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커뮤니티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미국 박사 유학 생존기
전체보기 소리마당PLUS 학회룸쉐어 Sci카페 SciON(설문조사)
조회 1717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진로] 고1 생물학과, 미생물학과 꿈꾸는 학생인데 여쭤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회원작성글 민물연어초밥(일반인)
  (2022-08-10 13:29)

안녕하세요 이제 고1인 생물학과와 미생물학과를 꿈꾸는 학생입니다.

아래 글은 그냥 제 상황을 장황하게 써놓은 tmi 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생물학과나 미생물학과로 진학하기를 꿈꾸는데 어렸을때는 "돈을 벌기보다는 내가 하고싶은걸 하자 해서 돈이 잘 벌리든 안 벌리든 상관없이 이 두 학과로 진학을 하자!" 라고 마음을 먹었었는데 이제 고등학생이 되어서 생물학과랑 미생물학과로 진학하기 위해서 학교활동도 많이 참여하고있는데 친구들끼리 서로 가고싶은 학과를 말하는데 제가 이 두 학과로 진학하고 싶다하니 친구들이 그런 학과를 왜 가냐고 뭐라 하더군요. 이 학과를 졸업하고 나서 연구원 쪽으로 진로를 잡을 생각이였는데 친구들이 연구원 돈도 못버는데 왜 그런 쪽으로 진로를 잡냐고 저를 무시를 하더군요. 솔직히 어느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그렇게 말을 들으니까 상처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지금이라도 꿈을 바꿔야하나 생각도 하고있는데 이미 희망진로나 희망직업 같은 곳에 미생물학과랑 연구원으로 밖에 작성하지 않아서 여기서 바꾸기에는 늦지않았나 싶기도 해서 요즘 생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원래 되게 꿈이 많았습니다. 생물학연구원, 생물학자, 소방관, 해양학자, 지질학자, 선생님, 약사, 응급구조사 중 가장 하고싶은게 생물학연구원이여서 생물학쪽으로 계속갔었는데.. 후회가 되기도 하네요... 이미 건널 수 없는 강을 건넌 거 같기도 하고..

 

좀 긴 얘기를 적어봤는데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미생물학과를 꿈꾸다가 전망이 어둡다하고 주변 친구들의 말로 인해서 상처를 받아서 지금이라도 전에 꿈꾼 과를 가야하나 고민중입니다.

그래서 질문드리고 싶은 것이 몇가지 있습니다.

1. 생물학과를 포기하지 말까요?

2. 지금이라도 다른 과를 생각해볼까요? ex) 해양학과, 생물'교육'과, 식물학과 등

3. 앞서 말한 생물학과, 해양학과, 식물학과 그리고 소방관, 응급구조사, 약사등을 꿈꾼 학생에게 추천해주실 학과가 있나요? (참고로 1학년 1학기 평균 등급은 2.6 정도 나왔습니다...ㅠ)

 

글이 난잡하여 죄송합니다.

 



태그  #생물학과
신고하기
목록 글쓰기
  댓글 5  
구글회원 작성글 BG*********(비회원)  (2022-08-10 15:38)
1
막말로 고등학교 1학년이 알아 봤자 얼마나 알겠습니까 그냥 한귀로 흘리시면 되고요.
분야 막론하고 전문성을 가지는 직업은 모두 존중받아야 마땅합니다.
생물학과에서 파생되는 엄청나게 많은 종류의 전공이 있으니, 생물과 관련된 학과중 가장 괜찮은 학교로 진학하시면 됩니다.
댓글리플
  
  신고하기
회원작성글 냉이(과기인)  (2022-08-10 17:30)
2
또래 동기들이 해주는 조언이 필요할때도 있지만 ...서로 모를 때하는 조언은 흘려들어도 될것같아요
돈 버는 문제는 분야와 상관없이 최고?의 위치에 오르거나 더 열심히 뛰면 많이 법니다 ^^;;;
생물학도 교수나 제약회사 임직원등등 무슨 분야든 연봉 높은 사람은 있기 마련이니까요
어느 분야든 그런 위치? 본인이 원하는 수준에 오르기 위해서는 꾸준히 공부하고 자기개발을 해나가면 좋은 결과가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그 수준에 오르기 위해서는 본인이 좋아하고 관심있는 분야라면 더 수월하게? 갈수 있지 않겠냐싶네요
게다가 생물학 중에서 미생물학은......취직이 더 잘되는? 식품이나 유제품관련 업체나 연구소나 공무원이나 실생활에 적용범위가 넓은 편으로 알고 있습니다...^^*
홧팅하세요 단지 생물학은 전공으로 취직하려면 석박정도는 해야....더 좋아요
댓글리플
  
  신고하기
회원작성글 서규원(과기인)  (2022-08-10 17:52)
3
건널 수 없는 강을 건넜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습니다. 앞으로 진로에 대한 생각은 계속 바뀔 수 있고, 전공이 결정되고 졸업을 한 후에도 바뀔 수 있습니다. 지금은 일단 열심히 공부하세요. 생물학만 공부하지 말고 다른 과목들도 관심을 갖길 바랍니다.
댓글리플
  
  신고하기
회원작성글 크옷(과기인)  (2022-08-11 17:58)
4
꿈을 가지고 미래를 설계할 때는, "무엇이 되고 싶다" 보다는 "무엇을 하고 싶다" 는 식으로 생각하라고 하더군요. 연구원이 되고 싶다 보다는 XX 를 연구해보고 싶다, YY 문제를 해결해보고 싶다 ... 이런 식으로요.

공부 열심히 하시구요. 화이팅입니다! :)
댓글리플
  
  신고하기
회원작성글 캐틀(과기인)  (2022-08-18 14:22)
5
ㅋㅋㅋ 아직 고등학교 1학년생들인데 뭘 알까요??ㅎㅎ 꿈은 자주 바뀌는게 정상입니다.ㅎㅎㅎ 특히 사춘기때의 학생의 경우 정상적인 거지요..
전 미생물학을 전공하고 현직에서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현재 생물학과란 과명을 단 학교들이 있을지 의문이네요...요즘 대부분 생명공학, 생명과학 의생명과학 등등 생명관련학과로 바뀌지 않았나 싶은데...제가 학교 입학할 당시만 해도 생물학과란 과명을 점점 생명XX으로 바꾸는 추세라....한 20년은 되었네요..

미생물의 범주는 아주 넓습니다. 식품에서 부터, 의료, 제약, 화학, 반도체 분야까지요 화학이랑 반도체는 미생물과는 전혀 상관이 없을 것 같은데 미생물과 접목되어 있습니다.
미생물(박테이라, 바이러스, 곰팡이 등등)이 사람에게 큰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아주 유용한 물질을 생산해 내기도 하죠, 대표적인것이 항생제 입니다. 페니실린 항생제는 미생물에서 발견되고 생산되었으니깐요. ~~마이신, ~~신등으로 끝나는 항생제는 미생물에서 발견되고 생산되었습니다.

전 미생물의 유전자를 바꾸어 항생제를 더 많이 생산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던지라...미생물학의 범주가 공부하면 할 수록 아주 넓다는 느끼고 있네요...아직 세상에 존재하는 미생물중에서 밝혀지지 않은 미생물이 약 99% 이상이라 보시면됩니다.

아직 고1이라 다들 잘 모르고 하는 말이니 크게 여의치 말고, 목표대로 계획세워 보시기 바랍니다.

전 미생물대사공학을 전공하고 지금은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성 미생물을 검출하는 진단키를 개발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COVID-19로 미생물의 하나잖아요...ㅎㅎㅎ

너무 조급해 하지마시고 목표를 세워서 잘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2 년뒤 수능을 치르고 대학 입시를 준비 할때면 그런 과를 왜 가려고 하느냐고 했던 친구들의 생각도 바뀌어 있을 겁니다. ㅎㅎㅎ
댓글리플
  
  신고하기
 
관련글
이슈 글타래 보기
 
코로나19 학술토론
 
여성과기인 지원정책 찬반
 
공정한 연구과제 심사·평가
소리마당(전체)  |  오피니언  |  진로  |  학술  |  별별소리
5
[별별소리] 글 삭제하는 거 없나요? [1]
회원작성글 woouok
2022.10.02
686
0
4
[진로] 추천서의 중요도..? [2]
첩첩산중
2022.10.02
1370
0
3
[학술] 선배님들 안녕하세요. 석사학위 논문 관련 표절 문의드립니다. [4]
강석주
2022.10.01
3190
0
2
[별별소리] 1년전에 지능에 관해 질문했던 사람입니다 [2]
회원작성글 알레프...
2022.10.01
1155
0
1
[학술] RNA 약물전달시스템 별 적용분야(적응증) 설명이 잘 된 자료 아시는 분~~
수늬커즈
2022.10.01
561
0
처음 이전  31 32 33 34 35 36  다음 끝
소리마당 PLUS
포닥나라
AKIA Publication Award for Postdocto...
미국 포닥 지원부터 최종 결정까지 그 여정 [12]
피펫잡는 언니들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69. 슬기로운 미쿡 생활(32) -...
[엄마과학자 창업도전기] 19화. 처음부터 조직이 필요하다
이 책 봤니?
[홍보] 누리호, 우주로 가는 길을 열다
[홍보] 마음의 중심이 무너지다 - 조현병 환자의 우정, 사랑, 그리고 법...
이 논문 봤니?
[요청] 논문 입문자 추천 [1]
[요청] 면역학과 바이러스학 [3]
연구비 부정신고
위로가기
커뮤니티 홈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