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C Home
회원가입
ㅣ
로그인
웨비나
란 PC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접속하는 세미나입니다.
BRIC 학술웨비나 후원기관 모집 >
개최문의 (발표자용)
Calcineurin inhibitor에 의한 췌장 베타 세포 기능 부전 및 이식후 당뇨병에서 TFEB 활성 저하 및 미토파지 저해의 역할 [Autophagy]
Macroautophagy/autophagy or mitophagy plays crucial roles in the maintenance of pancreatic -cell function. PPP3/calcineurin can modulate the ac...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2월 10일 (금) 오후 3시 (한국시간)
연사
이명식 (순천향대학교)
약력
PDF (459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참가 신청하기
►
SERPIN Loaded Extracellular vesicles을 활용한 당뇨모델 내 상처조직 재생조절 [J. Nanobiotechnol.]
Extracellular vesicles (EVs)은 피부조직재생 과정의 염증단계에서 세포 간의 신호를 매개하고, 상처치유의 역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생물학적 역학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남아있습니다...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2월 13일 (월)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박동준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약력
PDF (305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2,3-부탄디올 생산을 위한 효모 대사선의 재배치와 두가지 다운스트림 응용: 메틸 에틸 케톤 및 농업 생물 촉진제 생산의 기술 경제적 분석 및 전과정 평가 [Chem. Eng. J.]
본 연구에서는, 주정 발효 균주인 사카로마이세스 효모에서 에탄올 생성을 제한한 후 세포 내 발생하는 산화·환원 불균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 효모에서 에탄올을 제외한 다른 표적 물질 (2,3-부탄디올)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에탄올 생...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2월 14일 (화)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이재원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약력
PDF (240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운동학습 과정동안 해마체-운동피질의 상호작용[Nature]
수면은 서술기억과 비서술기억의 공고화 및 뇌의 가소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서술기억은 사실과 사건에 관한 기억으로 정의가 됩니다. 반면 운동기억은 운동화 끈을 묶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기술에 관한 기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2월 16일 (목)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김재경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 San Francisco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약력
PDF (83 KB)
진행
발표 40분 / 토론, 질의응답 15분
참가 신청하기
►
알츠하이머병에서의 B림프구 프로파일링 및 미세아교세포와의 연관성 연구 [Cell Reports.]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병리학적 현상인 뇌 속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기전과 혈액 B림프구와의 연관성은 잘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종적 추적 데이터를 확보하여 혈액 B림프구와의 상관관계를 밝혔을 뿐만 아니라, 차세대 시퀀싱 기반...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2월 21일 (화)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박종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University College London)
약력
PDF (753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참가 신청하기
►
DNA 압타머의 선택 및 인간 혈청에서 지카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전기적 바이오센서로서의 응용[Nano Converg]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는 flavivirus 속이며 매우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입니다. 지카 바이러스의 정화한 진단은 COVID-19 이후 전 세계적인 pandemic을 통제하기 위한 중요한 문제입니다. 우리는 인간 혈청에서 지카 바이러스 검출을...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2월 21일 (화) 오후 3시 (한국시간)
연사
박고은 (광운대학교)
약력
PDF (35 KB)
진행
발표 2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참가 신청하기
►
Adherens junction에 의한 Notch 신호 및 아밀로이드-베타 형성의 시공간적 조절기전 [Nat. Cell Biol.]
조직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otch 신호 활성화 과정과 알츠하이머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 (Aβ) 형성은 흥미롭게도 모두 세포막에 존재하는 두 가지 효소에 의한 순차적인 절단 과정 (proteolysis)을 거칩니다. 그러나 순차적 절단 과정...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2월 23일 (목)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곽민석 (연세대학교)
약력
PDF (129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일산화질소 농축 플라즈마 활성수가 인간 폐 숙주 세포에서 229E 코로나바이러스를 불활화하고, 항바이러스 반응 유전자를 변형시킨다.[Bioact. Mater.]
• NO-enriched plasma-activated water (NO-PAW) was prepared using microwave plasma generated gas. • NO-PAW inactivated human coronavirus 229E •...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2월 23일 (목)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Nagendra Kumar Kaushik (광운대학교)
약력
PDF (386 KB)
진행
발표 4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참가 신청하기
►
해마 하위영역 CA1과 CA3이 환경의 변화를 처리하는 방식 [Cell Reports]
설치류의 해마에서 관찰되는 장소 세포는 해마가 동물이 인지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인지 지도’ 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장소 세포가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공간의 변화를 표상함에 따라 이들의 활동이 갖는 의미는 불분명하게 남아있다. 우...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3월 7일 (화)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신요섭 (서울대학교)
약력
PDF (384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참가 신청하기
►
다중 산란 노이즈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효과적으로 수차를 보정하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두개골이 존재하는 상태로 쥐의 뇌세포를 관찰한 적응 광학 현미경 [Sci. Adv.]
생체 조직의 깊은 곳에서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수차를 보정해 주어야만 합니다. 그러나 강한 다중 산란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 수차를 정량화하고 이를 보정해 주는 것이 아주 어렵습니다. 저는 샘플에서 반사된 빛 중에서 단일 산란 성분들이 가지는...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3월 8일 (수) 오후 3시 (한국시간)
연사
조용현 (기초과학연구원, 고려대학교)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참가 신청하기
►
간암 발생 중에 일어나는 acetyl-CoA 대사 리프로그래밍 [Mol. Cell.]
간암은 치사율이 매우 높은 암 중 하나이며 병세가 악화될 때까지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기에 진단이 늦는 것도 치사율을 높이는 이유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병변으로부터 간암이 발전된 환자들에게서 바늘 생검 검체를 얻고 멀티 오믹스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또...
더보기(안내전체보기) >
일시
2023년 3월 9일 (목)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박수진 (IBS)
약력
PDF (151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참가 신청하기
►
참석인원에는 제한이 있으며 웨비나에 참가를 희망하는 분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참가 신청 후 아무런 연락없이 웨비나에 참석하지 않는 경우 자리가 비워지게 되므로
참석하지 않으실 경우, 반드시 개최전에 참가신청을 취소
하는 매너를 지켜주시길 바랍니다.
참가 신청 취소하러 가기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인터류킨-2 표면발현 엔지니어링을 이용한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의 항암효과 규명 [J. Extracell. Vesicles.]
일시: 02.08
|
연사: 정도경 (경북대학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RNA chaperone (FinO/ProQ)의 선택적 sRNA인식에 대한 구조적 이해 [Nat. Commun.]
일시: 02.03
|
연사: 김형진 (University of Alberta)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골수 안 혈관내피세포의 새로운 배양법 발견 및 그들의 이질성에 대한 분자세포생물학적 연구[Nat. Commun.]
일시: 02.02
|
연사: 김영웅 (Center for Genome Engineering at IBS)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염증과 인지장애의 열쇠, 마오비 단백질[Exp. Mol. Med.]
일시: 01.31
|
연사: 원우진 (기초과학연구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질병 치료제로써의 표적 단백질 분해기술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에 대한 소개 및 미래방향[Nu...
일시: 01.31
|
연사: 박광수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Cntnap2-dependent molecular network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revealed t...
일시: 01.19
|
연사: 장우영 (연세대학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아밀로이드-베타 특이적 조절T세포의 치매 치료 효과 [Theranostics]
일시: 01.19
|
연사: 박선영 (경희대학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이소류신-tRNA 합성효소의 UBX 도메인을 통한 BRCA1의 안정성 조절 [Nat. Commun.]
일시: 01.12
|
연사: 정시성 (POSTECH)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소아천식 가족 기반 코호트를 활용한 전장유전체분석 연구 [Eur. Resp. J.]
일시: 01.12
|
연사: 이상헌 (단국대학교)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코로나 바이러스 단백질과 인간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 지도 [Nat. Biotechnol.]
일시: 01.10
|
연사: 김대겸 (Roswell Park Comprehensive Cancer Cente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
ㆍ
02
ㆍ
03
ㆍ
04
ㆍ
05
ㆍ
06
ㆍ
07
ㆍ
08
ㆍ
09
ㆍ
10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inar@ibri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