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C Home
회원가입
ㅣ
로그인
웨비나
란 PC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접속하는 세미나입니다.
학술웨비나 후원기관 모집 >
개최문의 (발표자용)
생쥐 및 사람 유래 타액선 오가노이드 제작 및 활용 [Nat. Commun.]
타액선(침샘)은 소화, 면역 및 구강점막의 항상성 유지에 도움을 주는 침을 분비하는 외분비선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타액선 오가노이드의 배양 및 장기배양에 있어서 한계점이 존재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생쥐 및 사람 유래 타액선 오가노이드의 장...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8월 19일 (금)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김동현 (연세대학교)
약력
PDF (149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생체 내에서 분해/흡수되는 무선 뇌 화학시스템 개발 [Adv. Mater.]
기존의 의료 기술들은 체내의 생화학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아직 기술적인 한계 (무선동작, 민감도, 선택성, 지속성 등)가 있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나노물질과 실리콘 기반의 유연한 전자소자를 이용해서 뇌 안 신경전달물질의...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8월 23일 (화) 오후 3시 (한국시간)
연사
양승민 (고려대학교)
약력
PDF (247 KB)
진행
발표 20분 / 토론, 질의응답 15분
참가 신청하기
►
발생 과정에 따른 조혈모세포 세포 외 조절 기전의 변화 [Sci. Adv., ]
체내 줄기 세포들은 개체의 생리학적 요구에 따라 그 특징이 변화합니다. 예를 들어 태아의 줄기 세포들은 개체의 성장을 위해 빠른 속도로 증식하지만, 성체에서는 주로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다른 특성에 맞추어 줄기 세포를 조절하는 세포 내 기전...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8월 24일 (수)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이여진 (University of Toronto)
약력
PDF (59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아밀로이드-타우 상호작용 모델을 통한 알츠하이머 기전 [Neuron]
뇌의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침착 및 타우(tau) 신경섬유 다발(neurofibrillary tangle) 형성은 알츠하이머병에서 볼 수 있는 병리학적 특징입니다. 이 중 타우가 쌓인 정도나 퍼진 양상은 증상의 종류나 중증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8월 25일 (목) 오전 11시 (한국시간)
연사
이화진 (고려대학교, 현 (주)뉴로엑스티)
약력
PDF (234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단분자 자기 집게 기술(single-molecule magnetic tweezers)을 이용한 당 수송 막 단백질 (GLUT3)의 완전한 접힘 경로 규명[Nat. Chem. Biol.]
세포 내부는 다양한 생체분자로 구성된 막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막 간의 물질 수송 및 정보 전달은 세포의 활동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다양한 막 단백질이 분포해 있습니다. 그런데 막 단백질은 인지질 이중막에 존재하는...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9월 5일 (월)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이찬우 (서울대학교)
약력
PDF (133 KB)
진행
발표 35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Mitophagy에서 리소좀 Ca
2+
에 의한 TFEB 활성화 및 ER -> 리소좀 Ca
2+
refilling [Autophagy]
Although the role of pancreatic β-cell macroautophagy/autophagy is well known, that of β-cell mitophagy is unclear.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9월 6일 (화)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이명식 (순천향대학교)
약력
PDF (459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뇌 속 반응성 별세포의 요소회로로 인한 치매 기전 연구 [Cell Metab.]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에서 활성화된 별세포 (astrocyte)의 요소회로(urea cycle)의 변화와 역할에 관한 연구입니다. 주로 간에서 유해한 암모니아를 해독하여 요소를 생성하는 요소회로가 뇌 속 별세포에도 존재함을 밝혔으며, 나아가 반응성 별세포에서 활...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9월 7일 (수)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주연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약력
PDF (184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다중오믹스-뇌 오가노이드 기반 바이오 융합과학 (Bio-convergence)을 통한 알츠하이머병 환자 하위 군집 발견 및 원인 규명 연구 [Adv. Sci.]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같은 대부분의 퇴행성 뇌질환의 경우,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기에 치료제를 개발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잘 알려진 질병의 대표적인 특성 (phenotype)뿐만 아니라, 그 안에 숨겨진 환자의 하위 군집 (환자 아형)을 발견하고 맞춤형...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9월 15일 (목)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박종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University College of London)
약력
PDF (724 KB)
진행
발표 4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수술 후 사망률 예측 인공지능 모델의 다기관 검증연구 [npj Digit. Med.]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의료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의 대표적인 한계점은 overfitting이라는 문제로 인하여 다른 임상 환경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있었습니다. 본 연구...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9월 19일 (월)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이상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약력
PDF (158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참가 신청하기
►
대체 스플라이싱 이소형이 Hippo 신호 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 [Nucleic Acids Res.]
대체 스플라이싱은 단일 유전자가 여러 단백질을 생성하여 유기체의 복잡성을 부여하는 핵심 조절 메커니즘입니다. 하지만 대체 스플라이싱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이소형이 신호 전달 경로에 미치는 역할은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플라이싱 이소...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2년 9월 21일 (수)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최선경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화학과)
약력
PDF (92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15분
참가 신청하기
►
개최문의 (기업용)
현재 개최 예정 세미나가 없습니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생명과학관련 연구정보 및 신기술들을 연구자들에게 소개하실 기업을 찾습니다.
자세히보기 >
참석인원에는 제한이 있으며 웨비나에 참가를 희망하는 분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참가 신청 후 아무런 연락없이 웨비나에 참석하지 않는 경우 자리가 비워지게 되므로
참석하지 않으실 경우, 반드시 개최전에 참가신청을 취소
하는 매너를 지켜주시길 바랍니다.
참가 신청 취소하러 가기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선조체 회로로 보는 강박증의 뇌구조 [Mol. Psychiatr.]
일시: 08.10
|
연사: 박현규 (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몸 속에서 녹아 없어지는 심장박동 조율기와 이를 이용한 미래의료기술 [Science]
일시: 08.09
|
연사: 최연식 (Northwestern University)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HIFa를 통한 지방세포 열생산 조절기전 연구 [Nat. Commun.]
일시: 08.03
|
연사: 한지슬 (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공간 후성전사체 분석을 통한 삼중음성유방암 미세환경상의 암 줄기세포 연구 [Nat. Commun. ]
일시: 08.02
|
연사: 이충원 (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체중 부하로 인한 발바닥 흑색종의 핵막 파열 [Nat. Commun.]
일시: 07.28
|
연사: 김현석 (KAIST)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위샘 예비 줄기 세포 (reserve stem cell) 의 활성화 조절 스위치 동정 [Cell Stem Cell]
일시: 07.28
|
연사: 이지현 (IMBA - Institute of Molecular Biotechnology)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비만 지방세포 노화유발 기전 및 영향력 연구 [Cell Metab.]
일시: 07.21
|
연사: 이궁 (서울대학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PICASSO 기술을 활용한 초다중 (ultra-multiplexed) 단백질 동시 이미징 [Nat. Commun.]
일시: 07.15
|
연사: 장재범 (한국과학기술원)
기업기술웨비나
Scalable AAV Manufacturing Strategies by GenScript ProBio [GenScript ProBio...
일시: 07.14
|
연사: Dr. Xiao Pan (GenScript ProBio)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정밀 의학 구현을 위한 간암의 통합적 분자 아형 분류 [Hepatology]
일시: 07.08
|
연사: 이성환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inar@ibri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