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
 |
|
|
 |
Cre mouse |
|
|
ryan | 2006.07.15 18:11
|
|
제가 mouse 실험에 입문하려고 하는데요, 아직 정확한 개념을 잡기가 힘드네요 ^^;
특히 conditional mouse부분의 cre-loxP 개념인데요.
conditional mouse라고 하면 특정 gene이 deletion되었을 경우 homo 형태로 존재하기 어려워 도입된 개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즉, 원하는 장소나 시간에 특정 gene을 deletion 시켜 실험을 하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여기에서 질문이 있는데요, conditional mouse는 co/co 와 같은 homozygote 상태에서 cre mouse와 교배를 시키는 데요, Cre mouse에도 homo, hetero - zygote의 개념이 성립합니까? 보통 논문에서는 그런것을 언급안해 주더라고요. 즉, co/co와 Cre와 교배를 시키면 무조건 특정 gene이 deletion되는 것입니까(homo라면)? 아니면 genotyping을 하여 deletion된 것을 찾아야 하는 것입니까?
그러면 만일 제가 cre mouse를 만들기 위해 construct를 만들고 injection을 시킨다고 아주 쉽게 가정을 했을 때, 만들어 지는 Cre mouse는 homo인지 hetero인지 이것 역시 genotyping을 통해 알아보아야 하는 것일까요?
정말 헤깔려서 질문합니다. 너무 기초적이라 생각마시고 답변주세요^^
|
|
|
|
|
|
|
|
|
 | |
|
 |
본 정보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된 정보로, 내용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추가적인 사실 확인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
|
|
juno | 2006.07.15
|
|
|
|
|
Cre-lox system은 tissue specific knockout 을 위한 방법이지요.
loxP site를 이용해 특정 유전자의 exon 부분을 cre에 의하여 제거할 수가 있는데요.
여기서 loxP site는 mouse의 ES cell에서 homologous recombination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Cre 유전자는 특정 조직에서만 발현되는 promoter를 이용해서transgenic mouse로 만들어지겠지요.
다시 말씀드려서 loxP는 knockout strategy로 만들어지지만
Cre는 발현을 위해서 transgenic으로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물론 transgenic의 경우에도 양쪽 allele에 모두 유전자가 삽입된 경우가 있겠지만 이렇게 유지하지는 않습니다.
Transgenic의 경우는 homologous recombination을 요구하지 않기때문에 incorporation된 위치를 모르는 경우도 많고 single copy로 들어가는 것도 아니니까요.
따라서 transgenic mouse는 homo, hetero가 아니라 transgenic과 그 littermate인 wild type으로 구분하셔야지요.
|
|
|
|
ryan | 2006.07.17
|
|
|
|
|
감사합니다. 더 공부해보고 모르는거 있으면 더 질문하겠습니다. 좋은하루 보내세요~ |
|
|
|
|
|
|
|
|
몇가지 덧붙이면,
Cre mouse에도 당연히 homo/hetero의 개념이 존재합니다. 교배를 시키는 쥐가 한쪽만 floxed 되어 있으면 당연히 헤테로가 만들어 지겠죠? 논문 읽어보시면 다 명확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두번째 질문은 transgenic으로 Cre를 만들경우를 말하는데, 트렌스제닉 자체는 homozygous로 유지 시키는 경우가 드뭅니다. 어짜피 extra로 넣어주는 것이니까요...원칙적으로 말입니다.
덧붙여서 Cre 를 이용하는 경우는 첫째로 특정 조직에서만 타겟유전자를 없애기 위해서 씁니다. 윗분이 말해주신 경우가 되겠죠. 두번째는 특정 시기에만 타겟 유전자를 없애기 위해서 쓰기도 합니다. 즉 실험자가 시기를 정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기도 합니다. 세째로 요즘은 transgenic보다는 knock-In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lineage study를 하고 싶을때 그렇습니다. mammalian gene expression을 조절하는 부위가 많은 경우 - 특히 spatiotemporally regulated gene - 전사 시작 부위에서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0-80키로베이스 정도로...그래서 트렌스제닉의 형태로 만들경우에는 아예 Bac recombineering이라는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요즘 트렌드는 Tet-off시스템을 이용한 inducible Cre를 많이 씁니다. |
|
|
|
juno | 2006.07.18
|
|
|
|
|
Cre mouse에 homo, hetero 가 있다라는 것보다는
flox site에 homo, hetero 가 있는것이겠지요.
|
|
|
|
|
|
|
|
|
Cre-mouse도 homo, hetero가 존재한다면 cre이 작동하는 것에도
반드시 homo여야지만 loxp와 반응해서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중지시키는 것인가요 ?
(cre쪽은 hetero, homo 상관이 없은 것인가요?)
아니면 loxp쪽 유전자만 homo이면 되는 것인가요 ?
답변이라고 보다 질문이 되었습니다. |
|
|
|
|
|
|
|
|
cre-loxP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근본적인 이유자체가
모든 조직에서 homo하게 gene이 KO되면 lethal이 되니까
특정 부위에서만 gene을 KO 시키기 위해서 쓰입니다.
그래서 많이 쓰이는 방식이
조직 특이적 혹은 발생 특이적으로 조절되는 유전자의 promoter를
가진 cre-transgenic mouse와
recombination-out하고자 target gene 혹은 gene segment를
두 개의 loxP 사이에 위치된 mouse를 교배시키는거죠 |
|
|
|
|
|
|
|
|
|
|
|
|
|
 |
|
 |
 Viiiiiii
 SPEED
 루야
 Eigen
 연람
 cslee
 기적
 촉촉한촉수
|
|
|
 개그
 별숲
 빛초롱
 얕은지식
 엘피스
 juno
 느림보
 Kozmoj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