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커뮤니티
에이비클로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Miami Winter Symposium 2023 – Molecular Neuroscience: Focus on Sensory Disorders 학회 참관기
전체보기 소리마당 학회룸쉐어 Sci카페 SciON(설문조사)
조회 92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이책봤니? - 홍보
키트루다 스토리 - 머크Merck & Co.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
김성민 | 바이오스펙테이터 | 2022.10.14.
회원작성글 bios781
  (2022-10-27 11:01)

신약은 어떻게 신약으로 탄생하는가

 

과학과 전략으로 살펴본

어제와 오늘과 내일의 키트루다 스토리

 

 

키트루다 개발 과정의

연구노트와 회의록이 궁금하다면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pembrolizumab)는 면역항암제다. 사람의 면역시스템에는 암을 없애는 기능이 있고, 면역항암제는 몸속 면역시스템이 암을 없애는 기능을 이용하는 개념의 신약이다. 표적항암제가 특정한 암의 특별한 성질을 타깃해 암을 없애는 메커니즘이라면, 면역항암제는 면역시스템이 거의 모든 암을 없애는 메커니즘을 활용하므로 여러 종류의 암 치료에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크(Merck & Co.)의 키트루다는 2022년 기준, 거의 모든 암에 처방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키트루다를 기적의 항암 신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이 책은 키트루다 앞에 붙었던 기적의라는 수식어를 떼어냈다. 대신 과학의또는 전략의라는 수식어를 붙였다. 󰡔키트루다 스토리-머크Merck & Co.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에는 한 편의 영화처럼 펼쳐지는 드라마틱한 성공과 실패의 신약 개발 스토리가 담겨 있지 않다. 오늘도 출근하면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은, 어느 바이오테크 연구실이나 제약기업 전략기획실 책상에 쌓여 있을, 복잡하고 지루한 회의들을 기록해놓은 회의록에 가깝다. 평생에 한 번 만나기도 어려운 극적인 상황이 연출되며 풀려가는 신약 개발 스토리가 아닌, 임상시험 데이터를 매일 검토하고 부족한 예산을 어떻게 집행해야 할지 늘 결정해야 하는 연구 스토리이자 전략기획 스토리다.

 

최초가 아니었다

대부분의 신약이 최초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키트루다는 최초의 면역항암제가 아니다. 최초의 면역항암제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ristol Myers Squibb, 이하 BMS)의 여보이(Yervoy®, 성분명: Ipilimumab)와 옵디보(Opdivo®, 성분명: nivolumab)였다. 머크의 키트루다는 BMS의 여보이나 옵디보에 비해 몇 년 정도 뒤늦게 시작한 프로젝트였다. ‘불과 몇 년 차이라고 가볍게 넘길 수도 있겠지만, 새로운 기술과 특허가 매일 쏟아지는 신약 연구에서 몇 년은 돌이킬 수 없는 차이를 만들어낼 수도 있는 시간이다.

실제로 BMS가 면역항암제를 세상에 내놓을 즈음, 머크는 인수합병 과정에서 우연히 얻게 된 면역항암제의 아이디어와 기술을 다른 기업에 팔아버리려고까지 했다. 2021년 기준, R&D 비용으로만 1년에 20조 원 가까이 투자하는 머크 같은 전 세계적인 제약기업도 면역항암제의 개념과 가치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몇 년의 시간을 잃어버린 머크는, 면역항암제 신약개발 경쟁에서 크게 뒤처지는 것이 당연해 보였다.

그런데 2022년을 기준으로 보면 머크의 키트루다는 BMS의 여보이와 옵디보를 제치고 가장 많이 처방되고,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면역항암제가 되었다. 이 책은 부제에 달린 질문처럼 머크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라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궁금증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키트루다 스토리-머크Merck & Co.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에는 키트루다 개발과 관련된 40여 개의 그래프와 표, 개념의 이해를 돕는 일러스트가 담겨 있다. 26개의 키트루다 임상시험 데이터와 12개 옵디보 임상시험 데이터, 면역항암제뿐만 아니라 주요 약물 55개도 다룬다. 이들은 모두 신약개발 과정을 증명하는 임상시험 데이터, 신약개발 의지를 보여주는 마일스톤 데이터, 연구실에 있던 후보물질을 환자가 있는 병원으로 가져와 신약으로 처방할 수 있도록 허가해주는 규제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내용이다. 더불어 2022년 현재 키트루다를 비롯한 면역항암제라는 주제로 일어나고는 주요 임상시험, 새로운 개념의 항암 신약 메커니즘에 대한 소개와 현황 분석, 삼중음성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TNBC)처럼 마땅한 치료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영역에서 면역항암제의 적용 가능성 등 항암 신약개발이 일어나고 있는 2022년의 현장 스케치가 담겨 있다.

이 책이 키트루다 앞에 붙는 기적의 신약이라는 수식어를 뺐던 이유 가운데는, 암과의 싸움에서 키트루다가 활약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우리는 매일매일 암에게 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키트루다를 성공시켜낸 머크가 보여주는 태도와도 비슷하다. 머크는 임상 현장에서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키트루다의 효능을, 경쟁사인 BMS의 면역항암제들과 비교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한다. 만약 비교 임상시험에서 경쟁사 약물 대비 덜한 효능 데이터가 나온다면, 머크 스스로 자신의 키트루다의 명성과 매출에 악영향을 끼치는 행동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머크는 이런 행동은 아직 키트루다는 완벽한 치료제가 아니며’, ‘신약개발은 환자에게 더 나은 삶을 주기 위함이라는 정답을 머크와 키트루다에서 찾을 수 있는 단초가 된다.

항암 신약개발은 아직 끝난 것이 아니기에, 󰡔키트루다 스토리-머크Merck & Co.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도 신약개발이라는 길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의 수많은 바이오테크와 제약기업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 목표다. 멋진 성공 스토리를 깔끔하게 완성하고 보기 좋게 전달하기보다는, 키트루다를 매개로 해 매일매일 연구실과 임상시험 현장에서 벌어지는 항암 신약개발 현장의 모습을 어느 정도는 분주하게 전달하려고 한다. 키트루다를 비롯한 그 어떤 항암 신약도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며, 머크조차 면역항암제의 가치를 모르던 때가 있었던 만큼, 한국의 신약개발 바이오테크와 제약기업에게도 여전히 희망이 있다는 점을 󰡔키트루다 스토리-머크Merck & Co.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는 강조한다.

 

면역이라는 과학, 항암제라는 시장

그리고 키트루다라는 성공

이 책은 일곱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 머크와 BMS’에서는 가장 중요한 암인 폐암을 중심으로, 암 치료에서 키트루다가 다시 구성해낸 암 치료의 프레임을 소개한다. 폐암 치료 현장의 기본 프레임 속에서 키트루다가 자리를 잡게 된 3개의 임상시험이 주인공이다.

‘2. 펨브롤리주맙과 이필리무맙에서는 면역항암제 개발을 둘러싼 머크와 BMS의 차이를 읽어낸다. 가능성을 먼저 알아차린 BMS와 뒤늦게 출발선에 선 머크의 면역항암제 초기 개발사를 살펴본다.

‘3. 5%50%’에서는 서로 다른 바이오마커 전략을 선택한 머크와 BMS의 행보, 이 차이가 만들어 낸 엇갈린 결과를 보여준다. 이어지는 ‘4. PD-L1TMB’에서도 바이오마커 전략을 비롯한, 신약개발 연구 전반에 걸친 입장과 태도의 차이가 결과적으로 어떤 차이를 불어왔는지 추척한다.

‘5. TNBC’는 여전히 뚜렷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TNBC 치료제 개발 영역에서 키트루다로 방법을 찾아가는 머크의 현황을 조망한다. ‘6. 신장암에서는 BMS가 신장암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앞서게 된 이유를 찾아보고, 키트루다가 어떤 임상시험과 전략으로 신장암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고 있는지 살핀다.

마지막으로 ‘7. 키트루다를 가능하게 만든 것들에서는 2022년의 키트루다가 가능했던 조건들을 따져본다. 과학과 전략을 대하는 태도, 임상현장에 대한 이해, 신약개발의 프레임, 규제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압도하는 머크에서 키트루다를 가능하게 만든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도서 더 알아보기>



태그  
#키트루다
 
##EYTRUDA
 
#면역항암제
나도 봤어요 1
   
나도 볼께요 0
신고하기
목록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포닥나라  |  피펫잡는언니들  |  이책봤니?  |  이논문봤니?  |  설문통 소리마당플러스
홍보
누리호, 우주로 가는 길을 열다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7대 우주강국 진입기! 그 속에 숨겨진 땀과 눈물의 이야기   ★ 대한민국 우주발사체 산업의 살아 있는 역사, 오승협 박사의 휴먼 드라마 ★ 데니스 홍, 유용하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윤영빈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강력 추천!   ■ 책 소개   『누리호, 우주로 가는...
회원작성글 알에이치...
 |  03.09 09:31  |  조회 83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홍보
마음의 중심이 무너지다 - 조현병 환자의 우정, 사랑, 그리고 법학 교수가 되기까지의 인생 여정
옥스퍼드에서 석사를 마치고 예일 법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석좌 교수의 자리에 오른 엘린 색스. 최고의 대학을 거쳐 자신의 분야에서 인정받는 학자로 자리매김했지만 그녀의 뇌는 최고의 친구인 동시에 최악의 적이었다. 그녀는 조현병 환자이기 때문이다. 엘린은 학창 시절 조현병 진단을 받았지만 이에 굴복하지 않고 우정과 사랑, 그리고 직업적 성취까지...
회원작성글 소우주
 |  03.07 15:56  |  조회 138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1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정종수 - 나는 연구하고 실험하고 개발하는 과학자입니다
저는 연구 경력이 길지는 않습니다. 학사 졸업 후 제약회사의 연구원으로 잠깐 있다가 진짜 연구를 하고 싶어 학교로 돌아왔습니다. 그럼에도 박사까지는 하지 않고 책상에서 하는 일이 대부분인 직장에 들어왔습니다. 지금 하는 일도 연구와 무관하지는 않아서, 연구 안 하는 사람 중에서는 손에 꼽힐 만큼 연구와 가까운 삶을 살기는 할 겁니다. 그럼에도 연구를 하는 것은 아니기에, 연구와 연구자로부터 점점 멀...
회원작성글 BRIC
 |  03.03 01:42  |  조회 291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과학 유튜브 채널, 쿠르츠게작트! 드디어 책으로 만난다!
면역 당신의 생명을 지켜 주는  경이로운 작은 우주    구독자 1900만, 누적 조회수 20억 회 지구 최강의 과학 유튜브 채널  드디어 책으로 만난다! 몸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영원히 바꿀  면역계 그림 여행 2019년 11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전 세계 누적 확진자가 6억 명을 돌파한...
회원작성글 scienceb..
 |  01.13 11:22  |  조회 616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스튜어트 리치 - 사이언스 픽션
브릭에 테드 창의 SF 작품집을 소개한 적 있었지요. 오늘 가져온 책은 <사이언스 픽션>입니다. 똑같은 SF지만 SF 소설은 아니고, 과학의 탈을 뒤집어쓴 픽션에 대한 논픽션입니다. 스튜어트 리치의 <사이언스 픽션>은 연구 부정의 다양한 양상과 부정을 부추기는 학계를 폭로합니다.   표지 출처 알라딘 (www.aladin.co.kr)...
회원작성글 BRIC
 |  01.05 10:46  |  조회 544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뇌과학계의 칼 세이건, 데이비드 이글먼 신작!   세계적으로 촉망받는 젊은 뇌과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 데이비드 이글먼의 신작. 그는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신경과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뇌과학의 최신 이슈를 대중에게 쉽게 소개하는 대중 강연자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뇌과학계의 칼 세이건’이라는 찬사를 듣고 있다. 이 책...
회원작성글 알에이치...
 |  2022.12.21 14:39  |  조회 486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인류의 운명을 바꾼 화학
화학자가 들려주는 원자와 분자, 세포 이야기  인류의 운명을 바꾼 화학 “화학의 역사는 과학자들의 땀과 호기심, 우연의 역사다!” 수많은 시행착오와 노력 끝에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든 화학의 역사와 인류의 미래!   우리가 사는 세상은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물질의 성질과 변화를 연구하는 과학이 바로 화학...
회원작성글 전성시대
 |  2022.12.09 10:55  |  조회 444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던 필드·닐 데이비스 - 바이오코드
지금으로부터 몇 달 전, 모 애플리케이션에서 무료로 유전자 검사를 해준다는 광고를 보았습니다. 매일 선착순으로 신청자를 받아 검사 키트를 보내주는 이벤트였습니다. 개인 유전체 분석이 저렴해지고 있다고 들어오긴 했지만, 마침내는 무료로 풀릴 만큼 세상이 변한 것이 신기했습니다. 신청 시간 10분 전에 알람을 맞춰놓고 신청 1분 전부터 버튼을 우다다 눌렀습니다. 운 좋게도 사나흘 만에 신청에 성공했습니...
회원작성글 BRIC
 |  2022.12.01 14:46  |  조회 724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공기가 우리를 독살하고 있다 『공기 전쟁』
『공기 전쟁』 전 세계에 드리운 대기오염의 절박한 현실     미국의 환경 저널리스트 베스 가디너가 전 세계를 누비며 공기 재앙의 현실을 가차 없이 폭로한 현장 보고서. 수많은 건강 문제와 대기오염의 관계를 강력히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에 충격을 받은 저자는 대기오염이 전 세계에서 어떤 식으로 펼쳐지고 있는지, 왜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직접...
회원작성글 henamu
 |  2022.11.25 16:35  |  조회 243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김준혁...우리 다시 건강해지려면
SPC에서 20대 여성 근로자 사망 사건이 발생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계열사에서 다시 손가락 절단 사고가 발생했다. 전 국민의 공분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연속된 사고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위험한 곳인지 절감하게 된다. 사망한 근로자는 적절한 작업 환경에 있지 못했다. ‘건강의 공정’이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SPC에서 회장 이...
회원작성글 BRIC
 |  2022.11.10 09:25  |  조회 696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션 B. 캐럴(Sean B. Carroll) 편, 이보 디보(Endless Forms Most Beautiful, 2006), 그리고 세렝게티 법칙(The Serengeti Rules, 2016)
“얼룩말은 검은 줄무늬를 가진 흰 동물인가, 아니면 흰 줄무늬를 가진 검은 동물인가?”.    이 흥미로운 질문은 지금은 돌아가신 고생물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Stephen Jay Gould, 1941-2002)의 에세이에 나오는 질문이라고 이 책 [1]에 소개되어 있다. 좀 더 과학적으로 질문해 보면, “얼룩말의...
회원작성글 BRIC
 |  2022.11.01 13:26  |  조회 1462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키트루다 스토리 - 머크Merck & Co.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
신약은 어떻게 신약으로 탄생하는가   과학과 전략으로 살펴본 어제와 오늘과 내일의 키트루다 스토리     키트루다 개발 과정의 연구노트와 회의록이 궁금하다면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pembrolizumab)는 면역항암제다. 사람의 면역시스템에는 암을 없애는 기능이 있고, 면역항암제는 몸속 면역시스템이 암...
회원작성글 bios781
 |  2022.10.27 11:01  |  조회 921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서평
[PCR 돌려놓고 한 장] 질리언 테트 - 알고 있다는 착각
모든 사례는 일반화해서 표현한 것이며... 제 이야기 아닙니다. 최근 국내 학회를 참관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고 열린 가장 큰 학회였습니다. 개인적으로 학회는 대학원생 때 참여한 이후 4년 만이었니다. 코로나가 휩쓴 후에도 학회의 시간표나 구성은 그대로였지만, 학회에 참여한 목적이 달라진 덕에 전혀 다른 광경이 보였습니다. 연구원 시절 학회는 발표나 포스터로 최...
회원작성글 BRIC
 |  2022.10.25 11:48  |  조회 1126  |  댓글 1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2
홍보
'최고의 집중'을 가능하게 하는 뇌과학의 조언 《주의력 연습》
주의력 연습   “왜 우리는 삶의 50%를 딴생각으로 흘려보낼까?” 내 안의 산만함을 잠재우고 ‘최고의 집중’을 가능하게 하는 뇌과학의 조언   ★TED 500만 뷰 <딴생각하는 마음 길들이기> ★전미 베스트셀러, 아마존 인지심리학 베스트셀러 ★세계경제포럼, 애스펀연구소, 뉴욕아카데미...
회원작성글 어크로스...
 |  2022.10.21 15:58  |  조회 620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자연의 발명...나의 멘토 알렉산더 폰 훔볼트
일상 속 나의 멘토 어스름이 내려앉으면 간편한 옷과 도톰한 양말에 운동화 끈을 고쳐 메고 집을 나선다. 탄천을 따라 구비구비 이어진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를 맥락 없이 뛴다. 하루의 되새김질과 내일의 기대가 뒤섞인 상념의 발자국들이 저만큼 멀어져 간다. 산책로 옆을 흐르는 물소리는 엔야(Enya)의 Orinoco flow 선율 속 Sail away 후렴구와 함께 귓가에 맴돈다....
회원작성글 BRIC
 |  2022.10.13 14:12  |  조회 841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PEN 에드워드 윌슨 과학저술상, 영화화 확정! 『여우와 나』
『여우와 나』 한없이 다정한 야생에 관하여 『파이 이야기』의 얀 마텔로부터 “소로가 『어린 왕자』를 읽었다면 『여우와 나』를 썼을 것”이라는 극찬을 받은 책. 한 무명의 생물학자가 쓴 이 회고록은 PEN 에드워드 윌슨상과 노틸러스 북어워드 금메달 외 다수의 출판상을 휩쓸었고 유수 언론사로부터 ‘올해의 책’으로 꼽히며 과학적 성취와 대중...
회원작성글 henamu
 |  2022.10.07 16:27  |  조회 819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김영웅 저, "닮은 듯 다른 우리"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 그리고 약간의 유전학까지에 걸친 기본적인 생물학 지식을 교과서적인 구성이 아니라 스토리텔링 방법을 차용하여 쉽게 풀어쓴 책.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에 등장하는 아버지, 두 어머니, 네 아들 사이의 생물학적, 인문학적 고리를 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재미있게 풀어쓴 책. 2021년은 마침 도스토옙스키의 탄생 200주년이었고, 우리나라에...
회원작성글 dale77
 |  2022.10.05 13:24  |  조회 967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2
서평
박문호 편, “뇌, 생각의 출현”, 그리고 “빅 히스토리 (Big history)” 에 관하여
난 돌이켜 생각해보면, 여러 가지로 부끄러운 점이 많았던 학위 과정을 보냈다. 여기서 말하는 부끄러움은 스스로 가지고 있는 학습 능력의 부족함이었다. 그로 인한 문제는 사실 학점 이수라는 졸업 요건 및 박사과정 진학의 문제로 이어지기도 했다. 난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생물학 공부를 하면서, 뇌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어려운 물리학과의 이론 수업과, 프로그래밍 실습수업을 수강하다, 실험실에 돌아...
회원작성글 BRIC
 |  2022.09.22 17:07  |  조회 2208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최준석의 과학 열전 - 『물리 열전 - 상』, 『물리 열전 - 하』, 『천문 열전』
한국 과학의 풍경이 보인다! 우리 과학의 계보, 현재, 미래를 한눈에 보여 주는 초대형 인터뷰 프로젝트, 그 첫걸음   과학에 푹 빠진 문과 출신 기자가 전하는 지금껏 몰랐던 진짜 ‘과학자’들의 삶 ‘문과라서 죄송합니다.’라는 뜻을 가진 ‘문송합니다.’가 유행하는 2022년, 과학 전문 출판사인...
회원작성글 scienceb..
 |  2022.09.22 11:20  |  조회 346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위대한 과학 고전 30권을 1권으로 읽는 책
  아리스토텔레스부터 리처드 도킨스까지 천문학에서 현대 유전학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 과학의 발달사를 30권의 명저로 만난다!   <위대한 과학 고전 30권을 1권으로 읽는 책>     ☆★ 최재천 교수 추천 ★☆ "과학을 모르면 21세기를 제대로 살아낼 방법이 없다." &nb...
회원작성글 빅피시
 |  2022.09.22 10:14  |  조회 689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처음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끝
소리마당 PLUS
포닥나라
AKIA Publication Award for Postdocto...
미국 포닥 지원부터 최종 결정까지 그 여정 [12]
피펫잡는 언니들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69. 슬기로운 미쿡 생활(32) -...
[엄마과학자 창업도전기] 19화. 처음부터 조직이 필요하다
이 책 봤니?
[홍보] 누리호, 우주로 가는 길을 열다
[홍보] 마음의 중심이 무너지다 - 조현병 환자의 우정, 사랑, 그리고 법...
이 논문 봤니?
[요청] 논문 입문자 추천 [1]
[요청] 면역학과 바이러스학 [3]
연구비 부정신고
위로가기
커뮤니티 홈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필코리아테크놀로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