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싱보낸 plasmid서열에서 점돌연변를 발견했는데 CGG가 AGG로 바꼈습니다. 워블법칙덕분에 아미노산이 둘다 아르기닌으로 번역되는 걸로 확인해 운이 좋았지만, 이 plasmid안의 insert DNA는 codon optimization을 진행했던거라서 번역과정에서 영향이 있지는 않을까 걱정되는데..... 그냥 써도 되나요?
실험목적이 codon optimization에 관련된 쪽이 아니고
해당 protein을 발현시켜 기능등을 알아보려는 거면 그냥 써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모르니 실험하시는 host organism에서 해당 codon이 rare codon으로 보고되어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다행히 별 차이는 없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