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UG-WINDOW 처리영역 보기]
서비스바로가기  |  뉴스레터  |  오늘의 정보 회원가입   로그인
BRIC홈
검색어 자동완성
마이크로젠타스
배너광고안내
이전
다음
스폰서배너광고 안내  배너1 배너2 배너3 배너4
분류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계통유전체학(Phylogenomics) 연구동향
통합검색
동향
한빛사
Bio일정
VOD
실험
Bio마켓
BioJob
커뮤니티
농수식품
생물종
/
외부협력검색
카테고리  
검색범위  
기간설정   ~
뉴스    139건 정확도순날짜순
"알바보다 못하다는 자괴감"… 떠나는 이공계 대학원생
서울 상위권 대학의 공학계열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서 모씨(28)는 석·박사 과정 6년 동안 자신의 임금이 어떻게 측정돼 나오는지 알지 못한 채로 학위 과정을 밟고 있다. 그간 자신이 일한 시간에 못 ...
매일경제  |  2023.03.03
[나의 미국 포닥 도전기] 초보 대학원생, 미국 포닥을 꿈꾸다!
학부생일 때부터 미국에서 공부하셨거나 포닥 생활을 마치고 오신 분들은 나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다. 미디어를 통해 미국에 대해 접하면서 막연하게 동경한 것도 조금은 있었다. 그러나 대학원을 미 ...
Bio통신원(이윤경)  |  2023.03.03
"KAIST 대학원생 월급 평균 158만원...최저시급 못 미쳐"
동아사이언스  |  2023.02.08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졸업합니다!
할 일 많은 대학원생이 쓰는 연구실의 피, 땀, 눈물>의 글쓴이 ... 통합과정 7년의 생활을 마무리하고, 드디어 졸업합니다! 다음주부터 회사에 출근하게 되어 이번 글을 마지막으로 연재를 종료합니다 ...
Bio통신원(변서현)  |  2023.01.31
[연구자로 살아가기] 드디어 대학원생! 대학원 적응기
학부를 졸업하고 4년이 지나 서야 대학원을 진학했다. 그대로 취업을 했었다면 어땠을까? 취업 후에도 진급이나 여러가지 문제로 대학원을 다시 다니는 사람도 있었으니 아마도 최종 선택은 ...
Bio통신원(날다비)  |  2022.12.27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생명끈과 가방끈 사이 그 어딘가
대학원생들 사이에 도는 오래된 농담이다 (짤도 있다!). 대학원 ... 챙기기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가 되겠다. 그렇다면, 대학원생들끼리 왜 이런 말들을 하게 되었을까. 대학원생들은 왜 아프게 되었을까 ...
Bio통신원(변서현)  |  2022.11.24
[나의 실험실 이야기] 힘내라, 대학원생
다들 집에 갈 준비로 바쁩니다. 그런데 교수님의 방에는 한 대학원생이, 편의상 A라고 하겠습니다, 교수님과 대화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대화는 좀처럼 끝이 나지 않았고, 계속되었습니다 ...
Bio통신원(hbond)  |  2022.11.01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대학원생 조교는 어떤 일을 할까?
대학원생이라고 무조건 조교를 다 하는 건 아니지만, 각 연구실(실험실)에서 조교의 업무를 하는 사람들이 있답니다. 먼저 조교는 Teaching Assistant, TA로 교수님 밑에서 연구와 사무를 돕는 직위로 정의할 ...
Bio통신원(피치)  |  2022.10.19
[연구실 생활 6년 차,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들] 졸업논문은 어떻게 준비하는 걸까?
졸업논문을 완성한 지 벌써 2년 정도의 시간이 지났네요, 그때 당시 저는 저널에 투고하는 수준으로 졸업논문을 완성하다가 앓기도 하고 면역이 완전히 망가져 살았던 추억이 떠오르네요... 여러분은 ...
Bio통신원(피치)  |  2022.09.28
[연구실 생활을 해봅시다] 졸업을 해봅시다
생활을 하면서 낼 수 있는 성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학원생으로서 연구실 생활을 하는 이유는 연구실에 들어와서 연구를 진행하고, 궁극적으로는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입니다 ...
Bio통신원(에스프리)  |  2022.08.19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OO에서 살아남기
어렸을 때 유행했던 어린이용 만화책 중에 시리즈가 있었다. <무인도에서 살아남기>로 시작해, 사막, 빙하, 아마존, 지진 등 평소에 경험하기 어려운 극한 환경이나 재난에서 생존하 ...
Bio통신원(변서현)  |  2022.08.16
[극한직업 엄마 과학자] #58. 슬기로운 미쿡 생활(21) - 미국 초등 졸업, Summer School, Summer Camp
29일부터는 초등학교 옆에 있는 중학교로 등교를 한다. 한국은 2월 말에 졸업식을 해서 매우 추웠던 기억이 있지만, 미국에서 초등 졸업은 6월 14일 마지막 날이 아닌 날에 행사를 한다. 왜 졸업식을 ...
Bio통신원(만박사)  |  2022.08.11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논문 쓰는 건 처음이라
정말,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쓸 짬이 생겼다. 실제로 시간적 여유가 생긴 것보다는, 정신적 여유가 생겼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그동안 글을 부지런히 쓰지 못한 이유는 다른 종류의 글에 모든 에너지 ...
Bio통신원(변서현)  |  2022.06.03
[대학원생 S-17 다이어리] #10. 나의 Impact Factor는 몇 점일까?
벚꽃을 시작으로 수많은 꽃들이 자신의 차례를 기다렸다는 듯이 피고 지는 중이다. 아름답게 피어난 꽃들을 바라보고, 곧 피어날 꽃들을 기대하는 시간들로 가득 채운 봄도 어느 새 절정을 지나고 있 ...
Bio통신원(만다린)  |  2022.05.11
[대학원생 S-17 다이어리] #09. 개구리 같았던 나의 대학원 생활
며칠 전부터 꽃망울이 하나둘씩 고개를 내밀더니, 이제는 눈에 띄게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다. 입춘도, 우수도, 경칩도 지났으니 봄이 찾아오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갑작스럽게 찾아온 봄에 마음 ...
Bio통신원(만다린)  |  2022.04.04
[대학원생 S-17 다이어리] #08. 삶의, 삶에 의한, 삶을 위한 과학
많은 것들을 잠시 내려두고, 멈추어 돌아보게 되었다. 대학원생인 나에게도 코로나19는 많은 영향을 미쳤다 ...
Bio통신원(만다린)  |  2022.03.16
[대학원생 S-17 다이어리] #07. 주니어 연구자와 시니어 연구자 그사이 어딘가
임인년 새해가 밝았다. 어느덧, 내가 연구실에서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한 것도 벌써 여섯 해째이다. 매해의 시작에는 지나온 한 해를 회고하는 묵직한 자아 성찰과 원대한 다음 해의 계획이 만드는 약 ...
Bio통신원(만다린)  |  2022.01.27
[랩노트] 쓰레기가 너무 많다
쓰레기가 너무 많다. 일주일 전에 모조리 가져다 버렸는데, 어느새 이렇게 쌓였는지 모르겠다. 다섯 개의 쓰레기통이 가득 찬 거로 모자라 두 개의 의료폐기물 통도 넘쳐흐른다. 도대체 이 많은 쓰레 ...
Bio통신원(곽민준)  |  2022.01.26
[할일 많은 대학원생의 피땀눈물] 연구노트를 잘 씁시다
이번 주에는 연구노트를 정리했다. 평소 실험할 때는 이면지를 클립파일에 끼워 실험할 때 들고 다니면서 편하게 기록을 하는 편인데, 낱장의 종이 뭉텅이를 그냥 둘 수는 없어 주기적으로 연구노트 ...
Bio통신원(변서현)  |  2022.01.18
[대학원생 S-17 다이어리] #06. 졸업모를 쓰려는 자, 논문을 쓰자.
깜박거리는 커서를 한참 동안 멍하니 바라보다, 한 시간 만에 겨우 한 문장을 적어본다. 적어 놓은 문장을 또 한참 동안 바라보다, 어딘가 마음에 들지 않아 이내 지워 버리고 만다. 몇 문장 적어 내지 ...
Bio통신원(만다린)  |  2021.12.14
외부협력검색
연구윤리정보센터 검색
ZEUS 활용장비 검색
NDSL(논문/특허/보고서) 검색
KCI(국내학술지) 검색
[공지] 한국연구재단 검색은 해당 시스템 종료로 인해 서비스 종료되었습니다.
주사전자현미경2(SCANNING ELECTRON MICROSCOPE 2)
EVO 10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8.06.27
실시간 인기 검색어
cell counting
bioinformatics
신약 2
줄기세포 15
위로가기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BRIC소개  |  이용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우 37673 경북 포항시 남구 청암로 77 POSTECH 생물학연구정보센터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  문의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유튜브 유튜브   RSS서비스 RSS
에펜도르프코리아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