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커뮤니티
퍼킨엘머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최정욱 교수
전체보기 소리마당 학회룸쉐어 Sci카페 SciON(설문조사)
조회 3034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이책봤니? - 서평
인류의 기원
이상희, 윤신영 | 사이언스북스 | 2015-09-18
회원작성글 BRIC
  (2019-01-08 15:41)
 

upload_image
출처: 사이언스북스

“Trace your ancestors’ journeys over time.”

미국에서 타액(saliva)으로 혈통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AncestryDNA라는 회사의 광고 카피이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쌓인 과거와 현재 인류의 게놈 데이터를 통해 이제는 $99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자신의 뿌리를 찾아볼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미국이라는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공존하는 지역 특성상 최근 몇 년 간 ‘조상 찾기’ 유전자 분석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위에 언급한 회사의 경우는 의뢰인의 가계도와 그들의 조상들이 언제 어디로 이주했는지도 알려준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몇몇 회사들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도 분석해 준다. 현생인류가 아닌 과거 미개하다고 여겼던 구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는 1-4%, 평균 2.5% 의 비율로 현재를 살아가는 비(非) 아프리카계 사람들의 유전자에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분석은 현생인류 이전의 구인류 화석에 대한 고유전학적 분석의 결과로 인해 가능하게 되었고, 현재의 기술과 학문은 현재와 미래만이 아닌, 과거와 과거의 역사를 위한 기술과 학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upload_image
출처: 23anaMe 홈페이지

가까운 조상을 넘어 구인류까지 추적하고 연구하는 이유는 인간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원초적인 질문인 ‘언제부터’ ‘어떻게’ 인간이 인간다워졌는지를 알고 싶고, 증명하고 싶은 가장 인간다운 지적 호기심 때문일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리버사이드의 인류학과 이상희 교수는 [인류의 기원]이란 책을 통해 인간이 가진 이러한 원초적인 호기심을 이해하기 쉬운 문체로 우리에게 풀어 설명해 준다. 한국인 고(古)인류학자가 쓴 [인류의 기원]은 한국어로 10쇄 출간에 이어,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로 번역이 되었으며, 특별히 영문판[Close Encounters with humankind]는 번역서로는 최초로 올해 미국인류학회 생물인류학분과에서 주는 W.W. 하웰즈상을 수상했다. [인류의 기원]은 인류의 탄생 시점부터 호모 사피엔스까지의 연대기적 서술이 아닌, 독자가 쉽게 가질 수 있는 흥미로운 22가지의 인류의 이야기들을 담아낸다.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아이러브 고기’,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 ‘ ‘킹콩’이 살아 있다면’ 등의 소제목만 보더라도 저자의 흥미롭고 참신한 이야기들에 매력을 느끼게 한다.

upload_image
출처: 사이언스북스

생명과학계에 몸담고 있는 사람으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데니소바인(Denisovan)”의 이야기였다. 시베리아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콩알만큼 작은 새끼손가락 뼈에서 DNA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현생 인류도, 네안데르탈린도 아닌 제3의 인류를 발견했다. 이는 네안데르탈인과 비슷한 시기에 또 다른 인류인 데니소바인이 아시아에 살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데니소바인은 화석 없이 유전자로만 존재하는 인류 조상으로 파푸아 뉴기니와 솔로몬 제도 등의 멜라네시아인들은 데니소바인의 유전자를 4% 정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가장 최근(2010)에 세상에 알려진 데니소바인은 고유전학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며, 지난 3월 Cell 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유럽, 미주, 아시아, 오세아니아의 유전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데니소바인의 유전자가 두 차례에 걸쳐 동아시아에 흘러든 사실을 확인했다고 한다[1]. 또한, 지난 8월 Nature 에는 네안데르탈인 어머니와 데니소바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1세대 소녀인 데니(Devy)의 유전자 분석이 발표됨에 따라 고유전학계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2].

upload_image

인간은 어디에서 왔으며 어떻게 지금의 모습으로 있게 되었는가?”

현생 종인 침팬지와의 분리는 마이오세 (Miocene)인 800만 년 전에서 500만 년 전 사이에 아프리카에서 현생 인류의 조상과 현생 침팬지의 조상이 갈라졌다고 보고 있다.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기원은 10만 년에서 6만 년 전 정도 사이에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새로운 종이라고 보는 아프리카 기원론(완전 대체론)과 한 곳에서 기원한 새로운 종이 아니라, 각 지역의 집단과 다양한 시점의 집단끼리 계속 문화와 유전자를 교환하면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화했다는 다지역 연계론(다지역 기원론)이 있으며, 저자는 다지역 연계론을 지지하고 있다. 이는 고유전학의 발달로 아프리카 이외의 지역에서 발견되는 네안데르탈인의 화석 유전자 연구를 통해서 드러나고 있을 뿐 아니라, 서로 다른 인류 간의 교배의 유전적 증거들이 발견됨에 따라 호모 사피엔스는 순수 혈통에 국소적 기원이 아닌 여러 대륙에서의 다양한 시간대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해왔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수백만 년 동안 계속되어 온 인류의 진화는 직립보행, 두뇌 용량의 증가와 문화에 대한 의존성 등의 큰 흐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까이 들여다보면 직선이 아닌, 꼬불꼬불한 발자취를 찾아볼 수 있다”

upload_image
출처: 토끼도둑 ⓒ 사이언스북스

진화는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

상황과 환경에 맞는 ‘적합한’ 선택에 따라 인류는 진화되어 왔다. 현재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인류는 환경적 변화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위적인 유전자의 변화를 줄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저자는 ‘진화의 나무’가 아닌 ‘소용돌이치는 강물’ 같은 새로운 인류 진화의 관점과 인류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향한 인류의 또 다른 발걸음을 내다볼 수 있는 안목을 [인류의 기원]을 통해 우리에게 제시해 준다.

 

 

[1] Browning SR et al. Analysis of Human Sequence Data Reveals Two Pulses of Archaic Denisovan Admixture, Cell 2018 Mar 22;173(1):53-61.e9. 

[2] Slon, V. et al. The genome of the offspring of a Neanderthal mother and Denisovan father, Nature 561, 113-116 (2018)

작성자: LabSooni Mom (필명)

* 본 서평은 "BRIC Bio통신원의 연재"에 올려진 내용을 "이 책 봤니?"에서도 소개하기 위해 동일한 내용으로 올렸습니다.



태그  
#이상희
 
#윤신영
나도 봤어요 3
   
나도 볼께요 0
신고하기
목록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포닥나라  |  피펫잡는언니들  |  이책봤니?  |  이논문봤니?  |  설문통 소리마당플러스
홍보
올리버 색스, 『모든 것은 그 자리에』
빌 헤이스의 편집후기: 열세 권의 책을 쓴 올리버가 출판 사랑을 멈추지 않은 이유 ▶ 올리버 색스는 글쓰기(여기서 '글쓰기'란 '쓰는 행위' 일체, 즉 만년필에 잉크 채우기, 노란색 리갈패드 새로 시작하기, 떠오르는 단어 크게 중얼거리기를 의미한다)를 사랑한 것만큼이나, 출판을 사랑했다. 올리버에게 출판은 삶의 커다란 일부였다. 평생 동안 열세 권의 책과 수백...
회원작성글 Homo run..
 |  2019.08.12 07:26  |  조회 5386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2
홍보
어떻게 뇌를 고칠 것인가-알츠하이머 병 신약개발을 중심으로
『어떻게 뇌를 고칠 것인가』   호기심을 채워주는 교양을 넘어서는, 새로운 과학 저널리즘 과연 생명과학은 알츠하이머 병을 고칠 수 있을 것인가   과학 독자가 원하는 것은 교양인가 소통인가 보통 사람은 과학을 얼마나 알아야 할까? 아니 과학은 보통 사람에게 자기를 얼마나 소개해야 할까? 넓고 넓은 과학의 세계에서 어떤 분야의, 어떤 내용을, 어떤...
회원작성글 bios781
 |  2019.07.09 13:22  |  조회 5922
나도 봤어요10  |  나도 볼께요6
서평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나는 소설을 읽는 것에 두려움이 있다. 소설을 읽을 때마다 주인공의 상황에 잘 이입이 되지도 않고, 인물들간의 첨예한 대립 등 상황을 상상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런 문제때문에 나는 좋은 소설을 여러 권 추천을 받아도, 매번 몇 페이지만 읽다가 덮는 일들이 많았다. 이런 내가 동아시아 출판사에서 진행한 서평이벤트에 무작정 응모한 것은 출판사에게 큰 민폐를 일으킬까봐 걱정도 많이 했었다. 나는 이...
회원작성글 BRIC
 |  2019.07.03 10:58  |  조회 6628
나도 봤어요2  |  나도 볼께요2
홍보
미리 가본 내일의 도시
  북 트레일러 영상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BQj5k2bcUAc   네이버 포스트 (신간 미리보기) 1.사물인터넷으로 인간과 소통하는 스마트홈 https://c11.kr/7m36 2 머릿속의 칩으로 단 몇 분 안에 외국어를 마스터할 수 있다면? https://c11.kr/7m38 3.인공장...
회원작성글 zxdd
 |  2019.06.03 11:59  |  조회 3888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서평
내가 태어나기 전 나의 이야기
인간은 누구나 그 처음의 시작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것은 또 다른 생명체의 처음을 자신의 몸에 품게 된 어머니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첫 아이를 임신했을 때, 눈으로 보이거나, 느껴지지 않는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하루에 두 번씩 임신 테스트를 했다. 매직아이 수준으로 보이던 진단선이 날이 갈수록 진해는 것을 확인하고서야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 의심이 사라져 갔고, 폭풍 입덧이 시작되는 순간,...
회원작성글 BRIC
 |  2019.05.30 10:08  |  조회 4573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3
서평
사람의 자리 - 과학의 마음에 닿다
0. 사실 이 책에 대해서 서평을 쓰려는 생각은 원래 없었다. 일단 일차적으로 대학원 때 이 책의 저자이신 전치형 선생님으로부터 참 많은 것을 배웠기 때문에 나 따위가 불경하게 어떻게 선생님이 쓰신 책에 서평을 쓰나(...) 같은 생각을 했었기 때문이고, 두번째로는 사실 선생님이 이미 여기저기 기고하신 글들 대부분을 읽어보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안 읽어봤던 글은 없었던 것 같다....
회원작성글 BRIC
 |  2019.05.29 13:45  |  조회 4374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서평
경제학은 어떻게 과학을 움직이는가
책을 읽는 동안 과학사회학자인 로버트 K 머튼이 떠올랐다. 약 70년 전 과학사회학에서는 머튼 등의 학자들이 과학자 사회의 작동 원리와 내부 보상 체계 등을 연구했다. 이 책과 비슷한 논의가 이루어졌던 셈이다. 그러다가 사회구성주의가 등장하면서부터는 과학사회학의 주류 주제가 ‘과학자 사회’보다는 ‘과학 지식이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것인가’로 변화했고 21세기...
회원작성글 BRIC
 |  2019.05.21 10:25  |  조회 4591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0
서평
세계사를 바꾼 10가지 약 - 인류 역사는 '질병과 약의 투쟁 역사'다!
연구소 내에 “Take-back Drug Day”라는 포스터가 하나 붙었다. 전국적으로 매년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사용하지 않은 처방약을 수거하는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DEA) 행사에 동참하는 포스터였다. DEA 의 집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Take-Back Day를 통해서 수거한 처방약은 900,000 파운드에 달했으며, 2010...
회원작성글 BRIC
 |  2019.04.23 10:13  |  조회 11091
나도 봤어요2  |  나도 볼께요0
홍보
아름다움의 진화: 연애의 주도권을 둘러싼 성 갈등의 자연사
진화론에 관한 책은 많지만, 키플링이 말하는 '그저 그런 이야기들' 류類의 책이 범람하는 세태를 감안할 때 가려읽는 안목이 절실히 요망된다. 그와 관련하여, 역자는 과학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의 시각을 바로잡는 책을 두 권 번역하여 출간한 적이 있다. 하나는 케빈 랠런드의 『센스 앤 넌센스』이고, 다른 하나는 조너선 와이너의 『핀치의 부리』인데, 공교롭게도 둘 다 도서출판 동아시아에서...
회원작성글 Homo run..
 |  2019.04.15 07:02  |  조회 6408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3
홍보
파란하늘 빨간지구: 기후변화와 인류세, 지구시스템에 관한 통합적 논의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 이변, 지구온난화, 미세먼지 기후변화는 우리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기후변화와 인류세를 이해하고 다가올 미래를 고민하다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이 말하는 인류가 직면한 위험  2018년 다보스 포럼에서 전문가 7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여기서 극한(재해성) 날씨는 대량살상 무기 다음으로 인류가 직면...
회원작성글 East_Asi..
 |  2019.04.11 13:26  |  조회 4773
나도 봤어요4  |  나도 볼께요0
홍보
제4의 언어 - 내부의 언어(유전 언어), 이제 이 언어를 ‘제4의 언어’라 부른다.
생명 탄생부터 인류와 함께 존재해온  가장 오래된 언어,  결코 사멸하지 않은 언어, 모든 생명체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내부의 언어(유전 언어)’,  이제 이 언어를 ‘제4의 언어’라 부른다.  “이제 내부로부터 들려오는 속삭임에 귀를 기울일 시간!”  ...
회원작성글 sea
 |  2019.04.10 09:46  |  조회 5638
나도 봤어요4  |  나도 볼께요2
홍보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 털보 과학관장이 들려주는 과학책 읽기의 즐거움
“가장 믿음직스러운 지식탐험가” - 이정모 관장의 본격 주례사 과학서평집 이 책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은 어떤 과학책이 얼마나 좋고, 얼마나 재미있고, 또 얼마나 유익한지에 대해서 ‘미리’ 알려주는 본격 과학서평집이다. 저자 이정모 관장(서울시립과학관)은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유명하다. 출판계에는 “과학책은 이정모 관장의...
회원작성글 사월의책
 |  2019.04.05 14:12  |  조회 3480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3
홍보
진화와 인간 행동 -진화의 배신 착한 유전자는 어째서 살인 기계로 변했는가
◾ 진화론을 이해하는 데 이 책 한 권이면 충분하다! 진화론의 핵심 원리와 최신 쟁점을 두루 망라해 집대성한 책 ◾ 다윈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을 조건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탐구한 진화론의 교과서 ◾ 서울대학교 ‘진화와 인간 사회’ 교재, 영국 체스터대학교 생물학과, 호주국립대학교 인류학과 수업 교재   인류의 기원에서...
회원작성글 에이도스
 |  2019.04.05 13:05  |  조회 3711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1
홍보
세상의 모든 퍼즐 - 인류 역사 속 최고의 수학 퍼즐 315
간략한 책 소개   피타고라스 정리부터 펜로즈 타일 붙이기 문제까지 인류 역사상 최고의 수학자들이 탐구했던 핵심적 수학 문제 315개를 모아 화려한 일러스트와 함께 꼼꼼하게 해설한 책이다. 피타고라스 정리, 제논의 역설과 같은 수학적 사고의 원형에 해당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오일러의 일곱 다리 퍼즐, 도형, 분할, 확률, 패리티, 역설 등 다양한 수학적 문제들이 독자들의 지적 호기...
회원작성글 에이도스
 |  2019.04.05 13:03  |  조회 3539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3
홍보
나는 정신병에 걸린 뇌 과학자입니다
  불안, 망상, 분노, 기억상실에 빠진 뇌에 대한 가장 생생한 탐구 뇌는 어떻게 우리를 인간답게 만드는가     “평생 뇌를 연구했지만, 내가 정신질환에 빠지면서 정신을 잃는 과정이 무엇인지 비로소 온전히 이해할 수 있었다” 2015년 1월 23일 목요일 아침, 미국 국립정신보건원National Insti...
회원작성글 푸른숲
 |  2019.03.27 14:44  |  조회 7311
나도 봤어요3  |  나도 볼께요1
서평
화가는 무엇으로 그리는가 - 미술의 역사를 바꾼 위대한 도구들
연구를 하다 종종 벽에 부딪칠 때면, 나는 가끔 꽤 오랜 과거의 연구를 들추어 본다. 비슷한 분야의 처음 시작은 어땠을까? 얼마 전, 그렇게 뒤지고 뒤져 손에 넣은 논문은 무려 60여 년 전의 논문이었다. 아주 고전적이고, 지금은 그대로 따라 할 수도 없고, 분석 방법 또한 원시적이었다. 나에게 필요한 부분은 이론적으로 어떻게 정의를 풀어나가는가에 있었다. 그러다 Materials & Met...
회원작성글 BRIC
 |  2019.03.12 13:07  |  조회 4052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1
홍보
진화의 배신_착한 유전자는 어째서 살인 기계로 변했는가
•인류 진화의 역사로 현대병의 비밀을 밝히고,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인간이 20만 년이라는 장구한 세월 동안 멸종을 면하고 번성할 수 있었던 비결은 경이로울 정도로 훌륭한 유전자 덕분이었다. 진화의 여정 속에서 우리 조상들은 필요 이상으로 음식을 먹어 두고, 소금을 간절히 원하고, 불안해하거나 우울해지는 전략을 취하고, 신속하게 혈액을 응고시키는 보호...
회원작성글 부키
 |  2019.02.13 10:03  |  조회 5287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플라이룸
‘초파리 유전학자’라고 늘 스스로를 정의하는 오타와대 김우재 교수의 첫 번째 단독 저서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낼 때는 언제나 자신이 사랑하는 ‘초파리’를 앞세우는 그는 초파리로 세계 정복을 꿈꾼다는 초파리에 미친 사람이다. 또한, 자신의 글에 ‘급진적 생물학자’라는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그는 과학계의 독설가로 유명하다. 초파리로...
회원작성글 BRIC
 |  2019.02.12 14:07  |  조회 3453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홍보
누가 자연을 설계하는가
생명과학은 법과 제도, 국가 정책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었을까? 정답은 "엄청나게 큰 영향을 주었다"이다. 20세기 초중반에는 화학과 물리학이 두 차례 세계 대전을 일으키며 영향력을 행사했다면, 20세기 후반에는 생명과학이 국가를 위해 새로운 역할을 했다. 생명과학과 유전공학이 발전하면서 동물 실험에 특허를 인정할 수 있는지, 배아 복제를 허용해야 하는지 같은 질문이 제기...
회원작성글 East_Asi..
 |  2019.02.01 16:44  |  조회 2972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1
홍보
사이언스 빌리지: 슬기로운 화학생활
“화학만큼 우리 삶을 지배하는 학문은 없다.” - 『사이언스 빌리지: 슬기로운 화학생활』 추천사 中    물질세계에서 살아가는 이상, 인간은 수많은 물질과 접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우리가 접하는 모든 물질의 성질은 화학이 결정한다. 그리고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이 접하는 물질의 수는 점점 늘어만 가고 있다. 그런데도 불구...
회원작성글 dongasia..
 |  2019.01.28 09:26  |  조회 2910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2
처음 이전  01 02 03 04 05 06 07 08 9 10  다음 끝
소리마당 PLUS
포닥나라
포닥을 그만두고 다른 포닥 자리를 알아봐야 고민입니다. [8]
J1 비자 재발급 가능할까요..? [4]
피펫잡는 언니들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71. 슬기로운 미쿡 생활(34) -...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70. 슬기로운 미쿡 생활(33) -...
이 책 봤니?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캐스린 페이지 하든 - 유전자 로또
[홍보] 과학적 설명의 한계를 탐구하다 『고양이와 물리학』
이 논문 봤니?
[요청] 논문 입문자 추천 [1]
[요청] 면역학과 바이러스학 [3]
연구비 부정신고
위로가기
커뮤니티 홈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