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마이크로젠타스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김한준 교수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6667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바이오토픽] 주먹을 누를 때 우두둑 소리가 나는 이유
의학약학 양병찬 (2018-03-30)

upload_image
@ India Today

주먹을 누를 때 나는 우두둑 소리는 실내 공기를 진동시키며 수업 분위기를 망치거나 공포감을 자아내지만, 그 소음의 실체는 뭘까? 과학자들은 명쾌한 답변을 제시하려고 애를 먹어 왔다. 왜냐하면 모든 게 순식간에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고심 끝에 방정식을 이용하기로 했다. 그들은 우두둑 소리의 진원으로 지목되는 "'손가락뼈'와 '손뼈' 사이의 체액으로 가득 찬 공간"을 기술하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그 다음, 그들은 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우두둑 소리를 설명하는 통설을 테스트했다. 그 내용인즉, "우두둑 소리가 나는 동안 관절이 팽창하면서 '체액으로 가득 찬 공간'에서 거품이 생성된다"는 거였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이 거품이 붕괴되면서 잇따라 생성되는 '펑' 소리들이 연결되어 우두둑 소리를 낸다고 제안해 왔다.

그 결과 통념을 뒤집는 결과가 나왔다. 주먹의 관절에 존재하는 거품들이 부서지면서 나는 '이론적 소리'가 실제 소리와 매우 흡사한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연구진은 이 내용을 3월 29일자 《Scientific Reports》에 기고했다(참고 1).

이번 연구결과는 2015년 발표된 연구결과와 배치된다. 그때 연구자들은 "'펑'소리가 나는 이유는 거품이 - '부서지기' 때문이 아니라 - '생성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었다(참고 2).

이번 연구결과가 그 동안의 논쟁을 잠재울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분명한 게 하나 있다. 다음부터 주먹을 눌러 우두둑 소리를 낼 때는 '거품'을 탓하라.

※ 참고문헌
1. http://nature.com/articles/doi:10.1038/s41598-018-22664-4
2.
http://www.sciencemag.org/news/2015/04/why-do-your-knuckles-pop-science-now-has-answer

※ 출처: Science http://www.sciencemag.org/news/2018/03/why-do-your-knuckles-crack-engineers-say-they-finally-figured-it-out

  추천 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양병찬 (약사, 번역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은행, 증권사, 대기업 기획조정실 등에서 일하다가, 진로를 바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약사면허를 취득한 이색경력의 소유자다. 현재 서울 구로구에서 거주하며 낮에는 약사로, 밤에는 전문 번역가와 과학 리...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보기 >
[바이오토픽] 델타 변이주는 왜 그렇게 감염성이 높은가?
새로운 실험도구 덕분에, 지금껏 별로 주목받지 않은 SARS-CoV-2 델타 변이주의 변이(R203M)가 밝혀졌다. 그것은 뉴클레오캡시드(N)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변이로, 바이러스...
[바이오토픽] 이번 주 Nature 커버스토리: 고래, 상상을 초월하는 어마무시한 대식가(大食家)
이번 주 《Nature》 표지에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州)의 밴쿠버 섬 앞바다에서 돌진섭식(lunge-feeding)을 하는 혹등고래(humpback whale)의 모습이...
[바이오토픽] 강성(剛性)과 탄성(彈性)을 겸비한 폴리머 → 손상된 인체조직 대체, 플라스틱 소비 저감
손상된 인체조직을 대체할 수 있는, 질기고 내구성 높은 폴리머 소재(polymer material)가 개발되었다. 이는 플라스틱의 소비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