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고등학교를 다니는 학생인데 하고자 하는 실험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이 많이 부족해서 질문드립니다! 먼저 하고자 하는 실험은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대체 실험인데요. 박테리오파지와 코로나 바이러스가 단백질로 구성된 캡시드를 가지고 있다는 유사성을 이용해서 박테리오파지 -> 코로나바이러스 역할, 대장균 -> 인간(숙주) 역할 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박테리오 파지에 단백질을 변형시킬 수 있는 후보 물질 (강산, 강염기, 열 가해주기 등등) 을 넣어준 후 대장균에 박테리오파지를 넣어 대장균이 살아남는지 알아보는 실험입니다. 만약 대장균이 살아남아 군집을 형성한다면 박테리오파지 억제 물질이 효과가 있다는 거고, 살아남지 못하면 효과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그런 실험인데요. 제가 궁금한건
1) 박테리오파지에 강산, 강염기 등의 물질을 어떻게 첨가해야할 지 ...? 별 생각없이 그냥 마이크로 피펫으로 넣으려했는데 이건 좀 아닌 것 같기도 해서요 ㅜㅜ 아 물론, 강산과 강염기를 넣을 때 박테리오파지와 대장균이 살 수 있는 pH 와 pOH를 조사해 박테리오파지는 죽지 않지만 대장균은 죽을 수 있는 정도로 농도를 설정하려고 했습니다.
2) 미리 배양해둔 대장균에 박테리오 파지를 넣었을 때 대장균이 살아남았는지를 어떻게 확인해야할 지 막막합니다. 기존에 생각한 방법은 액체배지에 대장균을 배양시킨 후 거기에 물질을 첨가한 박테리오파지(실험군) 넣어 고체 배지에 배양시키는 방법인데요. 만약에 고체 배지에 대장균이 군집을 형성하면 살아남은 걸로 보는.... 그런 방법이었는데 이게 맞는 방법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글이 너무 긴데 누가 도와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ㅜㅜㅜㅜㅜㅜ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