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커뮤니티
천양테크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분류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계통유전체학(Phylogenomics) 연구동향
전체보기 소리마당PLUS 학회룸쉐어 Sci카페 SciON(설문조사)
조회 4966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학술] 사라지길 바라는 “실험결과 조작”
ㅉㅉ(비회원)
  (2022-10-22 11:37)
 

불과 몇년전에 뜨거웠던 연구부정, 시간이 지나가며 잊혀져 가는 듯 한데. 

최근 pubpeer에 올라온 코멘트;

https://pubpeer.com/publications/2915A37490B7375B9DE6444A65A4E5

아직도 관심있게 보는 분들이 있습니다.

 

 



태그  #연구 부정   #조작
이슈추천  7
신고하기
목록 글쓰기
  댓글 8  
회원작성글 bio(과기인)  (2022-10-23 21:31)
1
걸려도 제대로 된 페널티를 받은 적이 없는 현실에서..
이 정도의 조작은 계속 되리라 생각됩니다.
댓글리플
  
  신고하기
회원작성글 안녕난세포야(과기인)  (2022-10-23 22:33)
2
궁금한게있는데, 저렇게 데이터를 마음데로 쓰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만들어낸 논문인건가요?
댓글리플
  
  신고하기
구글회원 작성글 A *(비회원)  (2022-10-25 06:32)
3
솔직히 저기 올라온 논문들 봤지만
작정하고 데이터 만들고 조작하는 케이스보다
허술하고 덤벙거리고 대강 피겨 만들다 실수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고 봅니다. (경험자임)

저도 성격이 급하고 워낙 덜렁거리는 성격이라
리젝션 두어번 당하고 논문 리포맷하면서 피겨 옮기다 카피 페이스트 하면서 똑같는거 중복으로 붙이는 실수한 적 있어요.

정말 모든 웨스턴을 라인 by 라인 intensity 막 조작을 해대고 피겨를 막 돌려가면서 여기저기 짜깁기 horizontal, vertical 난리쳐가면서 정성스럽게 조작한게 아니고서야........대부분은 human error일겁니다. (액틴 중복 사용 같은게 제일 많더만요.)

저도 실수 알아차리고 내가 피겨 만들때 제정신이였나 싶었거든요. -_-

차라리 모든 저널들이 이미지 조작 manipulate 된거 찾는 프로그램들을 의무로 쓰면 좋을텐데요? 그럼 연구자들도 실수 할 일이 없고. 전 그때 에러텀 내고 개고생 이후로는 모든 공저자 논문까지 프로그램 다 돌려서 서브밋합니다.

그리고 다 떠나서 데이터 조작할 인간들은 이러나 저러나 조작할겁니다. ㅡㅡ
댓글리플
  
  신고하기
댓글리플
카카오회원 작성글 se***(비회원)  (2022-10-25 11:03)
4
한국인들은 불확실성회피 지수가 높기 때문에 덤벙거리다가 실수하는 경우보다는 작정하고 조작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님의 경험이야 님 경험이고.
  신고하기
댓글리플
네이버회원 작성글 xp*(비회원)  (2022-10-26 12:56)
5
"한국인들은" 불필요한 말입니다. 의미도 없고요.. 그리고 아랫분께서도 말한 바와 같이 논문입니다. 불확실성회피 지수와 아무 상관없습니다. 논문을 뭐 한달에 일주일에 한편 씁니까? 데이터를 하루만에 만듭니까? 한번 확인 합니까?
"작정하고 조작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이 아니라.. 9999.999% 그렇습니다. 그리고 실수는 데이터 조작이 한두건도 아니고 이슈가 되면 실수 인지 아닌지 금방 압니다. 속된 말로 이 바닥에서 연구하는 분들이 한둘 입니까?
  신고하기
네이버회원 작성글 le***(비회원)  (2022-10-25 11:50)
6
윗분 불확실성회피랑 실수랑 무슨 상관인지 모르겠지만..

이글보니 생각나는게 제 동료이자 친구중에
한국인 아닌 연구부정 내부고발자로 정말 열정적인 (뉴스에도 몇번 나온)분이 한 분 있는데 지난 한,두달동안 본인 일저자 포함 공저자 논문 대여섯개 펍피어에 올라오고는 조~용하네요.

엑틴 블롯 재사용에 이미지 중복 몇개 걸리고, 오랫동안 친한 사이고 그 친구 연구실 운영하는 거랑 평소 성격을 아니 당연히 실수라고 생각하지만 그 일로 좀 본인도 본인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듯요.

그리고 데이터가 의심스러우면 (그게 실수든 조작이든)저널에 문제 제기하면 보통 저널이 심각하다 판단되면 Raw 데이터랑 설명 요구해요.

익명으로 무조건 다 싸잡아 연구조작이다 안해도 된단 말이죠.
사람이 어찌 완벽하겠어요?

그리고 일년에 논문을 수십, 수백개씩 내는 사람하고
고작해야 열몇편 내는 사람하고 비교가 되나요?
당연히 찝힐 거리가 많은건 논문 편수가 높은 사람일 가능성이 높겠죠.

그리고 개인적으론 액틴블롯 재사용, 중복 이미지같은 문제보다 정말 제대로 심각한 문제는 reproducibility 가 아닌가 싶은데요.

박사때 high impact에 나온 논문 안티바디랑 컨디션 고대로 했는데도 데이터가 전혀 안나와서 제가 문젠가 해서 연구실에 포닥 포함 몇 명이 다시해도 안나와서 멘붕이였는데 순진한 마음에 너무 충격받고

사실 연구 커뮤니티에는 그런게 더 큰 문제죠.

중복 이미지, 실수 하나 없어도 작정하고 조작하고 데이터 만들어내면 펍피어 같은데 찝히진 않겠지만 수십, 수백 연구실들이 그 논문 보고 삽질하겠죠?
그게 훨씬 더 문제예요. 비교가 안됨
댓글리플
  
  신고하기
회원작성글 A-mar(대학원생)  (2022-10-31 15:34)
7
교수도 다 아는지 모르는지, 모르는 척 눈감고
결과 잘 나오니 최고다
라는 식이니.. 조작이 안 나올 래야 안 나올 수가 없죠
댓글리플
  
  신고하기
댓글리플
회원작성글 포름아마이드(대학원생)  (2022-11-07 18:05)
8
교수도 다 알고있죠.. 오히려 조장하는것같네요
  신고하기
 
관련글
이슈 글타래 보기
 
코로나19 학술토론
 
여성과기인 지원정책 찬반
 
공정한 연구과제 심사·평가
소리마당(전체)  |  오피니언  |  진로  |  학술  |  별별소리
1032
벤처기업 대표 대학교수의 일탈행위와 이를 돕는 국가연구비 지원 시스템 개선을 바라며
연구자
06.02
202
6
1031
“코로나 백신에 미국인 28만명 사망 가능” 논문, 네이처 출판사가 조사 착수 [5]
ㅇㅇ
01.31
2740
0
1030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대하여 말씀드립니다
스꿩크
2022.12.25
1091
2
1029
여기에 천안함 관련글 올려도 되나요? [2]
회원작성글 어나니...
2022.12.22
2424
0
1028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정말 기가 막히지 않습니까 [16]
10년차P...
2022.12.22
6840
13
1027
2023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신청요강을 보며 [3]
fresh...
2022.11.14
4197
2
1026
블라인드 채용 폐지? [19]
회원작성글 Pred
2022.10.28
5058
3
1025
자기 제자 쑤셔박기 좀 하지 마십시오. [16]
ㅁㅁㅁㅁ
2022.09.26
5470
6
1024
출간 당시 IF 7점이었던 논문을 IF 19점이라고 홍보해도 됩니까? [32]
RNDRM...
2022.08.29
8901
8
1023
진심 궁금해서 그런데요.. [4]
궁금.
2022.07.30
2680
0
1022
학계 생태계가 망가지고 있습니다. [52]
회원작성글 pest
2022.07.27
11030
4
1021
한빛사 저널 선정에 대한 의견 [27]
나라사랑
2022.07.26
6092
12
1020
원숭이 두창 - 국제 비상사태 선포 [2]
망..
2022.07.24
1762
2
1019
알츠하이머 핵심연구 조작 의혹…16년간 정복 노력 물거품 되나 [5]
에휴..
2022.07.23
5221
1
1018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3]
한타박스
2022.07.14
3453
3
1017
서울 모 대형병원서 제한 비급여 ‘인지중재치료’ 심평원 허가 없이 환자에 적용하고 임의 코드 발행
aeloy...
2022.07.14
1384
0
1016
아버지께서 교수신데 연구비로 식사하는 것에 있어 질문 드립니다. [20]
회원작성글 나는아...
2022.06.16
9834
7
1015
2009년에 브릭에서 소속사칭, 논문표절로 이슈가 되셨던 분 [4]
회원작성글 챠우챠...
2022.06.14
5630
10
1014
연구자들이 대중과 과학으로 소통해야 하는 이유 [2]
회원작성글 kevin12
2022.06.13
2443
3
1013
학회의 업그레이드 [2]
회원작성글 Chris
2022.06.10
2420
7
처음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소리마당 PLUS
포닥나라
포닥을 그만두고 다른 포닥 자리를 알아봐야 고민입니다. [8]
J1 비자 재발급 가능할까요..? [4]
피펫잡는 언니들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71. 슬기로운 미쿡 생활(34) -...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70. 슬기로운 미쿡 생활(33) -...
이 책 봤니?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캐스린 페이지 하든 - 유전자 로또
[홍보] 과학적 설명의 한계를 탐구하다 『고양이와 물리학』
이 논문 봤니?
[요청] 논문 입문자 추천 [1]
[요청] 면역학과 바이러스학 [3]
연구비 부정신고
위로가기
커뮤니티 홈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