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서브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웹진 6월호 오픈
전체보기 추천논문 상위피인용논문 인터뷰 그이후 한빛사통계
서동진
서동진 (Dongjin Seo) 저자 이메일 보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터뷰보기 
조회 395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Investigation of the Trajectory of Muscle and Body Mass as a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Longitudinal Cohort Study
열기 Authors and Affiliations

Abstract

Background: Skeletal muscle and BMI are essential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colorectal cancer (CRC). Howeve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due to scarce studies on the continuous aspects of these variables.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impact of the initial status and trajectories of muscle and BMI on overall survival (OS) and assess whether these 4 profiles within 1 year can represent the profiles 6 years later.

Methods: We analyzed 4056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CRC between 2010 to 2020. The volume of the muscle with 5-mm thickness at the third lumbar spine level was measured using a pretrained deep learning algorithm. The skeletal muscle volume index (SMVI) was defined as the muscle volume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height. The correlation between BMI status at the first, third, and sixth years of diagnosis was analyzed and assessed similarly for muscle profiles. Prognostic significances of baseline BMI and SMVI and their 1-year trajectories for OS were evaluated by restricted cubic spline analysis and survival analysis. Patie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se 4 dimensions, and prognostic risks were predicted and demonstrated using heat maps.

Results: Trajectories of SMVI were categorized as decreased (812/4056, 20%), steady (2014/4056, 49.7%), or increased (1230/4056, 30.3%). Similarly, BMI trajectories were categorized as decreased (792/4056, 19.5%), steady (2253/4056, 55.5%), or increased (1011/4056, 24.9%). BMI and SMVI values in the first year after diagno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ose in the third and sixth years (P<.001). Restricted cubic spline analysis showed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baseline BMI and SMVI change ratio and OS; BMI, in particular, showed a U-shaped correlation. According to survival analysis, increased BMI (hazard ratio [HR] 0.83; P=.02), high baseline SMVI (HR 0.82; P=.04), and obesity stage 1 (HR 0.80; P=.02) showed a favorable impact, whereas decreased SMVI trajectory (HR 1.31; P=.001), decreased BMI (HR 1.23; P=.02), and initial underweight (HR 1.38; P=.02) or obesity stages 2-3 (HR 1.79; P=.01) were negative prognostic factors for OS. Considered simultaneously, BMI >30 kg/m2 with a low SMVI at the time of diagnosis resulted in the highest mortality risk. We observed improved survival in patients with increased muscle mass without BMI loss compared to those with steady muscle mass and BMI.

Conclusions: Profiles within 1 year of both BMI and muscle were surrogate indicators for predicting the later profiles. Continuous trajectories of body and muscle mass a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patients with CRC. An automatic algorithm provides a unique opportunity to conduct longitudinal evaluations of body compositions. Further studies to understand the complicated natural courses of muscularity and adiposity are necessary for clinical application.

논문정보
- 형식: Research article
- 게재일: 2023년 03월 (BRIC 등록일 2023-03-23)
- 연구진: 국내연구진태극기
- 분야: Medicine, Bioinformatics, Cancer Biology/Oncology
관련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저희가 진행한 연구는 oncology와 data science을 융합한 분야의 연구이며, 대장암 환자의 예후에 있어서 체지방 변화와 근육량 변화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낮은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와 근육량 감소가 대장암 환자의 예후에 악영향을 끼침이 기존에 밝혀진 바 있지만, 암 환자의 BMI 및 근육량 변화의 자연경과를 고려하지...
관련 보도자료
대장암 환자, 근육량 증가 통해 비만도(BMI) 높이면 치료 예후 좋아
암 환자의 기대 수명 증가를 위해서는 체중 감소보다 증가시켜야 하며 근육량을 유지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안중배, 김한상 교수와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박유랑 교수, 세브란스병원...
정맥주사형 항암 바이러스 연구 개발과 비임상 효능 확인 [J. Immunother. Cancer.]
이남희
발표: 이남희 (신라젠)
일자: 2023년 6월 9일 (금)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한 뇌 활성지도 작성 연구 [Neuron]
김성훈
발표: 김성훈 (서울대학교)
일자: 2023년 6월 12일 (월)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단일세포 RNA-seq 데이터 분석을 위한 마커 기반의 계층적 세포유형식별 SW, HiCAT을 이용한 세포 하위유형 및 활성상태 식별 [Brief. Bioinform.]
윤석현
발표: 윤석현 (단국대학교)
일자: 2023년 6월 14일 (수)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인간 난모세포의 발달 능력과 방추체 관찰의 상관관계 [Fertil. Steril.]
문정희
발표: 문정희 (Stanford Medicine Childr...)
일자: 2023년 6월 15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자성 신경 스페로이드 마이크로로봇를 이용한 자기장 제어 기반 신경세포연결 연구 [Adv. Mater.]
김은희
발표: 김은희 (아임시스템)
일자: 2023년 6월 20일 (화) 오후 03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부터 신의료기술까지: 망막기반 심혈관위험평가 [BMC Med.]
임형택
발표: 임형택 (Mediwhale (APAC), Duke-N...)
일자: 2023년 6월 21일 (수) 오후 03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유전자 발현의 존재/부재 보완을 통한 작물의 잡종강세 (Heterosis) [J. Adv. Res.]
이준선
발표: 이준선 (University of British Co...)
일자: 2023년 6월 22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영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숨겨진 신호를 가진 보호색의 기능 및 진화 [Science.]
강창구
발표: 강창구 (서울대학교)
일자: 2023년 6월 27일 (화)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세포 리프로그래밍과 조직 재생의 공통 기전 연구 [Sci. Adv.]
하정민
발표: 하정민 (기초과학연구원)
일자: 2023년 6월 28일 (수)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Extru-seq: 세포 기반과 시험관 기반의 장점들을 모두 취한 표준화된 크리스퍼 오프타겟 예측법 [Genome Biol.]
이정준
발표: 이정준 (툴젠)
일자: 2023년 6월 28일 (수)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흉터 없이 투명한 각막 조직 재건을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조직 실란트 개발 [Biomaterials]
김현지
발표: 김현지 (POSTECH)
일자: 2023년 6월 29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액체-액체 상분리 현상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을 이용한 신경세포 시냅스 전말단의 두가지 서로 다른 vesicle pool (synaptic vesicle vs ATG9 vesicle)의 응집현상 연구 [Nat. Commun.]
박대훈
발표: 박대훈 (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일자: 2023년 7월 4일 (화)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바이오-나노 하이브리드 필터 기술을 이용한 바이러스 및 단백질의 농축 분리와 이를 활용한 고민감도 현장 시스템 [Nat. Commun.]
이승민
발표: 이승민 (고려대학교)
일자: 2023년 7월 6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Rare to common diseases: Role of lipid metabolism in neuroinflammation [Cell Metab.]
정형록
발표: 정형록 (HOUSTON METHODIST RESEAR...)
일자: 2023년 7월 7일 (금)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수술을 잘 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복강경 위암수술의 다기관 임상시험 의 수술평가 결과 분석[Ann. Surg.]
김형일
발표: 김형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일자: 2023년 7월 10일 (월) 오전 10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DeepPrime: 최적의 프라임 에디터 유전자 가위를 설계하는 방법 [Cell]
유구상
발표: 유구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일자: 2023년 7월 11일 (화) 오후 02시 (한국시간)
언어: 한국어
참석자 접수신청하기

  댓글 1
회원작성글 김한상  (2023-03-27 18:50)
축하합니다!
등록
 
목록
관련링크
서동진 님 전체논문보기 >
관련인물
관련분야 논문보기
Medicine

Bioinformatics

Cancer Biology/Oncology

외부링크
Google Scholar
PubMed
프리미엄 Bio일정 Bio일정 프리미엄 안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3년 바이오·의료 창업기업 국내·외 시장진출 역량강화 사업 수요기업 모집
2023년 아산융합의학원(AMIST) 신약개발 썸머스쿨
2023년 아산융합의학원(AMIST) 신약개발 썸머스쿨
날짜: 2023.07.10~08.18
장소: 서울아산병원
제10회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분석기술 워크숍
제10회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분석기술 워크숍
사전접수: ~2023.06.14
날짜: 2023.06.15
장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강당
바이오 QC 전문가 15기 교육생 모집(HPLC, 질량분석 등)
바이오 QC 전문가 15기 교육생 모집(HPLC, 질량분석 등)
날짜: 2023.06.01~07.03
장소: 성남시 분당구(서현역 4번출구, 한국폴리텍대학 분당융합기술교육원)
[10x Genomics] Single cell 및 Spatial tools를 통한 새로운 타깃 및 바이오마커 발굴
삼성서울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제10회 국제심포지엄(6/23, 금)
[POSTECH] 2023학년도 하계 시스템생명공학부 인턴십 참가모집
[POSTECH] 2023학년도 하계 시스템생명공학부 인턴십 참가모집
날짜: 2023.06.09
주관: 포스텍 시스템생명공학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다양한 산업화 영역에서 활용되는 CRISPR technology
[KBIOHealth]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양성 3차과정 교육생 모집
[KBIOHealth]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양성 3차과정 교육생 모집
날짜: 2023.05.02~07.21
장소: 충북 청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OSTECH] 2023학년도 융합대학원 의과학전공 하계 인턴십 참가모집
Advanced Microplate Reader Technology: 기초과학 및 신약개발 연구의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는 Microplate Reader 기반 기술 트렌드
제2회 유한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연구과제 공모
[Cytiva] 세포치료제 연구·생산자를 위한 맞춤 방문 세미나 "Meet the Expert"
위로가기
한빛사 홈  |  한빛사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