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즐겨찾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동향
성균관대학교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BioLab 김한준 교수
전체보기 Bio통신원 Bio통계 BRIC View BRIC이만난사람들 웹진(BioWave)
목록
조회 830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바이오통신원   
[신약개발 case studies 시즌2] 카플라시주맙(Caplacizumab) - 최초의 nanobody 약물 [3]
의학약학 (2023-05-23)

5. 비임상 약리 및 독성

5.1. Executive Summary

카플라시주맙의 비임상 개발 프로그램은 다양한 세포 분석 시스템과 마우스, 기니피그(guinea pig, 사이노몰거스원숭이(cynomolgus monkey), 개코원숭이(baboon)를 대상으로 약리학, 약동학, 일반 독성학, 생식 및 발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Caplacizumab은 vWF의 A1-domain을 표적으로 하고 혈소판과 vWF의 상호 작용을 억제한다. vWF는 혈소판 활성화 및 부착에 관여하는 당단백질이다.

카플라시주맙의 Kd (Dissociation constant, 해리상수)는 3.76 pM로, vWF에 대한 강력한 친화력을 보여준다. Kd값이 낮으면 낮을수록 항체의 항원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것이며, 그 값이 높을수록 친화력이 낮은 것이다. 카플라시주맙의 생물학적 활성은 혈소판 부착 분석(platelet adhesion assay), 혈소판 응집 분석(platelet aggregation assay), 혈소판 기능 분석 및 ELISA 결합 분석을 사용하였다. 농도 의존적으로 생물학적 활성을 억제하였다.

in vitro 및 in vivo 약리학적 결과는 vWF와 혈소판 수용체 당단백질 GPIb‐IX‐V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RICO (ristocetin cofactor activity assay)를 사용하여 평가되었으며 바이오 마커로 사용되었다. 건강인과 TTP 환자의 혈장을 이용한 실험에서 vWF와 혈소판의 결합을 억제하였으며, IC50는 161~936ng/ml이었고, 완전히 억제하는 농도는 0.1~1.6μg/ml이었다.

카플라시주맙의 종간 특성은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분석, ELISA 분석, 혈소판 응집 및 부착 연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개코원숭이, 붉은털원숭이, 사이노몰거스원숭이, 돼지, 미니피그(minipig) 및 기니피그의 혈장 vWF와 결합했지만 마우스, 랫드, 햄스터, 토끼, 개의 혈장 vWF와 결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노몰거스원숭이와 기니피그가 카플라시주맙의 독성 연구를 위한 관련 종으로 선택되었다. 시노몰거스원숭이/기니피그종은 사람과 유사하게 카플라시주맙이 작용하기 때문에, 적합한 종이다.

독성시험에서 동물 종을 고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자칫하면 독성시험을 다시 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GLP에서 진행하는 독성시험은 비용이 수십억 단위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2차 약리학 (Secondary pharmacology) 연구에 따르면 카플라시주맙은 vWF의 A1 domain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였다(A2, A3 domain에 결합하지 않음).
 

upload_image

그림1. vWF monomer의 형태(출처: Sci Rep. 2018 Oct 30;8(1):16017)


또한 카플라시주맙은 인간 혈액 세포 (백혈구, 적혈구 등)와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부작용 측면에서 선택성은 매우 중요하다.

카플라시주맙 치료와 관련된 출혈 위험은 개코원숭이의 다중 출혈 모델에서 평가되었다. 약리학적 효능 용량을 주사한 후 피부 출혈 시간이 연장되었지만, 그 효과는 대조군보다 카플라시주맙에서 더 짧게 지속되었다.

카플라시주맙에 대한 특정 안전성 약리 평가는 수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안전성 약리 평가는 기니피그에 대한 13주 독성 연구와 사이노몰구스 원숭이에 대한 2주, 13주 및 26주 독성 연구의 일부로 수행되었다. 최대 40mg/kg/day 용량에서 우려되는 안전성 약리학적 발견은 보고되지 않았다. 즉 NOAEL은 40mg/kg/day다. NOAEL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은 반복독성시험에서 많이 쓰는 용어로 시험물질을 시험 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용량을 말한다.

기니피그에서 30일 동안 1일 1회 피하 투여(sc, 일반 독성 연구를 위한 투여 경로 및 임상 투여 경로 중 하나) 및 근육 투여(im, 생식 및 발생 독성 연구를 위한 경로 투여) 하여 흡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카플라시주맙

(단회투여, 기니피크)

피하

근육

반감기 (Half life)

25.32 hr

19.58 hr

분포용적 (Vd)

509.9 ml/kg

680.4 ml/kg

청소율 (Clearance)

23.30 ml/hr/kg

25.57 ml/hr/kg

흡수 (AUClast)

9.26 μg*hr/ml

15.71 μg*hr/ml

 

방사성 표지 된 카플라시주맙을 단독 또는 vWF와 함께 마우스에서 정맥 주사한 후 분포 연구에서 카플라시주맙-vWF복합투여는 간을 통해 천천히 제거된 반면, 카플라시주맙 단독은 신장을 통해 빠르게 제거되었다. 위를 제외한 다른 조직에서 방사성 표지 된 카플라시주맙의 양은 낮았다. 이러한 데이터는 카플라시주맙이 간을 통해 폰 vWF와 함께 제거되고, 과잉 카플라시주맙이 신장을 통해 제거됨을 나타낸다.

카플라시주맙의 장기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반복 투여 독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투여경로는 임상 투여 경로와 일치하는 피하 투여 경로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임상과 투여경로가 다르다면 임상에 적용하기가 무리가 있다.

Dunkin-Hartley 기니피그에서 13주 동안 매일 피하 투여하였고, 8주의 회복 기간 동안 독성을 관찰하였다. 투여용량은 0.4, 4. 40mg/kg/day다. Cynomolgus 원숭이에서 26주 동안 매일 피하 투여하였고, 13주의 회복 기간을 두었다.

기니 피그에서 카플라시주맙 관련 사망은 관찰되지 않았다. 40mg/kg/day 투여군 수컷 원숭이 한 마리는 빈혈 징후 및 자연 출혈 위험으로 인해 85일에 일찍 안락사되었다. 이 원숭이는 오른쪽 넓적다리에 현저한 피하 피막 혈종과 출혈이 있었다.

40mg/kg/day 투여군 수컷 기니피그에서 체중이 대조군에 비해 39% 감소하였다.

투약 기간 동안 카플라시주맙의 모든 용량에서 Factor VIII 및 vWF의 양이 감소하였고, 두 종 모두에서 RICO 분석에서 약효가 있었다(pharmacodynamic response). 원숭이에서 혈액학적(hematology) 변화에는 적혈구 수/헤모글로빈/팩 세포 부피 및 혈소판의 감소, 망상적혈구 증가 및 APTT 연장이 있다. 임상 화학(clinical chemistry) 결과에 따르면 기니피그와 원숭이 모두에서 글로불린의 증가와 알부민 및 알부민/글로불린 비율의 감소가 관찰된 반면, 총 단백질은 기니피그에서 증가했고, 총 빌리루빈은 원숭이에서 증가했다.

두 종 모두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그룹에서 투여 부위의 거시적 및 현미경적 소견(macroscopic/microscopic finding)이 관찰되었다. 기니피그에서 출혈성 피하 조직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투여 부위의 소견는 반복된 피하 투여와 관련이 있지만, 카플라시주맙은 원숭이에서 염증 변화의 악화를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

배태자(embryo-fetal) 생식독성시험은 임신한 기니피그에서 수행되었다. 투여용량은 0.05, 1, 20mg/kg/day이며, 근육주사하였다. 기니피그는 해부학적 이유로 정맥주사를 반복적으로 하기 어렵기 때문에 근육주사로 수행되었다. 시험 결과 배태자 발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NOAEL은 20mg/kg/day로 설정되었다. 노출에 기반한 안전역 또한 매우 높았다.

결론적으로, 비임상 약리학 시험 및 독성시험 데이터는 카플라시주맙의 해당 적응증의 허가를 뒷받침해 준다.

본 자료에 기술되어 있는 비임상 시험항목들은 아래와 같다. IND 든 NDA든 규제 기관에 승인 신청 시는 해당 시험 보고서를 모두 제출해야 한다.

보고서를 충실히 기록하는 게 중요하고 국문뿐 아니라 영문으로도 준비하는 게 좋다. 실험실에서 진행하는 Discovery 연구에서 임상을 위한 Development 개발로 넘어가게 되면 대부분 시험은 전문 CRO에서 진행하게 된다. 연구원 업무에서 본격적으로 전문 개발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시험항목이 엄청 많다. 신약개발은 엄청난 돈과 시간이 드는 일이 많는 거 같다.
 

1. Pharmacology

1) Primary pharmacology

Study Title

Study No.

Gyrolab-based affinity determination of the ALX-0081 Nanobody for multimeric vWF

A068-PHA-12-ISR-003-V1

Biological activity and specificity of ALX-0081

ALX-0081 TR012 V02

Assessment of in vitro potency of ALX0081 in TTP plasma and bioanalysis assays

24A0068150016

Assessment of in vitro target occupancy and target neutralization of ALX0081 in support of the PK/PD modelling for study ALX06812.1

24A0068150003

Effect of ALX0081 on VWF levels

A001PHA07ANR002 version 1

ALX0081 species crossreactivity

ALX0081 TR019

Pharmacology of ALX0081 for targeting cynomolgus monkey and guinea pig vWF and comparison with human

A068PHA10ISR001

V1

The interaction of the A1domain of various species with ALX0081

ALX0081 TR043


2) Secondary pharmacology

Study Title

Study No.

Effects of ALX-0081 on platelet adhesion to endothelial cell-derived ULVWF and on the activity of ADAMTS

ALX-0081 TR013

Specificity of ALX-0081: ALX-0081 does not interact with human blood cells

ALX-0081 TR020

Specificity of ALX-0081: ALX-0081 does not block the binding of the von Willebrand factor to fibrillar collagens

ALX-0081-TR057

Bleeding risk assessment study with ALX-0081 in baboons and comparison with Plavix and Reopro

ALX-0081-TR008

Efficacy and pharmacology of ALX-0081 in a Folts Model in baboons and comparison with Aspenic, Heparin, Plavix and Repro

ALX-0081-TR009

Safety Pharmacology

수행하지 않음


2. ADME/PK

Study Title

Study No.

1) 흡수: 기니피그 피하/근육주사투여 약동학 연구

20216-06

Report AB-07-02

2) 분포: Clearance and biodistribution of ALX-0081, free or in complex with human vWF, evaluated in Mice

ALX-0081-TR038

3) 배설: 2Week Subchronic Toxicity Study in

Cynomolgus Monkeys (LPT20095); Qualitative Detection of ALX0081 in Urine Samples

A001NC200600506


3. 독성시험 (Toxicology)

일반독성시험

13Week Subchronic Toxicity Study of ALX0081 by Repeated

Subcutaneous Administration Four Times Daily at 6Hour Intervals to Guinea Pigs

기니피그, 13주 반복투여독성시험, 피하주사, 하루에 4번

GLP 시험 기관에서 평가함

평가항목: 사망 여부, 임상증상, 체중 변화, 시력/청력검사,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요검사, 부검 (gross pathology), 장기 무게 변화, 조직 병리, 면역원성, 바이오마커, 독성동태 (TK)

26Week Repeated Dose Toxicity Study After Three Times Daily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ALX0081 in the Cynomolgus Monkey, Followed by a 13week Recovery Period

시나몰구스 원숭이, 26주 반복투여독성시험, 피하주사, 하루에 3번

GLP 시험기관에서 평가함

평가항목: 사망 여부, 임상증상, 체중 변화, 시력검사, 심전도,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요검사, 부검 (gross pathology), 장기 무게 변화, 조직 병리, 면역원성, 바이오마커, 독성동태 (TK)

단회투여독성시험, 시나몰구스원숭이, 피하/정맥주사

유전독성시험

진행하지 않음

발암성시험

진행하지 않음

생식발생독성시험

Seg I, 수태능 및 초기배 발생시험 (진행하지 않음)

Seg II, 배태자 발생시험

Seg III, 출생 전,후 발생 및 모체기능시험


다음 시간에는 임상시험 데이터 리뷰를 해보고자 한다.

  추천 1
  
인쇄하기 주소복사 트위터 공유 페이스북 공유 
  
루피D몽키

신약개발 업계에서 재직중인 과학자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신약을 개발하는 것이 꿈입니다.

다른 연재기사 보기 전체보기 >
[신약개발 case studies 시즌2] 카플라시주맙(Caplacizumab) - 최초의 nanobody 약물 [2]
카플리시주맙의 BLA 데이터 리뷰를 시작하고자 한다. 아래 내용은 FDA 홈페이지에 있는 CDER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의 mu...
[신약개발 case studies 시즌2] 카플라시주맙(Caplacizumab) - 최초의 nanobody 약물 [1]
아블링스 (Ablynx) 회사는 벨기에의 Vlaams Gewest 지역에 2001년에 설립되었다. 벨기에의 브뤼셀 자유대학교(VUB)에서 스핀아웃되었으며, 초기에는 벨기에 연구기관...
[신약개발 case studies] 20. 헤파린과 와파린-2
Warfarin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응고제이다. 영국에서는 적어도 인구의 1%, 80세 이상 인구의 8%가 정기적으로 투여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1920년대 캐...
본 기사는 네티즌에 의해 작성되었거나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로, BRIC의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또한 내용 중 개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사실확인을 꼭 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오류 신고하기]
 
  댓글 0 댓글작성: 회원 + SNS 연동  
첫 댓글을 달아주세요.
 
위로가기
동향 홈  |  동향FAQ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ACROBIOSYSTEMS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