덧붙여서 20kDa 이하 단백질이라 10% gel은 다소 %가 낮은게 아닌가 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14% gel을 사용했었는데 이부분은 랩마다 다를수 있어서 문제없으면 그대로 하셔도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