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C Home 회원가입 로그인
BRICWebinar 웨비나란 PC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접속하는 세미나입니다.   
웨비나란? 학술웨비나 기업기술웨비나 기획웨비나
Webinar 접속기기 안내
Window/Mac 운영체제의 PC/노트북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신경 손상 후 미각 수용체 세포의 재생을 향상시키는 상피 가소성 [Exp. Mol. Med]
아니쉬 아쇽 아드파이카
 일시 
   2023년 5월 10일 (수)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아니쉬 아쇽 아드파이카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세미나 개요
미뢰는 미각 자극을 감지하고 뇌로 전달하는 것을 돕는 혀의 상피 감각 기관임. 미뢰는 세 가지 유형의 미각수용체세포(Type I, II, III)와 미각전구세포(Type IV)를 포함하고, 미각수용체세포는 8-12일의 수명을 가지며 미각전구세포에 의해 지속적으로 재생됨. 미뢰는 지속적인 재생을 위해 정상적인 신경 분포가 이루어져 있어야 하고, 만약 신경 분포에 이상이 발생할 시 퇴화하게 됨. 그러나 일부 소량의 미각수용체세포는 설인두신경의 절단 후 혀유두주위 상피에 남아 신경과 독립적으로 생존하는 것이 관찰되었음. 이는 Lgr5를 발현하는 줄기세포와 Keratin 14을 발현하는 전구세포 이외에 다른 세포가 미뢰 재생에 관여함을 시사하는 결과임. 분화된 미각수용체세포가 발현하는 Keratin 8의 lineage tracing을 수행하며 미뢰 내에 6주 이상 존재하는 소량의 미각수용체세포가 전구세포 marker (K14, Sox2, PCNA)를 발현하고 재생 동안 미각 및 혀 상피 세포를 생성함을 확인하였음. 또한 in vitro organoid formation 분석은 장기간 미뢰 내에 존재하는 분화된 미각수용체세포가 신경 절단 후 미각 줄기/전구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획득하고 미각 전구세포, 분화된 미각수용체세포를 포함하는 오가노이드를 형성함을 확인하였음.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분화된 미각수용체세포 중 일부가 줄기/전구세포의 특성을 획득하는 탈분화 과정을 겪어 신경 손상 후 미뢰 재생에 참여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음.

상피가소성, 미뢰, 레이블 유지 세포
세미나 보기
관련논문 보기
Epithelial plasticity enhances regeneration of committed taste receptor cells following nerve injury
Exp. Mol. Med., 2023 Jan;55(1):171-182 | https://doi.org/10.1038/s12276-022-00924-8
목록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Contact member@ibri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