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마이크로젠타스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김한준 교수
전체보기 추천논문 상위피인용논문 인터뷰 그이후 한빛사통계
사진없음
정혜원 (Hye Won Jeong) 저자 이메일 보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저자CV 보기
79 KB
  CV updated 2020-07-18 22:07
 
조회 258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BNT162b2-induced memory T cells respond to the Omicron variant with preserved polyfunctionality
열기 Authors and Affiliations

Abstract

The Omicron variant (B.1.1.529)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extensively escapes neutralizing antibodies elicited by SARS-CoV-2 infection or vaccin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BNT162b2 messenger RNA vaccine-induced memory T cells functionally respond to the Omicron spike protei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samples from healthcare workers who were immunized with two or three doses of the BNT162b2 mRNA vaccine and individuals with prior SARS-CoV-2 infection who were immunized with two doses of the BNT162b2 vaccine. Vaccine-induced memory T cells exhibited substantial responses to the Omicron spike protein, with no difference between healthcare workers with two versus three vaccine doses. In individuals with prior infection, two-dose vaccination robustly boosted memory T cells that responded to the Omicron spike protein and the SARS-CoV-2 wild-type (lineage B) spike protein. Importantly, polyfunctionality was preserved in vaccine-induced memory T cells responding to the Omicron spike protein.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BNT162b2-induced memory T cells substantially respond to the Omicron variant with preserved polyfunctionality.

논문정보
- 형식: Research article
- 게재일: 2022년 05월 (BRIC 등록일 2022-05-18)
- 연구진: 국내연구진태극기
- 분야: Microbiology
관련 보도자료
백신이 만든 기억 T세포, 오미크론에 강한 면역반응
코로나19 백신접종 뒤에도 돌파감염 사례가 잇따르면서(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3차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4명중 1명 수준이다) 백신 효과에 대한 의심도 생긴다. 하지만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기억 T세포 기억...
TAPE-seq: Prime Editor를 직접 사용한 Genome-wide off-target 예측 방법 [Nat. Commun.]
이정준
발표: 이정준 (툴젠)
일자: 2023년 5월 30일 (화)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망막혈관폐색을 극복하는 광반응성 철-나이트로실 복합체의 개발과 응용 철-나이트로실 복합체를 이용한 급성혈관폐색의 광역학적 치료 [Chem.]
최지수
발표: 최지수 (DGIST)
일자: 2023년 6월 2일 (금) 오전 11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배고픔에 의해 조절되는 가측시상하부 신경들의 맛집 탐방과 음식 먹기 행동 조절 [Nat. Commun.]
김규식
발표: 김규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일자: 2023년 6월 2일 (금)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영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인간 만능줄기세포의 역분화를 억제하는 분자 장벽 ZBTB12 [Nat. Commun.]
한다솔
발표: 한다솔 (Altos labs)
일자: 2023년 6월 8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정맥주사형 항암 바이러스 연구 개발과 비임상 효능 확인 [J. Immunother. Cancer.]
이남희
발표: 이남희 (신라젠)
일자: 2023년 6월 9일 (금)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한 뇌 활성지도 작성 연구 [Neuron]
김성훈
발표: 김성훈 (서울대학교)
일자: 2023년 6월 12일 (월)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단일세포 RNA-seq 데이터 분석을 위한 마커 기반의 계층적 세포유형식별 SW, HiCAT을 이용한 세포 하위유형 및 활성상태 식별 [Brief. Bioinform.]
윤석현
발표: 윤석현 (단국대학교)
일자: 2023년 6월 14일 (수)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인간 난모세포의 발달 능력과 방추체 관찰의 상관관계 [Fertil. Steril.]
문정희
발표: 문정희 (Stanford Medicine Childr...)
일자: 2023년 6월 15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자성 신경 스페로이드 마이크로로봇를 이용한 자기장 제어 기반 신경세포연결 연구 [Adv. Mater.]
김은희
발표: 김은희 (아임시스템)
일자: 2023년 6월 20일 (화) 오후 03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부터 신의료기술까지: 망막기반 심혈관위험평가 [BMC Med.]
임형택
발표: 임형택 (Mediwhale (APAC), Duke-N...)
일자: 2023년 6월 21일 (수) 오후 03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유전자 발현의 존재/부재 보완을 통한 작물의 잡종강세 (Heterosis) [J. Adv. Res.]
이준선
발표: 이준선 (University of British Co...)
일자: 2023년 6월 22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영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숨겨진 신호를 가진 보호색의 기능 및 진화 [Science.]
강창구
발표: 강창구 (서울대학교)
일자: 2023년 6월 27일 (화)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세포 리프로그래밍과 조직 재생의 공통 기전 연구 [Sci. Adv.]
하정민
발표: 하정민 (기초과학연구원)
일자: 2023년 6월 28일 (수)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Extru-seq: 세포 기반과 시험관 기반의 장점들을 모두 취한 표준화된 크리스퍼 오프타겟 예측법 [Genome Biol.]
이정준
발표: 이정준 (툴젠)
일자: 2023년 6월 28일 (수)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흉터 없이 투명한 각막 조직 재건을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조직 실란트 개발 [Biomaterials]
김현지
발표: 김현지 (POSTECH)
일자: 2023년 6월 29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댓글 0
등록
 
목록
관련링크
정혜원 님 전체논문보기 >
관련인물
관련분야 논문보기
Microbiology

외부링크
ORCID ORCID 0000-0002-1063-8476
Google Scholar
PubMed
프리미엄 Bio일정 Bio일정 프리미엄 안내
삼성서울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제10회 국제심포지엄(6/23, 금)
[필코리아테크놀로지] 다양한 산업화 영역에서 활용되는 CRISPR technology
[KBIOHealth]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양성 3차과정 교육생 모집
[KBIOHealth]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양성 3차과정 교육생 모집
날짜: 2023.05.02~07.21
장소: 충북 청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2023년 생명과학부 하계 인턴연구쉽
2023년 생명과학부 하계 인턴연구쉽
날짜: 2023.07.03~28
장소: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123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지스트 생명과학부 오픈랩 개최
지스트 생명과학부 오픈랩 개최
날짜: 2023.06.09
장소: 생명과학부(건물번호:S3)
[POSTECH] 2023학년도 융합대학원 의과학전공 하계 인턴십 참가모집
2023 ASCO Annual meeting Tempus Event에 초대합니다
2023 ASCO Annual meeting Tempus Event에 초대합니다
날짜: 2023.06.02~06
장소: 시카고 McCormic Place
Advanced Microplate Reader Technology: 기초과학 및 신약개발 연구의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는 Microplate Reader 기반 기술 트렌드
제2회 유한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연구과제 공모
[KBIOHealth] 2023 신약개발지원센터 Tech Talk
[KBIOHealth] 2023 신약개발지원센터 Tech Talk
사전접수: ~2023.05.29
날짜: 2023.05.31
장소: KW컨벤션 5층 아이리스홀
유전자 분석 전문인력 양성(2023년) 교육 - 기초
유전자 분석 전문인력 양성(2023년) 교육 - 기초
사전접수: ~2023.05.31
날짜: 2023.06.08~08.04
장소: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제5회 아산융합의학원(AMIST) 연구체험 인턴십 프로그램 모집 안내
제5회 아산융합의학원(AMIST) 연구체험 인턴십 프로그램 모집 안내
날짜: 2023.06.07
주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아산융..
[싸이티바 웨비나] 성공적인 세포 동결 보존을 위한 공정 개발 전략
[Cytiva] 세포치료제 연구·생산자를 위한 맞춤 방문 세미나 "Meet the Expert"
위로가기
한빛사 홈  |  한빛사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ACROBIOSYSTEMS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