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마이크로젠타스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김한준 교수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전체 > Molecular Biology-DNA > Gene Cloning
조회 1652  스크랩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질문 DNA prep 후 정량은 되는데 밴드는 없는 경우
개구리토라(대학원생)  | 03.20 14:39

Cloning을 해야할 일이 있어서 사용할 Backbone vector를 쓰려고하는데

정량으로 양을 확인하려고 하니까 정량 할수록 자꾸

점점 양이 줄어드는 기이한 현상이 생겨서 갖다버리고

(예전에도 기억에 얼핏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

새로 stock에서 prep해서 뽑았는데 정량은 되는데

1ug정도의 plasmid를 enzyme으로 cut을 하면 이게

밴드가 없습니다. 아무리 하루 overnight해서 전부 다 잘라버리는

현상이 있는가 싶어도 여러 밴드도 아니고 아얘 아무것도 안보이는 건

말도 안된다싶어서 남은 vector를 시퀀싱을 맡겼는데

primer가 binding되지않는다며 시퀀싱에 실패(....)

그럼 그 이전에 만든 stock으로 다시 prep을 해봤지만 역시나 정량은 되는데

밴드가 안보이는걸 봐선 해당 plasmid stock이 옜날부터 맛탱이가 간 것

같습니다. (옛날에 계신 선배나 박사님이 만든걸로 추정됨)

밴드도 안뜨는데 그럼 도대체 뭐가 정량이 되는걸까요?;;

Genomic DNA는 prep 과정에서 침전되는걸로 알고있는데.....

집어넣을 DNA PCR까지 잘 끝났는데 해당과정에서 문제가 생겨서

진행을 못하고 있습니다.

#dna
 
#prep
답변하기
답변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개구리토라  |  03.20 14:51  

@DH5A에 transformation했었습니다.

사용할 vector는 pET21a(+)입니다.

Protein purification을 해야하는데 새로 vector를 구매하자니

시간이 오래걸릴 것 같아서 pET21a(+)를 선택했습니다.

질문에 언급한 문제가 생겨서 그러면 이미 다른 DNA를 집어넣어서

만든 vector에도 제가 쓰려는 NdeI, XhoI enzyme이 살아있으니까

그걸 잘라서 만들려고 계획도 바꿨는데,

예전에 선배들이 뽑아둔 plasmid들이 컨탐된건지

밴드가 안보이는 현상이 있습니다.

다시 stock에서 뽑아내려고 하는데... 이해가 가질 않네요..

개구리토라  |  03.20 17:59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플라스미드 기존 보관되있던 것들이

모두 다 10년 이상 박혀있던 것들이라서 그럴수도 있을까요?

어쩌다가 다시 박스 내에서 pET21a backbone vector를 찾아내긴했는데

녹여서 정량하는데... 10년 넘게 얼어있는 채로 있던 tube긴 합니다만..

정량할때부터 141ng이라 기록되있던게 66ng에서 점점 잴수록 정량값이 140ng정도까지 올라가는 현상이 보였고;;

아무것도 자르지않는 상황에서 gel을 내렸을때 기존의 5kb정도의 밴드에서 뜨긴 뜨는데... 제가 그냥 과감히 600ng정도 때려박았는데 밝게 보이지않고 약간 희미하면서 smear한 모양새가 보입니다...

DNase에 컨탐됬던가 오래되서 깨지던가.. 그런 것 같은데..

다시 prep 해보고 이번엔 말씀하신데로 세시간 정도만 잘라서 내려보겠습니다..

 

개구리실험조아  |  03.20 19:12  
채택답변: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enzyme digestion하기 전 plasmid running 해 보셨나요?

그 때는 보였는데 자른 후 없어졌다면

enzyme cut 하기 위해 들어가는 DW가 nuclease에 오염되서 일 수도 있습니다.

overnight으로 자른다고 있던 plasmid가 사라지지는 않아요.

아주 조금 줄 수는 있겠지만...

 

개구리토라  |  03.20 20:06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지금까지 8년동안 벡터 자를 때 Overnight 했다고 몽땅 잘리는 적은

경험해본적이 없긴한데 이런 일은 처음이긴 합니다 ㅠㅠ..

게다가, 해당 vector들을 자르기 전에 gel running을 해봤어야했는데

단순히 정량만 됬으니 있겠거니~ 생각하고 진행하긴 했었습니다;;

또한 답글에 달아둔대로, 박스에 또 하나 남아있는 vector가 있어서

그걸 내려봤는데 제 사이즈에 밴드는 보이나, smear한걸 봐선 좀 contamination되어있거나 오래되서 깨지는 것 같습니다.

 

해결책으로는 일단 또 무작정 prep해볼려고 e.coli로부터 3ml을 심어두긴했는데... elution할때 kit내에 포함된 elution buffer를 갖고 진행하긴했는데 그때 정제한 plasmid들이 전부 다 자르고 나니 밴드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해당 enzyme과 cutsmart buffer는 이미 PCR로 증폭시킨 DNA를 purification하면서도 썼던건데, 해당 PCR product는 제대로 밴드가 밝게 보이는걸 보니 일단 enzyme과 buffer에는 문제가 없는 것 같고 오히려  elution buffer가 오염되었을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어서 아얘 DW를 새로 받아서 elution과 모두 진행을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음... 약간 smear하긴 해도 vector 남은것도 다시 transformation해보려고 합니다..그 중에서 멀쩡한 놈이면 다시 plate에서 자랄테니 걔를 다시 불려서 stock을 만들어야겠네요..

 

 

개구리실험조아  |  03.20 20:32  
채택답변: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vector를 시퀀싱을 맡겼는데

primer가 binding되지않는다며 시퀀싱에 실패(....)"

라는 말에 답이 있는것 같아요.

 

위분 말씀처럼 plasmid 상태로 TF해서 콜로니가 안뜨면 확실히 plasmid 문제겠죠.  혹시 안깨진게 아주 조금이라도 남아 있으면 콜로니 뜨는 걸로 다시 길러서 extraction 하여 사용하셔야 할것 같네요.

개구리토라  |  03.21 09:53  

두분 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선배한테 배우기로는 그냥 E.Coli stock 쨰로(...)

그냥 팁 한번 깊게 푹 찍어서 LB 3ml 키우는 식으로 miniprep을

하는 행동을 9년을 하며 살았는데(....)

정확하게 하려면 plate에 먼저 도말하고 colony 1개를 따야하는게 맞다고 교수님께 혼쭐난 후... 걔네를 plate에 streaking 해서 다시 도말했습니다.

아침에 오니, 두 벡터 모두 잘 자라있긴한데.. ㅡ.ㅡ;; 그것 중에 하나만 딱 딸수있는 놈들 두개정도로 골라서 다시 불려서 prep하고 밴드 확인 할 예정입니다.

남아있는 vector는 오늘 다시 transformation해서 확인해볼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답변하기
할인행사/신제품신기술 광고 검색광고
그린메이트바이오텍 그린메이트바이오텍
[TECAN한국공인대리점] TECAN 자동화장비 봄맞이 상담 이벤트!! (6.9까지)
대일랩서비스 대일랩서비스
Thermo Scientific 기초장비 재고 한정 이벤트 최대 30%! (Co2 Incubator 160i.. (8.31까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Plasmid DNA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추출 가능한 Monarch® Plasmid Miniprep Kit.. (12.31까지)
코람바이오텍 코람바이오텍
2023 코람 TOP 브랜드 Mix & Match 할인 행사! (7.6까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등온핵산증폭(LAMP)을 위한 최고의 선택! Bst2.0 WarmStart® DNA Polymerase
인성크로마텍 인성크로마텍
[다중 면역형광 이미징 시스템] ORION™ 한번의 면역염색 및 스캔으로 20 여 개의 바이오마커 동시 분석
최근등록   더보기 >
엔도톡신 Low endotoxin recovery 문제.   05.31
ELISA 실험 과정에 대해서   05.31
CFX96 사용법 및 결과 분석 방법...   05.30
4 곱하기 10의 5승의 cell pellet 제조   05.30
NaCl 첨가 Mueller-Hinton Broth 제조 시 결정이 생기는 문제   05.30
OCT fat tissue cutting   05.30
웨스턴 밴드가 너무 얇습니다   05.30
Real time PCR calibration이 안됐다고 결과 차이가 없을 수 있나요?   05.30
동결건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차건조 해야하나요?)   05.30
PCR 전기영동 밴드 해석 질문있습니다.   05.30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개구리CBD 김선..

올챙이밍고

개구리SCIENTIST0..

알가치있는같이

개구리푸른고래

올챙이브르르르릭

알달성

대왕개구리SPEED

꽃개구리Applied_Mi..

꽃개구리착한사람

꽃개구리Jake

개구리애니

개구리secu

개구리propadrum

개구리빛초롱

개구리남녀칠세마동..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