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커뮤니티
ACROBIOSYSTEMS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웹진 6월호 오픈
전체보기 소리마당 학회룸쉐어 Sci카페 SciON(설문조사)
조회 188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이책봤니? - 서평
션 B. 캐럴(Sean B. Carroll) 편, 이보 디보(Endless Forms Most Beautiful, 2006), 그리고 세렝게티 법칙(The Serengeti Rules, 2016)
션 B. 캐럴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 지호 | 2007년 7월 24일
회원작성글 BRIC
  (2022-11-01 13:26)

“얼룩말은 검은 줄무늬를 가진 흰 동물인가, 아니면 흰 줄무늬를 가진 검은 동물인가?”. 
 

션 캐롤(Sean B. Carroll) 편, 이보 디보(Endless Forms Most Beautiful, 2006), 그리고 세렝게티 법칙(The Serengeti Rules, 2016).


이 흥미로운 질문은 지금은 돌아가신 고생물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Stephen Jay Gould, 1941-2002)의 에세이에 나오는 질문이라고 이 책 [1]에 소개되어 있다. 좀 더 과학적으로 질문해 보면, “얼룩말의 줄무늬는 어떻게 생겼는가?” 일 것이고, 그 답은 얼룩말에 대한 연구가 적어서 잘 모르지만, 아마도 환경에 적응하면서 진화하는 동안, 개체의 발생 동안의 유전자 조절을 통해서 검은 줄무늬와 흰 줄무늬를 가로줄이 아닌 세로줄로 그리고 발생 시기별 유전자 조절을 통해서 세로줄의 개수가 정해졌을 것이라고 보고 있고, 결론은 “얼룩말이란 검은 줄무늬와 흰 줄무늬를 함께 가진 동물이라고 하고 싶다”라고 저자는 과학자다운 답을 하고 있다. 

몸에 나타난 아름다운 패턴 하면 우린 쉽게 나비를 떠 올릴 수 있을 것이고, 인터넷 검색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는 나비목의 종류는 세계적으로 약 150,000여 종이며, 그중에서 나비는 약 20,000여 종이고 나방은 약 130,000여 종이라고 추정하고 있다고 한다(늘 이런 높은 숫자 통계를 볼 때마다, 이건 어떻게 측정하였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그리고, 나비 날개의 동그란 눈물 무늬 모양의 역할은 주로 새나 도마뱀과 같은 습격해오는 포식자의 시선을 날개 가장자리고 향하게 함으로써 연약한 몸통을 보호하는 것이지 않았을까 추정한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 머릿속으로 다 담을 수 없는 이 수많은 나비 종들의 날개 무늬의 의미를 우리가 다 헤아릴 수 있을까? 그리고, 스스로의 몸의 기능을 파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환경에 따른 수많은 날개 모양 패턴, 색깔을 발생 유전학적 관점에서 진화의 시간 동안 만들어낸 건 정말 놀랍다. 다른 환경의 적응이라는 진화의 통찰을 보여주듯, 어떤 나비는 다른 온도에서의 배아를 키웠을 때, 다른 패턴의 나비 날개 모양을 만든다고 한다.

아이들은 언제나 놀랍지만, 열 살 어린이가 그렸다고 하기엔 잘 믿기지 않게 잘 그린 이 그림(이 책 맨 앞부분에 삽입된 그림, 열 살 어린이 크리스토퍼 헤르의 그림, 미국 위스콘신 주 매디슨 시 이글 초등학교)에서도 볼 수 있는 얼룩말과 나비는(안타깝게도) 나에겐 어린 시절에만 흥미롭게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션 B. 캐럴의 이보 디보(Evolutionary + Developmental biology) 책 [1]을 통해서 앞으로는 나비를 만날 때 조금 다른 느낌이 생길 거 같다. 이 책은 다른 학문으로 여겨졌던 진화이론 연구와 발생 유전학을 어떻게 통합할 수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우리 모두는 공통 조상에서 왔고, 각 분화된 종들을 실험실에서 연구함으로써 우리 스스로의 기원에 대해, 진화에 대한 이해를 더할 수 있다는 건 정말 멋진 일이 아닌가 싶다. 예를 들어, 45억 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우리 지구에 생명이 진화하기 시작한 것은 아마 35억 년쯤 일 것이다(역시 이 숫자들의 측정의 근거들이 여전히 궁금하다.). 그런데, 남 호주에서 발견된 화석인 에디아카라 동물군(Ediacaran fauna, named for the hills in South Australia where representatives of these forms were first found)으로부터 출발한, 6억 년에서 5억 7천만 년 전쯤인 선캄브리아 시기(600 to 570 million years ago)에 무슨 환경의 영향이 있어서 다리 많은 절지동물들이 갑작스럽게 증가했는지는 예측하기 쉽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발생 유전학을 통해서 어떻게, 수많은 다른 형태의 다지(많은 다리) 절지동물들이 스스로의 생명에 위협받지 않은 채(의식주 생활을 할 수 있는 몸을 유지하면서) 수많은 유전적 변형들이 일어났는지는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나비 날개의 이야기로 돌아와 몇 가지 독자로서 흥미로웠던 내용은, 날개의 진화는 1) 아가미의 변형을 통해서 진화가 이루어졌을 거라는 유전적 증거와 2) 다른 3가지 형태의 날개에 대한 진화적 비교였다. 이 책에서 인용된, 패트 십먼(Pat Shipman)은 “날개를 얻다(Taking Wing)”란 책에서 익룡(pterosaur)의 날개는 “손가락 날개(finger)”, 새의 날개는 “팔 날개(arm wings)”, 박쥐의 날개는 “손 날개(hand wings)”라고 비유하면서 그 차이점을 비교하고 있다. 즉, 익룡 날개는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손가락은 작게 그대로 유지한 채로(아마도 공도 잡을 수 있었을 듯 보인다.). 네 번째 손가락이 길게 날개 바깥을 완전히 휘감는 모습으로 진화했다. 이 익룡이 하늘을 날기 시작한 것은, 깃털 달린 공룡에서 진화한 조류가 진화하기 약 7천만 년 전인, 약 2억 2천5백만 년 전이라고 한다. 그리고, 새의 경우 날개는 막이 아니라 깃털로 만들어졌고, 이 깃털은 피부가 자란 것으로서, 날개는 팔 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새의 네 손가락은 몹시 짧은 편이라고 한다. 그리고, 박쥐는 오리 물갈퀴와 같은 형태인 손 날개로 진화한 것이다.

즉, 자연은 일단 어떤 종류의 생산 방식을 선택했으면, 그것으로 만들 수 있는 갖가지 형태를 모두 생성하고서야 다른 방식으로 넘어간다는 것이다 [2]. 그리고 “날기”라는 큰 목표를 위해서 특수 유전자를 통한 특정 단백질 형성으로 생명을 디자인하기보다는, 가지고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환경에 따라서, 땜장이처럼 수없이 이것저것 변형해서 진화한 것이다. 이는 약 30억 개의 염기쌍(3 billion base pairs)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DNA 서열이, 약 6백만 년 전의 공통 선조로부터 갈라져 나온 것으로 알려진 침팬지의 DNA 서열과 98.8% 일치한다는 잘 알려진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마도 7천5백만 년 전쯤에 갈라져 나온 우리 연구에 많이 쓰는 설치류와도 많은 DNA 서열을 사람과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1.2% 라는 염기쌍으로 말하면 3천6백만 개의 염기 서열 차이(36 million different base pairs), 그 일부 염기 서열 도구들을 가지고 대장장이가 땜질을 해서 턱은 들어가고, 콧구멍은 작아지고, 머리는 커진 인간을 만든 것이다. 즉, 영장류(primates)와 대형 유인원(great apes)과 사람의 진화는 유전자를 통한 다른 단백질의 합성(the proteins the genes encode)이 아닌, 유전자 통제 방식의 변화(changes more in the control of genes)에서 빚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책의 제목인 “Endless forms most beautiful”은 생물학 역사상 가장 많이 인용된다고 하는 다윈의 “종의 기원” 마지막 문장에서 따왔다고 한다. 발생 유전학을 공부하지 않은 1844년 다윈의 통찰력, 이 마지막 문장을 2년에 걸쳐서 부분 수정을 하였다고 하니 참 대단하다. 생명 현상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로서도 여러 번 읽고, 마음속에 간직하고 싶은 문장이다.

“생명은 최초에 단 한 가지, 혹은 소수의 몇 가지 형태로 숨결이 불어넣어져 여러 가지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는 시각, 우리 행성이 불변의 중력 법칙에 따라 돌고 돌기를 반복하는 동안, 그토록 단순한 한 시작으로부터 최고의 아름답고 무수히 다양한 형태들이 진화했고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는 생명관은 실로 장엄한 것이다.”

There is a grandeur in this view of life, with its several powers, having been originally breathed into a few forms or into one: and that whilst this planet has gone cycling on according to the fixed law of gravity, from so simple a beginning endless forms most beautiful and most wonderful have been, and are being, evolved.

저자는 나비 날개의 모양 패턴 연구를 통해서 세상에 알려지자, 한 독자의 편지를 받았다고 한다. 간단한 편지 내용 요약은 당신 같은 똑똑한 사람이 이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고, 나비나 연구하고 있다니 참 한심하다는 것이었다. 나비를 통해서 우리 지구의 생명 진화를 조금 더 이해할 수 있다면, 이보다 더 적극적 “지구적 문제”에 대한 고민이 있을까? 내 개인적 생각이다. 저자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없으니 알 수 없으나, 그래서 였을까, 션 B. 캐럴은 10년 후인 2016년에 또 다른 스케일의 생태학적 연구에 관한 책 [4], 다큐멘터리 영화 [5] 등을 정리하여 만들어 낸다. 그것이 아프리카 탄자니아(Tanzania) 북쪽에 있는 세렝게티(Serengeti) 국립공원(온갖 야생 동식물이 모여 사는)에서 이름을 딴 “세렝게티 룰"이다. 

현미경을 보면서, 실험실에서만 연구해 본 나에겐 참 새롭게 다가온 생태학 연구, 모습들이어서 참 흥미로웠다. 이 생태학 법칙 연구에 기여한 토니 싱클레어(Tony Sinclair)는 이 아프리카 탄자니아 세렝게티에서 50년이 넘게 생태 연구를 하면서 살았다고 한다. “Research”란 글자가 새겨진 지프차를 타고 다니며, 죽은 야생 동물들을 발견하면, 병에 의해서 죽었는지, 아니면 먹잇감의 부족으로 인한 기근에 의해서 죽었는지를 조사한다. 그리고 라이온 킹 영화에서나 본 듯한 큰 영양(Wildebeest) 떼의 숫자를 하나하나 세어서 먹이 사슬의 개체수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 측정은 경비행기를 타고 이 넓은 평야를 지그재그로 비행하면서 촘촘히 찍은 사진을 가지고 숫자를 센다. 아프리카의 초원에 사는 동식물의 생태 변화를 보기 위해 몇십 년 동안의 개체 종 수의 변화를 관찰하여 연구하는 기분은 어떨까? 연구비는 어디서 받는 걸까? 나에게 연구비 걱정 말고 탄자니아에서 평생 생태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 어떤 결정을 할 수 있을까? 보통 2-3년 동안 실험 결과를 받고, 논문을 써서 길면 논문 출판하기까지 걸리는 4-5년이 정말 길게만 느껴지는데, 이 몇십 년을 두고 관찰하고 기록해서 자기 세대에 다하지 못하면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있는 이 연구의 느낌은 어떨까 잠시 생각해 본다.

아마도 나에겐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에서 잠시 보았던 먹이 사슬에 관한 이야기이다. 한 생태계를 잘 유지하려면 먹잇감에 해당(prey)하는 종들만 다양하게 풍부하다면, 포식자(predator)들의 개체수는 상관없고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어쩌면 예상한 대로 모든 종 혹은 “우리 모두는 연결되어 있다”인 것이다. 그리고 특히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주춧돌 종(Keystone species)은 먹잇감 종이 아닌 포식자 중에 있다는 것이다. 모든 종이 주춧돌 종은 아니며, 특히 주춧돌 종이 사라지면, 그 생태계란 집은 무너지고, 이 주춧돌 종은 포식자 중에 있다고 한다. 이를 실험적으로 가설을 세우고, 연구한 지금은 돌아가신 미국 시애틀 워싱턴 대학교의 밥 페인(Bob Paine, 1933-2016) 교수님은 이를 바닷가의 한 부분 지역을 설정해 놓고, 그 안의 불가사리를 모두 손으로 직접 다른 곳으로 던져서 제거했을 때 어떻게 생태계가 변하는지 실험하였다. 이는 미시시피 강의 한 물고기 종을 제거, 혹은 포식자가 사라진 섬에서의 생태계 연구를 통해서 포식자 중에 주춧돌 종이 있다는 동일 결과를 여러 독립적인 연구자들을 통해서 도출하게 되었다. 

이 연구들은, 스스로 공부(self-taught) 한 연구, 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서 영화를 찍은 Ali Tabrizi의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스피러시(Seaspiracy) [6]”에서도 잘 볼 수 있는, 1960-70년대의 포경 산업이 어떻게 수달(먹잇감을 잃은 식인 고래들의 대체 먹잇감으로 사용된) 숫자를 줄게 만들었고, 그 결과 생태계가 망가졌는지, 동물원 혹은 특정 가죽옷, 인간의 탐욕을 채우기 위해 잡혀서 사라진 상위 포식자들(사자, 표범, 고래 등)의 제거가 어떻게 그들이 속한 생태계가 차례로 파괴될 수 있는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인간은 주춧돌 종을 포함한 모든 것들 조절할 수 있는 종인 셈이다. 그리고,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무지가 큰 재앙을 일으키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또한 자연 속 전염병을 통한 특정 주춧돌 종의 개체수 급격한 감소, 그에 따른 생태계의 붕괴와 서서히 다시 생태계가 회복되는 예도 함께 보여주면서 자연의 회복 탄력성에 관한 이야기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회복 탄력성은 기후위기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막연한 회복을 믿게 하는 독소만 될지도 모르겠다. 

세렝게티 룰에 대한 실험들을 직접 저자인 션 B. 캐럴이 얼마나 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관심 있는 일에 알려진 사실들을 모으고 정리해 또 다른 형태로 이해하고 전달하는 것 역시 과학적 사실 발견 못지않은 중요한 일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그리고, 팬의 입장에서 션 B. 캐럴의 앞으로의 연구, 팟캐스트 혹은 다큐멘터리와 같은 미디어, 앞으로 출판될 그의 책들에 기대와 응원을 보낸다. 

 

[관련 자료 링크]

[1]  이보디보,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71284875 

[2] 드니 디드로, “자연 해석에 관한 사색 (1753)”

[3] 세렝게티 법칙 관련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pTK710PMBE

[4] 세렝게티 법칙, http://www.yes24.com/Product/Goods/34924107

[5] The Serengeti Rules, Director: Nicolas Brown, PBS documentaries

[6] Seaspiracy, https://www.seaspiracy.org/

 

작성자: 김민환
* 본 서평은 "
BRIC Bio통신원의 연재"에 올려진 내용을 "이 책 봤니?"에서도 소개하기 위해 동일한 내용으로 올렸습니다.



태그  
#내마음속의망원경
 
#션B캐럴
 
#이보디
신고하기
목록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포닥나라  |  피펫잡는언니들  |  이책봤니?  |  이논문봤니?  |  설문통 소리마당플러스
홍보
『숨겨진 뼈, 드러난 뼈』 - 이동훈 의학 박사 추천
   “뼈와 관련해서 지금까지 읽어본 가장 재미있고 깊이 있는 책. 20년 넘게 정형외과 의사로 지내온 나에게도 읽는 내내 신선한 충격이었다.”  _이동훈 의학박사 (이동훈연세정형외과 원장)   뼈의 5억 년 역사에서 최첨단 뼈 수술까지 아름답고 효율적이며 무한한 뼈 이야기 『숨겨진 뼈, 드러난 뼈』 &...
회원작성글 해나무
 |  06.07 15:00  |  조회 37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캐스린 페이지 하든 - 유전자 로또
학부생 시절 집단 유전과 육종을 배우고 질문 하나에 머무르게 되었습니다. 왜 우리는 개나 돼지는 육종하면서 사람을 육종하는 것은 막을까요? 교수님께도 질문을 드렸지만, 사람의 형질은 무엇이 좋은지 확신할 수 없다는 답만 받았습니다. 틀리진 않았지만 완전하지도 않은 답이었습니다.  몇 년 간 관련한 책도 읽고 인터넷 논의도 뒤쫓아 보았지만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과학사 수업의...
회원작성글 BRIC
 |  05.31 18:56  |  조회 85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과학적 설명의 한계를 탐구하다 『고양이와 물리학』
이 책 《고양이와 물리학(From Micro To Macro)》은 저자인 블라트코 베르럴(Vlatko Vedral) 교수가 옥스퍼드의 하트퍼드 칼리지에서 열린 만찬에 참석하면서 시작된다. 화학자를 비롯해 생물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까지 각 분야의 석학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양자물리학자인 그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다. “당신은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큰 도전이 뭐라고 생각합니까?&rd...
회원작성글 알에이치...
 |  05.25 14:36  |  조회 92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무엇이 우리를 다정하게 만드는가 - 정재승 교수 추천
★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 추천 ★ “우리 안의 선한 천사는 어떻게 진화하고 작동하는가!” 심리학, 신경과학, 뇌과학으로 풀어낸 다정함의 비밀   《무엇이 우리를 다정하게 만드는가》   📖 책 소개 인간은 왜 극도의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타인을 돕는가 미시간대학교 심리학과 교수가 밝힌 다정함의 작동 원리 &ld...
회원작성글 알레
 |  05.24 11:43  |  조회 188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2
홍보
유전자와 진화에 대한 관점을 흔들 드라마틱한 과학 논픽션 - 『웃음이 닮았다』
전미 과학 작가 협회 사회 저널리즘 과학 상 수상작 우생학, 인종주의, 성차별로 얼룩진 유전학의 빛과 그림자 『웃음이 닮았다』  * 전미 과학 작가 협회 사회 저널리즘 과학 상 * 《가디언》 올해의 최우수 과학책 * 《뉴욕 타임즈 북 리뷰》 올해의 주목 도서 * 미국 아카데미 커뮤니케이션 상 올해의 책 * 베일리 기포드 상 논픽션 부문 최종 후...
회원작성글 scienceb..
 |  05.10 10:04  |  조회 272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생명을 살리고 가치를 창조하는 분자 예술의 세계, 『분자 조각가들』
  타이레놀부터 코로나19 백신까지 신약을 만드는 현대의 화학자들  『분자 조각가들』     tvN 스토리 <어쩌다 어른> 화제의 과학자 백승만 의약품 개발의 최전선에 있는 화학자가 들려주는 신약 개발의 역사와 숨겨진 뒷이야기들   신약을 개발하는 화학자들은 분자를 조각하는 현대의...
회원작성글 해나무
 |  04.25 13:14  |  조회 471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홍보
《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과학 4.0》 - 인공지능(AI)에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까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과학 4.0》 인공지능(AI)에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까지     MZ세대를 위한 과학기술 필독서 비전공자도 쉽게 따라잡는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 20세기 산업체계를 뒤바꿀 21세기 성장동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이 책은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미국의 &ls...
회원작성글 북루덴스
 |  04.25 11:51  |  조회 187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이토록 굉장한 세계》 - 다윈이 밤잠을 설치며 읽을 책!
경이로운 동물의 감각, 우리 주위의 숨겨진 세계를 드러내다 《이토록 굉장한 세계》     퓰리처상 수상 작가 에드 용의 6년 만의 신작 생명에 관한 이토록 아름다운 지적 충격은 또 없었다! ★2023 앤드류 카네기 메달 논픽션 수상작 ★2022 커커스상/2023 미국 도서 비평가협회상 논픽션 최종 후보작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아마존 과...
회원작성글 어크로스...
 |  04.21 16:41  |  조회 423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김박사넷과 미국 대학원 합격하기
  <책 소개> 실제 사례와 함께 보는 김박사넷 유학교육 프로그램 학점이 안 좋아도, 학벌이 낮아도 TOP스쿨 대학원 진학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교육 국내 최대 대학원생 커뮤니티 김박사넷에서 학점이 낮아도, 학벌이 부족해도 가능한 미국 TOP스쿨 합격 전략을 소개한다. 김박사넷 유학교육(舊 김박사넷 플러스)에서는 커리어 발전을 위해, 또 본인의 비전을...
회원작성글 영진닷컴
 |  04.06 13:55  |  조회 349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이블린 폭스 켈러 - 생명의 느낌
염색체에서 제 위치를 옮기는 유전자, 트랜스포존을 언제 알게 되었나요? 저는 대학교 3학년 유전학 시간에 트랜스포존과 자리바꿈(transposition) 현상을 배웠습니다. 이때를 기억하는 이유는 그때까지 알던 유전학 개념으로 트랜스포존을 납득하기 너무나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염색체가 워드프로세서도 아니고, DNA가 ctrl+X ctrl+V 하며 옮겨 다닌다는 것이 상상이 되지 않았습니다. 지금이야...
회원작성글 BRIC
 |  04.05 10:03  |  조회 429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홍보
누리호, 우주로 가는 길을 열다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7대 우주강국 진입기! 그 속에 숨겨진 땀과 눈물의 이야기   ★ 대한민국 우주발사체 산업의 살아 있는 역사, 오승협 박사의 휴먼 드라마 ★ 데니스 홍, 유용하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윤영빈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강력 추천!   ■ 책 소개   『누리호, 우주로 가는...
회원작성글 알에이치...
 |  03.09 09:31  |  조회 353
나도 봤어요1  |  나도 볼께요0
홍보
마음의 중심이 무너지다 - 조현병 환자의 우정, 사랑, 그리고 법학 교수가 되기까지의 인생 여정
옥스퍼드에서 석사를 마치고 예일 법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석좌 교수의 자리에 오른 엘린 색스. 최고의 대학을 거쳐 자신의 분야에서 인정받는 학자로 자리매김했지만 그녀의 뇌는 최고의 친구인 동시에 최악의 적이었다. 그녀는 조현병 환자이기 때문이다. 엘린은 학창 시절 조현병 진단을 받았지만 이에 굴복하지 않고 우정과 사랑, 그리고 직업적 성취까지...
회원작성글 소우주
 |  03.07 15:56  |  조회 358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1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정종수 - 나는 연구하고 실험하고 개발하는 과학자입니다
저는 연구 경력이 길지는 않습니다. 학사 졸업 후 제약회사의 연구원으로 잠깐 있다가 진짜 연구를 하고 싶어 학교로 돌아왔습니다. 그럼에도 박사까지는 하지 않고 책상에서 하는 일이 대부분인 직장에 들어왔습니다. 지금 하는 일도 연구와 무관하지는 않아서, 연구 안 하는 사람 중에서는 손에 꼽힐 만큼 연구와 가까운 삶을 살기는 할 겁니다. 그럼에도 연구를 하는 것은 아니기에, 연구와 연구자로부터 점점 멀...
회원작성글 BRIC
 |  03.03 01:42  |  조회 902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과학 유튜브 채널, 쿠르츠게작트! 드디어 책으로 만난다!
면역 당신의 생명을 지켜 주는  경이로운 작은 우주    구독자 1900만, 누적 조회수 20억 회 지구 최강의 과학 유튜브 채널  드디어 책으로 만난다! 몸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영원히 바꿀  면역계 그림 여행 2019년 11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전 세계 누적 확진자가 6억 명을 돌파한...
회원작성글 scienceb..
 |  01.13 11:22  |  조회 1289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스튜어트 리치 - 사이언스 픽션
브릭에 테드 창의 SF 작품집을 소개한 적 있었지요. 오늘 가져온 책은 <사이언스 픽션>입니다. 똑같은 SF지만 SF 소설은 아니고, 과학의 탈을 뒤집어쓴 픽션에 대한 논픽션입니다. 스튜어트 리치의 <사이언스 픽션>은 연구 부정의 다양한 양상과 부정을 부추기는 학계를 폭로합니다.   표지 출처 알라딘 (www.aladin.co.kr)...
회원작성글 BRIC
 |  01.05 10:46  |  조회 926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뇌과학계의 칼 세이건, 데이비드 이글먼 신작!   세계적으로 촉망받는 젊은 뇌과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 데이비드 이글먼의 신작. 그는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신경과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뇌과학의 최신 이슈를 대중에게 쉽게 소개하는 대중 강연자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뇌과학계의 칼 세이건’이라는 찬사를 듣고 있다. 이 책...
회원작성글 알에이치...
 |  2022.12.21 14:39  |  조회 824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인류의 운명을 바꾼 화학
화학자가 들려주는 원자와 분자, 세포 이야기  인류의 운명을 바꾼 화학 “화학의 역사는 과학자들의 땀과 호기심, 우연의 역사다!” 수많은 시행착오와 노력 끝에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든 화학의 역사와 인류의 미래!   우리가 사는 세상은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물질의 성질과 변화를 연구하는 과학이 바로 화학...
회원작성글 전성시대
 |  2022.12.09 10:55  |  조회 932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던 필드·닐 데이비스 - 바이오코드
지금으로부터 몇 달 전, 모 애플리케이션에서 무료로 유전자 검사를 해준다는 광고를 보았습니다. 매일 선착순으로 신청자를 받아 검사 키트를 보내주는 이벤트였습니다. 개인 유전체 분석이 저렴해지고 있다고 들어오긴 했지만, 마침내는 무료로 풀릴 만큼 세상이 변한 것이 신기했습니다. 신청 시간 10분 전에 알람을 맞춰놓고 신청 1분 전부터 버튼을 우다다 눌렀습니다. 운 좋게도 사나흘 만에 신청에 성공했습니...
회원작성글 BRIC
 |  2022.12.01 14:46  |  조회 1197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홍보
공기가 우리를 독살하고 있다 『공기 전쟁』
『공기 전쟁』 전 세계에 드리운 대기오염의 절박한 현실     미국의 환경 저널리스트 베스 가디너가 전 세계를 누비며 공기 재앙의 현실을 가차 없이 폭로한 현장 보고서. 수많은 건강 문제와 대기오염의 관계를 강력히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에 충격을 받은 저자는 대기오염이 전 세계에서 어떤 식으로 펼쳐지고 있는지, 왜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직접...
회원작성글 henamu
 |  2022.11.25 16:35  |  조회 490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서평
김준혁...우리 다시 건강해지려면
SPC에서 20대 여성 근로자 사망 사건이 발생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계열사에서 다시 손가락 절단 사고가 발생했다. 전 국민의 공분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연속된 사고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위험한 곳인지 절감하게 된다. 사망한 근로자는 적절한 작업 환경에 있지 못했다. ‘건강의 공정’이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SPC에서 회장 이...
회원작성글 BRIC
 |  2022.11.10 09:25  |  조회 1102
나도 봤어요0  |  나도 볼께요0
처음 이전  1 02 03 04 05 06 07 08 09 10  다음 끝
소리마당 PLUS
포닥나라
포닥을 그만두고 다른 포닥 자리를 알아봐야 고민입니다. [8]
J1 비자 재발급 가능할까요..? [4]
피펫잡는 언니들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71. 슬기로운 미쿡 생활(34) -...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70. 슬기로운 미쿡 생활(33) -...
이 책 봤니?
[홍보] 『숨겨진 뼈, 드러난 뼈』 - 이동훈 의학 박사 추천
[서평] [PCR 돌리고 한 장] 캐스린 페이지 하든 - 유전자 로또
이 논문 봤니?
[요청] 논문 입문자 추천 [1]
[요청] 면역학과 바이러스학 [3]
연구비 부정신고
위로가기
커뮤니티 홈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