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실험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김한준 교수
전체보기 안전점검 LABox
 전체 > Molecular Biology-DNA > Purification/Isolation
조회 866  스크랩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질문 DNA cutting후 purification잘 아시는 분..
알asdf1212(대학원생)  | 03.27 10:46

DNA cloning을 하기 위해서 enzyme cut이후 blunt end를 만들고 gel extraction kit의 filter tube에 넣고 washing 후 elution하였습니다. 그리고 nano-drop측정을 하였는데 loss가 너무 많이 일어나서 다시 진행하였습니다.

-enzyme cut 이후에도 gel extraction kit로 DNA만 얻었습니다.

-한 쪽만 blunt end를 만들기 위해 enzyme cut시 잘려나가는 부위는 없고 linear 형태가 됩니다.

이번에는 enzyme cut만 하고 이전과 같은 방법으로 DNA를 얻었는데 2ug을 사용했던 DNA의 양이 약500ng만 남게 되었습니다.

주변에 물어보니 이상이 없는 것 같은데 왜 그러냐는 소리를 듣다가 브릭에 올려봅니다.

cloning에 대하여 아는 것도 많이 없고 머리 싸메다가 올립니다. 고수님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loning
 
#enzyme cut
 
#DNA purification
답변하기
답변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개구리실험조아  |  03.27 11:06  

gel purification하면 yield가 주는 게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yield가 그 만큼 줄거라는 걸 가만해서 초기 digestion 양을 조절해야 합니다.

올챙이크리스12  |  03.27 11:08  
채택답변: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음 ㅠㅠ 답답하시겠네요.

loss가 생각보다 많이 일어나는 원인은 경험상 다음과 같습니다.

 

1) enzyme cutting이 잘 되지 않음

enzyme에 의해 잘리지 않고 circular form으로 남아있는 벡터들이 있을 수 있어요. enzyme과의 반응시간을 넉넉하게 하면 수율이 좀 더 좋아질 수 있습니다. 다만 star activity가 더 생길 수는 있습니다ㅠ

 

2) elution할 때 세부적인 습관(?)

마지막에 elution단계에서,, elution buffer 또는 DW를 column 정중앙에 떨어뜨리고 약 30초에서 1분 정도 기다리는 과정이 있는데요, column에 elution buffer 또는 DW가 잘 스며들어서 column에 걸려있는 DNA가 더 잘 용해되어 잘 빠져나오게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elution buffer나 DW를 너무 적게 사용해도 loss가 더 클 수 있습니다. elution 용량을 높이면 final concentration은 낮아지겠지만 수율 자체는 높일 수 있습니다.

 

enzyme cut product 자체를 gel run해서 한 번 보시겠어요?

잘리지 않고 circular form으로 남아있는 벡터가 많은지 먼저 확인해보세요.

 

 

>>>> 본문 내용을 제대로 안읽고 답글을 달았네요..

gel extraction의 경우 수율이 아주 많이 떨어지긴 하더라고요..

다른 분의 답글처럼 이를 감안해서 애초에 digestion을 많이 하는 게 가장 큰 해결방안 같습니다.

개구리실험조아  |  03.27 11:18  

gel extraction 시 loss는 당연히 발생하지만

크리스12님의 말씀을 참고하면

loss를 좀 더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대왕개구리SPEED  |  03.27 11:48  

- 수율이 최소 90% 이상이 안나오는 것 봐서는 gel extraction 방법에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 당연히 어떤 회수 실험도 100% 수율이 나오지 않지만 질문의 경우는 실험 방법을 다시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구리실험조아  |  03.29 13:43  

Qiagen kit 경우에도 80% 수율까지 보장하는데 90%이상 나오신다니 거의 신이신가 봅니다.

올챙이효옹  |  03.29 15:14  

그 정도면 정상입니다.

필터컬럼형식의 키트는 경험상 수율이 50% 넘기도 힘듭니다.

클로닝 하기에는 충분한 양으로 보이네요.

대왕개구리SPEED  |  03.30 08:19  

- 실험조아 , Qiagen kit 경우에도 80% 수율까지 보장하는데 90%이상 나오신다니 거의 신이신가 봅니다.

: 실험 내용은 실험내용으로 반박을 하고 한번 더 인신공격성 발언을 하면 bric 활동을 그만두는 한이 있더라도 그냥 넘어가지 않습니다.

 

- Bric 초창기 부터 활동해서 거이 30년이 다되어 가는데 사람에 대하여 이런 비꼬는 말투는 처음 듣습니다.

 

- 수율 보장은 최소 수율을 얘기하는 것이니까 실험 경험이 어느정도 인지는 모르겠지만 본인 실력으로 기준을 삼지 마세요.

알루야  |  03.30 12:54  

실험내용을 보니 Single cut으로 Linearize 하는 것 같은데,

특정 fragment 만 분리해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면

Gel extraction 후 수율 문제가 지속되면

PCR clean up 과 같은 방법이랑,

PCI 처리 + 에탄올 침전 하는 방법도 한번 써보세요.

 

답변하기
할인행사/신제품신기술 광고 검색광고
인성크로마텍 인성크로마텍
[다중 면역형광 이미징 시스템] ORION™ 한번의 면역염색 및 스캔으로 20 여 개의 바이오마커 동시 분석
그린메이트바이오텍 그린메이트바이오텍
[TECAN 한국공인대리점] TECAN Microplate reader/ IMPLEN Nanophotomet.. (7.31까지)
코람바이오텍 코람바이오텍
2023 코람 TOP 브랜드 Mix & Match 할인 행사! (7.6까지)
그린메이트바이오텍 그린메이트바이오텍
[TECAN한국공인대리점] TECAN 자동화장비 봄맞이 상담 이벤트!! (6.9까지)
마이크로젠타스 마이크로젠타스
[ExoCAS-2™] 샘플에서부터 엑소좀 까지 고농도 고순도 고회수율로 추출해주는 Exosome Isolat..
필코리아테크놀로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세계적인 CRISPR 기업인 SYNTHEGO사에서 제공하는 초고속 Knockout Cell 제작 서비스! (12.31까지)
최근등록   더보기 >
치아 상아질 재생 하이드로겔 제조 실험 의뢰드릴 수 있을까요?   05.31
HPLC 이동상 여과   05.31
zebrafish neurobehavior   05.31
웨스턴 뭐가 잘못된걸까요   05.31
Protein pH 변화   05.31
DNA 전기영동 실패 원인 분석 좀 해주세요ㅠㅠ   05.31
Annexin V Assay cell aggregation이 되는 것 같은데 어느 단계에...   05.31
Adipocyte 분화 시 lipid droplet으로 추정되는게 떨어집니다.   05.31
HEK-293T lipofection   05.31
Linker sequence 연결하는 Overlap PCR 문의드립니다   05.31
최근답변자 우수답변자
올챙이CHM91

알Biology123

대왕개구리SPEED

알오늘은또

알boulardii

올챙이해조칼슘풍덩

개구리차몬드

개구리CBD 김선..

대왕개구리SPEED

꽃개구리Jake

개구리달려라~

개구리식스센스

개구리곰돌2

꽃개구리visavis

꽃개구리bio

개구리Kim

실험관련연재
세오 연재중실전 실험 프로토콜 101
세오 (필명)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신코 연재중분석장비 이야기
분석장비 탐험가 (필명) ((주)신코)
곽민준 연재중랩노트
곽민준 (POSTECH 생명과학과)
박은총 연재마감후배에게 주고 싶은 면역학 노트
박은총(Duke University)
Mr.S 연재마감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시험
Mr. S (필명) (연세대학교)
에스프리 연재마감실험을 해봅시다
에스프리 (필명)
이제욱 연재마감생명과학자 기초체력 다지기
이제욱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위로가기
실험 홈  |  실험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