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처럼 우유류 산도 측정에서 검사시료10mL과 증류수 10mL을 가하는데
식에서는 희석배수를 곱하지 않더라구요
왜 이러한지 원리나 이유가 있을까요?
- 10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기 때문에 희석에 대한 값은 반영이 되었습니다.
조금만더 상세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증류수 10mL을 가하여 희석했으니
a x f x 0.009 x 2(2배희석)
-------------- x 100(%)
10(시료 10mL) x 시료의 비중
가 되어야하는게 아닌가 의문입니다
- 10+0, 10+10, 10+20에 들어있는 수소이온 갯수는 동일합니다.
- 즉, 소모되는 NaOH양이 동일합니다.
- 원액 20ml를 사용하는 경우는 20+10, 20+20, 20+30... 20으로 나눠주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