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주재열 교수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43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기능성 모유 올리고당인 2ʹ-fucosyllactose는 유당(lactose)보다 열에 안정하다
농수식품 서울대학교 (2023-03-15)

서울대학교 정동화 교수, 안성암((현) CJ BIO) 연구원

<서울대학교 정동화 교수, 안성암(() CJ BIO) 연구원>


연구 필요성
대표적인 모유 올리고당인 2‘-fucosyllactose (2’-FL)는 두뇌 발달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멀티 기능성 물질로 최근 발효기술을 이용하여 상용화가 시작되었다. 현재 2’-FL은 Abbott (미국), Advanced Protein Technology (한국) 등 몇몇 선발주자들에 의해 영유아용 조제분유, 프로바이오틱 스틱제품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규모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2’-FL은 식품공정 중 고온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유당(lactose) 등 다른 당류와 마찬가지로 입자와 입자 사이의 액체다리(liquid-bridge) 형성으로 인하여 공정이나 유통과정 중 점착(stickiness)이나 고화(caking)같은 품질에 치명적인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2’-FL의 열전이(thermal transition) 및 열안정(thermal stability) 특성을 이해하여 회피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2’-FL이 가진 고유의 열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이를 식품첨가제로서 상용화하고 응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연구성과/기대효과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식품소재공학연구실 정동화 교수팀은 2’-FL의 탈수(dehydration), 융해(melting), 유리전이(glass transition), 결정화(crystallization), 열분해(thermal decomposition) 등 주요 열특성을 잘 알려진 이당류인 유당(lactose)의 열특성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2’-FL은 결정(crystalline)구조이든 무결정(amorphous)구조이든 유당에 비하여 열전이나 열분해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 기능성으로 각광받는 모유 올리고당인 2’-FL이 갖는 고유의 열특성을 최초로 분석하여 2’-FL의 상용화에 필수적인 물질 소재특성 정보를 체계화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해당 분야 최상위급 국제학술지인 Food Chemistry 온라인판에 게재되었으며, 학술지 지면에는 2023년 6월 1일 게재될 예정이다.    


o 전체 모유 올리고당의 30%를 차지하는 기능성 모유 올리고당인 2’-FL은 유당에 푸코오스(fucose)가 결합된 삼당류(trisaccharide)로서, 프리바이오틱(prebiotic), 면역조절(immunomoduratory), 항점착(anti-adhesive) 특성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건강기능 효과를 나타내고 두뇌 발달에도 관여하는 멀티 기능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뛰어난 기능성 때문에, 2’-FL을 발효를 통해 상용화하는 기술이 최근 개발되었으며, 발효로 생산된 2’-FL은 유럽식품안정청(EFSA) 및 미국식품안정청(US FDA)으로부터 안전한 물질로 허가 받았다.

o 그러나 2’-FL의 경우, 아직 올리고당의 상용화를 위해 반드시 밝혀져야 할 열특성에 대한 정보가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 또는 무결정 구조를 가지는 2’-FL의 열특성과 분자결합구조를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차주사열량법),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열중량분석법), XRD (X-ray diffractometry, X선 회절분석법)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결정 또는 무결정 구조를 가지는 유당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o 삼당류인 2’-FL은 이당류인 유당과 마찬가지로 분자구조에 따라 서로 다른 탈수, 융해, 유리전이, 결정화 등의 열전이 현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온도와 열분해가 발생하는 온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2’-FL은 결정구조이든 무결정구조이든 유당에 비하여 열전이나 열분해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o 본 연구의 결과는 2’-FL의 공정이나 유통과정 중 발생하는 점착과 고화현상을 개선하여 2’-FL을 식품첨가제로서 상용화하고 응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반드시 확보되어야 할 고유의 소재특성을 밝힌 것이므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 연구결과 
Thermal characteristics of crystalline and amorphous 2′-fucosyllactose, a human milk oligosaccharide
안성암, 정동화 
Food Chemistry 410, 2023 
https://doi.org/10.1016/j.foodchem.2023.135438 

     

다음 그림은 본 연구에서 확인한 온도에 따라 발생하는 2’-FL의 열전이(thermal transition) 현상 및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o 그림은 본 연구에서 확인한 온도에 따라 발생하는 2’-FL의 열전이(thermal transition) 현상 및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추천 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