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실험 동물 사용시 여성호르몬의 보호효과로 인하여 이를 배제하기 위해 수컷으로 실험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이 실험을 기획할때, DSS의 농도가 정해져있지 않아 농도확립을 위한 실험을 하여야 하고, 유도시 마우스가 희생되거나, 유도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것을 확인하고 암컷이 DSS에 저항성을 가져 보다 높은 농도에서 유도되며, 수많은 논문에서 암컷을 실험동물로 쓰는것을 확인한 후, 암컷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런데 왜 수컷으로 실험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이 들어왔을 때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생각해보면 여성호르몬의 보호효과는 사라지지 않았고, 심지어는 estradiol이 보호효과를 보인다고 논문화 되어있더군요. 실험에서는 변수를 줄이는게 기본이고.. 그래서 암컷 사용을 지양해야 하는데도 불구...
이런 기본적인 문제가 존재함에도 어째서 암컷으로 실험한 논문이 많은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