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주재열 교수
전체보기 뉴스 Bio통신원 Bio통계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BRIC View
최신자료 동향리포트 학회참관기 리뷰논문요약 BRIC리포트 외부보고서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출처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등록일 2023.03.16
URL https://kosen.kr/info/kosen/REPORT_0000000002316
조회 11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요약문
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은 COVID-19 에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사이토카인 폭풍 및 응고병증과 같은 주요 합병증의 진행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SARS-COVID-19 감염으로 인한 비만과 질병의 중증도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고위험군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 조치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비만에 의한 여러 특징이 심각한 COVID-19 및 합병증의 유행에 기여하는데, 첫째, 바이러스 진입은 ACE2 와 같은 바이러스 진입 수용체의 상향 조절에 의해 촉진될 수 있으며, 둘째, 비만 유발 만성염증 및 인슐린, 렙틴 신호 전달 장애는 바이러스 제거 장애 및 불균형 또는 과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페리틴 수치 상승과 함께 사이토카인 폭풍 및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셋째로 혈액응고에 대한 비만의 부정적 영향은 혈전 형성 및 출혈의 진행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분석에서는 비만과 COVID-19 질병 중증도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임상 결과를 정리했고, 비만 환자의 주요 합병증 위험을 설명할 수 있는 잠재적 기전에 대해 추가하였다.
키워드: COVID-19, 비만

1. 서론

2. 주요 내용

 2.1. 비만(obesity)

 2.2. 비만과 COVID-19 중증도(obesity and COVID-19 disease severity)

 2.3. 비만에 의한 COVID-19 중증도 관련 기전(Underlying Mechanisms Linking Obesity to

 2.4. 비만에 의한 ACE2 발현 증가

 2.5. 포도당 조절 단백질

 2.6. 비만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2.7. 렙틴 저항성에 의한 면역체계 조절

3. 결론

  추천 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댓글 0
등록
목록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