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대한암학회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추천논문 상위피인용논문 인터뷰 그이후 한빛사통계
송재환
송재환 (Jaewhan Song) 저자 이메일 보기
연세대학교
저자CV 보기
475 KB
  CV updated 2020-08-05 11:36
 
조회 2266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CHIP controls necroptosis through ubiquitylation- and lysosome-dependent degradation of RIPK3
Jinho Seo1,6, Eun-Woo Lee1,6, Hyerim Sung2, Daehyeon Seong1, Yves Dondelinger3,4, Jihye Shin1,5, Manhyung Jeong1, Hae-Kyung Lee1, Jung-Hoon Kim1, Su Yeon Han1, Cheolju Lee5, Je Kyung Seong2, Peter Vandenabeele3,4 and Jaewhan Song1,7

1Department of Biochemistry, College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Yonsei University, Seoul 120-749, Korea. 2Laboratory of Developmental Biology and Genetics,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BK21Plus Program for Creative Veterinary Science Research,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Bioinformatics, BIO-MAX institute, Korea Mouse Phenotyping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South Korea. 3Department of Biomedical Molecular Biology, Ghent University, Technologiepark 927, 9052 Zwijnaarde-Ghent, Belgium. 4Inflammation Research Center, VIB, Technologiepark 927, 9052 Zwijnaarde-Ghent, Belgium. 5BRI,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136-791, Korea. 6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7Correspondence to : Jaewhan Song
 
Abstract
Receptor-interacting protein kinase 3 (RIPK3) functions as a key regulator of necroptosis. Here, we report that the RIPK3 expression level is negatively regulated by CHIP (carboxyl terminus of Hsp70-interacting protein; also known as STUB1) E3 ligase-mediated ubiquitylation. Chip-/- mouse embryonic fibroblasts and CHIP-depleted L929 and HT-29 cells exhibited higher levels of RIPK3 expression, resulting in increased sensitivity to necroptosis induced by TNF (also known as TNFα). These phenomena are due to the CHIP-mediated ubiquitylation of RIPK3, which leads to its lysosomal degradation. Interestingly, RIPK1 expression is also negatively regulated by CHIP-mediated ubiquitylation, validating the major role of CHIP in necrosome formation and sensitivity to TNF-mediated necroptosis. Chip-/- mice (C57BL/6) exhibit inflammation in the thymus and massive cell death and disintegration in the small intestinal tract, and die within a few weeks after birth. These phenotypes are rescued by crossing with Ripk3-/- mice. These results imply that CHIP is a bona fide negative regulator of the RIPK1-RIPK3 necrosome formation leading to desensitization of TNF-mediated necroptosis.
논문정보 F1000선정
- 형식: Research article
- 게재일: 2016년 02월 (BRIC 등록일 2016-02-23)
- 연구진: 국내(교신)+국외 연구진태극기
- 분야: Cell_Biology
관련 보도자료
세포사멸 조절인자 찾았다…암·자가면역질환 등 치료연구 기여...연세대 송재환 교수팀
다양한 종양억제 인자를 제어해 세포자살(apoptosis)에 영향을 미치는 유비퀴틴화 부착 단백질(CHIP)이 광범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새로운 메커니즘인 네크로톱시스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마이토콘드리아 PARP1의 NAD+ 의존적PARylation을 통한 마이토콘드리아 전사 조절 [Exp. Mol. Med.]
이종혁
발표: 이종혁 (Mercer University School...)
일자: 2023년 4월 5일 (수)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scHumanNet : Network analysis to prioritize cell type specific Hub genes via Single Cell Network Biology [Nucleic Acids Res.]
차준하
발표: 차준하 (연세대학교)
일자: 2023년 4월 5일 (수)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혈흔 내 대사체 분석에 환경 조건이 미치는 영향과 이를 고려한 혈흔 유류경과시간의 추정 가능성 확인 [Environ. Res.]
이유림
발표: 이유림 (을지대학교)
일자: 2023년 4월 7일 (금)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타겟 핵산을 민감하게 검출하기 위한 핵산 증폭 기법 및 전기 화학 신호 증폭 기법 [Biosens. Bioelectron.]
류준석
발표: 류준석 (고려대학교)
일자: 2023년 4월 12일 (수)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SMART-Net: Multi-Task Learning을 이용한 강건한 뇌출혈 진단 알고리즘 개발. [Med. Image Anal.]
경성구
발표: 경성구 (서울아산병원)
일자: 2023년 4월 13일 (목) 오후 03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수면 양과 깊이를 조절하는 흥분성 뉴런의 Kinase 신호전달 체계 규명 [Nature]
김자경
발표: 김자경 (IIIS, University of Tsuk...)
일자: 2023년 4월 14일 (금)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영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Bridged PROTAC을 이용한 undruggable 표적 단백질 분해 전략 소개 [Adv. Sci.]
박광수
발표: 박광수 (Icahn school of medicine...)
일자: 2023년 4월 18일 (화) 오전 11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고분자 DNA 하이드로젤의 결정도 조절을 통한 항암약물 방출 조절 [J. Control. Release.]
남건욱
발표: 남건욱 (연세대학교)
일자: 2023년 4월 18일 (화)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Ulcerative colitis의 새로운 치료법에 관한 연구: 지질나노입자/IL-22 mRNA 경구 투여를 통한 장점막 염증 치료 [Biomaterials]
성준식
발표: 성준식 (University of Maryland S...)
일자: 2023년 4월 20일 (목) 오전 11시 (한국시간)
언어: 영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자가면역 T 세포와 심근염 [Cell Reports.]
원태준
발표: 원태준 (Johns Hopkins University...)
일자: 2023년 4월 24일 (월)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트랜스포머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히스톤 코드의 해독 [Nat. Commun.]
이도훈
발표: 이도훈 (서울대학교)
일자: 2023년 4월 26일 (수)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댓글 0
등록
 
목록
관련링크
송재환 님 전체논문보기 >
관련인물
관련분야 논문보기
Cell_Biology

외부링크
ORCID ORCID 0000-0001-8152-9210
Google Scholar
PubMed
프리미엄 Bio일정 Bio일정 프리미엄 안내
2023 Weconomy Startup Challenge 참여기업 모집
2023 Weconomy Startup Challenge 참여기업 모집
날짜: 2023.04.14
주관: (재)서울산업진흥원
[필코리아테크놀로지] Stellaris RNA FISH 웨비나에 초대합니다!
[싸이티바 웨비나] 성공적인 단백질 정제를 위한 레진 선택 가이드
[싸이티바 웨비나] 성공적인 단백질 정제를 위한 레진 선택 가이드
사전접수: ~2023.04.06
날짜: 2023.04.06
Online 개최
DGIST 뇌과학과 오픈랩 개최
DGIST 뇌과학과 오픈랩 개최
날짜: 2023.04.08
장소: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023학년도 POSTECH 생명과학과 대학원 온라인 설명회
2023학년도 POSTECH 생명과학과 대학원 온라인 설명회
날짜: 2023.03.31
주관: POSTECH 생명과학과
제49차 대한암학회 학술대회 및 제9차 국제암컨퍼런스
제49차 대한암학회 학술대회 및 제9차 국제암컨퍼런스
초록접수: ~2023.03.31
사전접수: ~2023.05.19
날짜: 2023.06.15~16
장소: 서울롯데호텔
20th Avison Biomedical Symposium 2023
20th Avison Biomedical Symposium 2023
날짜: 2023.05.19~20
장소: 세브란스병원 6층 은명대강당
2023 오가노이드학회 춘계학술대회
2023 오가노이드학회 춘계학술대회
사전접수: ~2023.03.31
날짜: 2023.04.14
장소: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
KBIO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양성 2차 교육접수 안내 [일정변경]
KBIO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양성 2차 교육접수 안내 [일정변경]
사전접수: ~2023.04.28
날짜: 2023.03.06~31
장소: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서경배과학재단 신진과학자 연구지원 프로그램 (해외 지원 재개)
위로가기
한빛사 홈  |  한빛사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엘앤씨바이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