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교에서 장기 프로젝트로 실험을 하는 고딩입니다..
1. 아직 여러 고민이 많지만 식물을 키울 때 pH농도를 다르게 하려고 합니다. 증류수의 pH농도를 다르게 설정할 때 어떤 식으로 해야 할까요..?
염산을 사용하여 세밀한 조정이 가능할까요?
또 대부분이 아직 배우지 않은 내용이라 pH 계산하는 법을 잘 모르겠어요..
2. 빨리 기를 수 있는 식물은 뭐가 좋을까요?
이전 실험에서 심화하는 실험인데 전에는 무순을 사용했거든요.
근데 무순은 작고 씨앗 하나당 하나의 싹만 자라게
되어서 같은 환경이지만 다른 씨앗에서 나는 싹에
따른 차이가 있을 거 같아서 고민입니다.
또한 여러번 실험 할 수 있는 무순보다 큰 식물을
사용할 때 수중에서 기를 수 있는 식물이면 좋을 거 같은데.. 흙은 불규칙하다고 들어서요..!
DW 혹은 DI의 pH는 사실상 설정이 불가합니다. 이론상 초순수는 실온에서 중성 상태의 pH를 띄어야 하지만 측정을 해보면 pH 4 아래로 나옵니다. 병을 오픈하는 순간 대기중의 CO2이온들이 용해되어 그렇습니다. Buffering capacity가 없어서 조금의 변화에도 급격하게 pH가 변합니다. 같은 이유로 초순수의 pH 조정은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