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성균관대학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김한준 교수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656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Funky Science]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또 다른 솔루션!? 두 얼굴의 정원사 마이크로글리아
의학약학 살덩이 (2023-05-25)


오늘 영상은 두 얼굴의 정원사 마이크로글리아입니다.
마이크로글리아는 정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열쇠를 쥐고 있습니다.
대체 마이크로글리아는 무엇이고 알츠하이머병을 치료와 관련하여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까요?

그림:Funky Science
GIF:Tenor

The role of microglia in amyloid clearance from the AD brain
J Neural Transm. doi:10.1007/s00702-010-0433-4.

Microglia in Neurological Diseases: A Road Map to Brain-Disease Dependent-Inflammatory Response
Front. Cell. Neurosci., https://doi.org/10.3389/fncel.2018.00488

 

  추천 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살덩이(필명)

안녕하세요 저는 면역학을 한국에서 석사 졸업 후 Science communication의 본고장인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Science communication & Public engagement 전공 후 현재 자유로운 영혼을 실현하고 있는&...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보기 >
[Funky Science] 치매치료제 베타아밀로이드 타겟 항체 치료제가 극복해야할 부작용?!
이번에 제작한 영상은 이전화(치매치료제의 희망? 베타아밀로이드 증폭 가설과 항체 치료제 레카네맙 그리고 아두카누맙)에 이어 말씀드린 대로 FDA 가속 승인을 받은 아두카누맙과 레카...
[Funky Science] 치매치료제의 희망? 베타아밀로이드 증폭 가설과 항체 치료제 레카네맙 그리고 아두카누맙
2022년은 베타아밀로이드 증폭 가설이 다시 재조명된 해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치매 치료제인 아두카누맙에 이어 레카네맙이 우수한 임상결과를 보였기 때문이죠! 대체 베타아밀로이드...
[Funky Science] 세포의 자살에는 이유가 있다.
안녕하세요. 오늘 업로드한 영상은 세포의 자살에는 이유가 있다! 인간에게 자살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행위인데...세포 수준에서는 이유 있는 자살은 인간의 성장과 생존에 매우 중...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ACROBIOSYSTEMS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