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주재열 교수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전체 > Cell Biology > Cell Culture
조회 782  스크랩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질문 plate에서 세포가 불균일하게 떨어집니다.
알먼머니(대학생)  | 03.14 17:40

 

현재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Hexosaminidase 실험중입니다.

24-well plate에 적절한 농도로 seeding하여 20시간 배양한 뒤

sample 1시간 전처리 후 IgE를 처리하여 또 20시간 정도 배양하는데요

이 때 sample 처리 전에 세포가 떨어질까 wash 단계는 생략하였고,

샘플 처리 전 후 모두 세포가 잘 붙어 있었는데 전처리 1시간 뒤에 IgE를 처리하기 위해 세포를 꺼내서 현미경으로 보면 배지 교체만 해준 control군 중에 몇 well은 잘 붙어있는데 몇 개의 well은 또 떨어져 있더라구요. 오히려 샘플을 처리한 well에는 또 모두 세포가 잘 붙어있는 걸로 보아 샘플의 독성 때문은 아닌 것 같고, 단지 핸들링 문제인 것 같습니다.

여기서 제가 생각해 본 트러블슈팅은

1. Media suction : 1 ml 팁 끝에 10 ul 팁을 꽂아 석션, 석션 후에 세포 상태를 보았을 때 문제 없었음   

2. 배지 교체 시 분주의 세기: 샘플은 벽면에 분주함, 분주 직후 incubation 하기 전에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잘 붙어있었음 

이렇습니다.

1, 2번 모두 저의 생각은 이러한데 제가 잡지 못한 문제가 있을까요?

모든 well에서 세포가 떨어지면 plate 코팅 문제이지는 않을까 생각 해보겠는데, 세포가 너무 불균일하게 떨어져서요

plate는 corning (#3526) 사용중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RBL-2H3
 
#24-well plate
 
#부착세포
답변하기
답변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올챙이고로쇠물  |  03.14 18:44  
Cell을 seed한다고 모든 cell이 생존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seed이후 1일후 배양액을 교체하는건 seed 한 cell중에 부착 안된 cell을 치우고 붙은 애들만 키우는 목적입니다. 그러나 세포는 엄청 민감한 애들이라 아주 잠깐만 배양액을 교체한다고 석션하기 시작하면 말라서 죽는 cell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이과정은 속도가 생명입니다. 내용을 보면서 긴가민가 한데 혹시 Subculture를 수행했나요? 했다면 Flask를 어디서 어디로 옮겼나요? 사용한 시약은 뭐를 쓰셨나요? Trysin_EDTA? DPBS? 배지는 RAT니까 RPMI1640일건데, seed는 얼마정도로 seed하나요? Cell/ml값이 있나요? 그리고 flask당 배지는 얼마넣나요? 그리고 배지는 집적 만드시나요? 아니면 완제품인가요?(include FBS제품) 배지교체때 confluence 는 어느정도 되나요?
알먼머니  |  03.14 22:42  

답변 감사합니다.

24-well plate에 seed하기 전에 100 mm dish 에 계속 subculture 했습니다.(passage는 많지 않습니다)

subculture 시 배지 석션 후 DPBS로 워시하고 Tyrpsin-EDTA로 떼어냈고요. 배지는 ATCC에 나와있는대로 EMEM (Sigma) 사용 중입니다. FBS도 ATCC 참고하여 첨가해서 사용중입니다.

100 mm dish에 계대 이어하다가 24-well plate에 seed 할 때는 1x10^5 cells/0.4ml/well로 깔아줍니다. 하루동안 배양해 준 세포를 media suction 해준 뒤에 배지에 희석한 sample을 well마다 분주해주고 1시간 배양한 후 그 위에 소량의 IgE만 첨가해주었습니다. (24-well plate에 sample 분주 전 확인 했을 때 confluency는 약 50% 였습니다.) 

다 잘 붙어있다가 배지 교체 후 좀 지나고 확인하니 조금씩 떨어져서 둥둥 떠다닙니다.

아니면 처음부터 세포를 고르게 분주하지 못해서 그럴까요? 모든 well은 아니지만 몇 개의 well은 세포가 조금 뭉쳐자란 게 있고 그 옆으로 듬성듬성 세포가 붙어있었거든요. 나중에 보니 그 뭉쳐자란 well에서 듬성듬성 자란 세포들이 다 떨어져있었습니다. 

올챙이고로쇠물  |  03.15 13:19  
채택답변: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일단 제 생각은 cell이 어떤한 환경이 바뀌어 죽어서 둥둥 떠다니는 것 같습니다. 아마 시약농도에 대한 문제와 시약 처리 과정의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그중 저는 Tyrpsin이 독성이 강해서 세포가 죽어 둥둥 떠다니는게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subculture 시 배지 석션 후 DPBS로 워시하고 Tyrpsin-EDTA로 떼어내셨다고 하셨는데 Tyrpsin-EDTA(농도 0.05%기준) 인가요? 보통 Tyrpsin-EDTA는 100mm dish면 0.75ml 분주합니다. 물론 세포주마다 제각각 오차는 있지만요. 그리고 저희 실험실은 Tyrpsin-EDTA처리후 co2 incubatordp 3min 반응후 꺼내서 1:9 비율 media를 첨가해 Tyrpsin 활성을 억제시킵니다. 물론 1:6비율이여도 되지만 생존율때문에 저희는 1:9비율을 합니다. 그래서 권장 EMEM을 6.75ml~5ml정도로 높여서 Tyrpsin 활성을 억제해보세요 ATCC는 세포컨디션이 좋은 상황에서 시험한경우도 있어서 완전히 정답은 아닙니다. 실험실 환경이나 기르는 플라스크에 따라서도 생존율이 변합니다. 제가 RBL-2H3세포주는 써보질 않아서 자세한 특성은 모르나 ATCC프로토콜과 저희 실험실방식이 좀 다릅니다. 피펫팅을 부드럽게 하라했지만 저희는 조직덩어리를 부수려고 피펫팅을 flask벽에 쎄게 7~10번 분사 합니다. 그리고 Tyrpsin도 2~3ml하라고 하는데 저희는 1ml만 합니다. 같은 75cm2너비 인데도요. 거기에 1:4로하라하는데 저희는 1:9입니다. 그래서 ATCC를 너무 맹신해서는 안되요. 

 

글을 읽어보니 ATCC 프로토콜은 정답이고 자신의 기술과 실력이 부족해서 실패한다고 심하게 의식하고 있습니다. 자신을 믿으세요 그리고 세포는 원래 변수도 심한 애들이라 우리의 예상에 항상 맞게 움직이는 애들이 아닙니다. 그러니 조급해하기보다. 실험실의 환경에서 이 세포들이 어떻게 조정해주면 잘 적응하는지 조율해보세요.

 

답변하기
할인행사/신제품신기술 광고 검색광고
그린메이트바이오텍 그린메이트바이오텍
[TECAN 한국공인대리점] TECAN Microplate reader/ IMPLEN Nanophotomet.. (4.11까지)
바이오닉스 바이오닉스
[TECAN No.1 한국공식대리점] TECAN 봄맞이 대행사! 견적 및 Demo 신청시 상품권 지급 (4.9까지)
인성크로마텍 인성크로마텍
[BQC]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분석 / 세포 분석 / 조직 염색 키트 20% 할인 (4.28까지)
코람바이오텍 코람바이오텍
Antibody 할인 - Cell Signaling Technology, Santa Cruz, Protein.. (4.25까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TissueGnostics 의 HistoQuest 는 Single cell 수준의 Image Cytometr..
마이크로젠타스 마이크로젠타스
[ExoCAS-2™] 샘플에서부터 엑소좀 까지 고농도 고순도 고회수율로 추출해주는 Exosome Isolat..
최근등록   더보기 >
용출시험액 ph   03.24
고등학교 피부 질환 개선 실험   03.24
Actin이 일정하게 나오지가 않아요   03.23
bone marrow derived dendritic cells 배양 및 활성화 실험 관련...   03.23
항산화 (ABTS & DPPH)   03.23
coomassie blue staining 한 gel 을 다시 PVDF membrane에...   03.23
LC-MS/MS에서 2가 이온 피크 확인 질문입니다   03.23
100mM만들기   03.23
Cell line 정보   03.23
3T3-L1 지방세포 단백질 정량 베타액틴 뒤죽박죽   03.23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알솔로몬이꿈

대왕개구리SPEED

개구리실험조아

개구리CBD 김선..

대왕개구리강시

개구리BBluee

개구리범수리

개구리토라

꽃개구리Kozmoj

개구리닥눈삼

꽃개구리visavis

꽃개구리Jake

개구리ryan

개구리G.P.Ts

개구리얕은지식

꽃개구리Applied_Mi..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