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웹진 6월호 오픈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전체 > Etc.
조회 2066  스크랩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질문 Column chromatography 질문합니다
올챙이밍핑(대학원생)  | 2022.12.01 19:15

인터넷을 참고하여 실험을 진행하다가 제가 궁금한 것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없어 이곳저곳 찾아보다가 BRIC을 알게 돼서 질문하게 됐습니다.

유튜브도 찾고 외국 커뮤니티 블로그 등 많이 찾아봤는데 Column chromatography에 loading 방법이 두 가지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Wet loading과 Dry loading, 시료를 전개 용매에 녹여서 packing한 silica gel 위에 살포시 loading해주는 것과, 시료를 silica gel에 입힌 후 powder 형태로 만들어 loading 해주는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Dry loaing인데

Crude의 일정량의 ethyl acetate에 녹인 후 silica gel을 넣고 rotary evaporator에서 감압을 진행하면 pure한 silica gel 처럼 고운 powder 형태가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제 product는 고운 powder 형태가 되질 않습니다..

오늘 실험을 어떻게 진행했냐면

1. crude에 일정량의 ethyl acetate와 silica를 녹여 rotary evaporator로 증발을 시키면 아주 끈적해보이는 oil 형태가 됐습니다.

2. 그래서 silica gel이 부족한 듯하여 oil 형태의 crude를 다시 ethyl acetate에 녹이고 silica gel을 더 첨가하여 rotary evaportor로 증발시켰습니다. 그랬더니 고운 powder 형태가 되지 않고 덩어리가 됐습니다.

3. 2번에서 얻은 덩어리에 ethyl acetate로 다시 녹인 후, crude를 조금 더 첨가하였더니 oil 형태가 되었고, 다시 위 과정을 반복하여 silica를 소량 첨가하였더니 덩어리 형태가 되었습니다.

제가 알아본 바로는 덩어리가 지면 crude(시료)가 부족한거고, oil 형태면 silica gel이 부족한거라고 알고 있는데 제가 양 조절을 실패한 걸까요 

아니면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요?

 

이 실험 외에 column chromatography에 대해 궁금한 점이 몇 가지 있는데

1. dry loading 시 시료를 silica에 입힐 때 전개 용매 외에 다른 용매로 녹여도 되는지?

2. 덩어리가 지더라도 column chromatography로 product를 분리하는데 문제가 없는지?

답답한 마음에 궁금한 것들을 두서없이 적어놔서 죄송합니다. 

#Column chromatography
답변하기
답변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대왕개구리SPEED  |  2022.12.01   
채택답변: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우선 dry loading하려는 특별한 목적이 있나요?

 

- 덩어리지면 이론단수에 문제가 발생하여 분리도가 안좋습니다.

 

- silica 덩어리를 잘게 부숴서 loading이 가능한지 한번 해보세요.

 

- 현재 현상은 시료의 성분 문제로 보이며 wet loading으로 실험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올챙이밍핑  |  2022.12.02   
답변 감사합니다

딱히 제 시료가 용해도가 좋지 않아서 dry loading을 고집하는건 아니고

저희 실험실에 짧은 컬럼관이 없어서 wet loading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 아직 석사과정 1학기다보니 초자 주문을 해도 되는지 조금 눈치보이는 상황이다보니...

그리고 어느 경우에는 powder 형태가 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덩어리가 져버려서 이러한 silica 형태들이 정확히 무엇 때문에 갈리는지 알고 싶고 제가 알고 있는 정보 외에 해결방법이 있나해서 질문해보았습니다.

Wet loading을 한다면 이렇게 진행하는 것이 맞을까요??
1. 반응시킨 vial에 있는 Crude의 용매를 전부 날려준다
2. 시료 (제 시료가 oil 형태입니다)를 전개 용매 (Hex:EA=10:1)중 비극성인 용매(Hex)에 녹여 wet loading을 해준다.

이렇게 진행한다면 또 궁금한 것이 있는데 만약 제 시료가 Hex에 안 녹는다면 위에 말씀드린 전개용매 또는 EA에 녹여서 진행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전개 용매는 써도 될 것 같지만 EA를 사용하면 silica 환경이 극성으로 돼서 비극성 환경으로는 돌이키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loading에는 소량만 사용하니 녹일 때 극성용매를 사용해도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시간 내서 답변해주셔서 감사하고 오늘도 좋은 하루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대왕개구리SPEED  |  2022.12.02   
채택답변: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oil 성상의 시료이기 때문에 덩어리지거나 분말이 잘 안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 분리에는 긴 column이 좋습니다.

 

- sample은 녹는 용매면 어떤 것을 사용해 됩니다.

 

- silica column은 비극성 -> 극성 조건으로 분리를 하기 때문에 이동상 극성이 중요합니다.

올챙이밍핑  |  2022.12.02   

오늘 wet loading으로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올챙이밍핑  |  2022.12.02   

아 짧은 컬럼관에 대해 얘기한 이유는

wet loading을 할 때 피펫을 이용하여 최대한 silica표면에서 sample을 loading해줘야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패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요.

그런데 제 컬럼관의 길이가 40cm에 피펫은 25cm, 그리고 packing은 12~3cm로 하고 있어서 loading 할 때 조금 어려움이 있습니다.

혹시 팁이 있거나 답변해주신 분께서는 주로 어떻게 하셨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알합성인데 생물공부  |  2022.12.02   
채택답변: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EA:Hex 1:10 일경우에 crude를 저 전개용매에 녹여서 로딩해주어도 됩니다.

 

어떤 crude인줄은 모르겠으나 보통 hexane 단일에는 녹지않을것입니다.

 

Dry loading을 할 경우 sample을 완전히 녹여야만 고운 파우더 형태가 됩니다. 저는 dry packing을 할 때 MeOH에 crude를 녹인 후 silica를 넣고 rotary로 바짝 날려준 후 로딩해줍니다.

 

완전히 녹지않은 상태에서 silica를 넣어줄 경우 덩어리지는것과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답변하기
할인행사/신제품신기술 광고 검색광고
코람바이오텍 코람바이오텍
[Cell Signaling Technology] Primary Antibody 전제품 3개 구매 시 20%.. (7.31까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원하는 VOLUME으로 3+1 ! 3개 구매시 1개 무조건 증정! (~23.06.30까지) (12.31까지)
크라이오젠 크라이오젠
Cryo Label Printing System (지금 구매시 -196℃ LN2 Label 500장 무상지급.. (12.30까지)
인성크로마텍 인성크로마텍
[Kd & Conc.] 항원/항체 고정 및 정제 과정 없이 결합 친화도(Kd) 및 농도(Conc.)를 동시에..
필코리아테크놀로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물질 상호작용 분석기 : Creoptix WAVE delta
필코리아테크놀로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EXOSOME 추출 쉽고, 빠르고, 높은 수율을 원하신다면 EXOSOME Production Kit
최근등록   더보기 >
subcloning insert가 계속 중간에서 잘려서 들어가는데 왜그런건지 아시는 분 있...   06.10
항균성 오류 원인...   06.10
qPCR 시 UDG 농도   06.10
single cell RNA sequencing 같은 data를 다루는 법 과외..받을 곳...   06.09
ADAM cell counter 사용해보신 분들 계신가요?   06.09
캔맥주, 병맥주 바닥에 있는 yeast 찌꺼기를 되살릴 수 있습니까?   06.09
웨스턴 Western Blot 실험 관련 질문드립니다.   06.09
60 pi dish DNA transfection   06.09
hemocytometer 관련 실험 중 질문입니다!   06.09
ripa buffer 처리 후 deep freezer 보관   06.09
투표진행
Q. 세포 실험할 때 장갑을 끼고 하시나요?
참여하기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대왕개구리SPEED

꽃개구리bio

올챙이밍고

알나만안돼

개구리범수리

개구리푸른고래

대왕개구리강시

뒷다리쿵쿠따리쿵쿠..

꽃개구리스카이

꽃개구리TX

개구리달려라~

개구리secu

개구리Eigen

개구리Marine

개구리얕은지식

개구리곰돌2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