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이공계 포닥 중 민간 진출 희망 12.6% 불과… 수요 불일치에도 민간 진출 돕는 정부사업 부족

통합검색

이공계 포닥 중 민간 진출 희망 12.6% 불과… 수요 불일치에도 민간 진출 돕는 정부사업 부족

2022.06.09 18:0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민간에서 이공계 고급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5000명 규모 국내 이공계 박사후연구원 인력 중 민간 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비율은 8명 중 1명 꼴인 12.6%에 불과해 공급과 수요 불일치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박사후연구원 활동을 지원하는 정부 사업들도 대학이나 공공부문 진출을 전제로 하는 경우가 많고 민간진출을 돕는 사업은 1건에 불과해 수요 불일치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이공계 고급 인력을 민간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민간진출을 희망하는 박사후연구원 대상 지원을 강화하는 등 수요 확대 정책을 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현황과 지원사업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국내 박사학위 취득자는 1만6139명이다. 1990년 2481명 대비 6.5배 증가했다. 1만6139명 중 이공계열은 9525명, 비이공계열은 6614명이다. 최근 30년간 이공계열과 비이공계열 모두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연구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박사후연구원의 수도 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3년차 이내 이공계 박사후연구원은 약 5000명으로 1년차 약 2300명, 2년차 약 1600명, 3년차 약 1100명 수준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이 박사학위 취득 후 추적조사에 동의한 10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박사 중 박사후연구원 진학 비율은 20.4%로 나타났다. 자연계열이 39.9%로 높고 공학계열도 21.3%로 높았다.

 

고급인력의 배출은 늘어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공공부문 일자리를 원해 일자리 수요 불균형이 심각했다. 박사후연구원 중 대학 진출을 희망하는 비율은 49.7%, 공공연구기관 진출 희망 비율은 28.4%로 78.1%가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 진출을 원했다. 민간진출을 원하는 비율은 12.6%에 불과했다. 하지만 출연연 등 공공부문 박사급 일자리는 매년 1000명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박사학위 과정에서 축적한 역량과 기업에서 요구하는 역량의 차이 때문에 민간부문으로 진출을 꺼리는 경우도 많다”며 “민간기업 입장에서도 박사급 인력을 채용할 의사는 있으나 요구역량의 차이 때문에 채용을 꺼리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정부가 민간의 박사후연구원 수요 충족을 위한 지원은 ‘혁신성장 선도 고급연구인재 성장지원(KIURI, 키우리)’사업이 유일하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시범 운영하는 키우리 사업은 연구에 기업을 참여시켜 산업계 진출을 돕는 민간진출 지원책이다. 창의도전 연구기반지원사업이나 세종과학펠로우십 같은 다른 박사후연구원 지원사업은 인력양성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은 아예 공공부문 진출을 돕는 사업이다.

 

보고서는 “연구개발 과정을 통해 기업과 박사후연구원이 요구사항을 맞춰가는 중간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등 전체 반사후연구원 대상 경력 경로 확대를 지원해야 한다”며 키우리 사업을 시범추진 형태를 넘어 본격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민간 진출 희망 박사후연구원에 대한 지원 강화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를 발간한 박현준 STEPI 대외협력팀 선임연구원은 “박사후연구원 노동시장 불안정성의 근본 원인은 수급 구조로 배출되는 박사인력과 공공부문 일자리 미스매치가 큰 요인”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대학원 구조조정을 통한 공급 조절과 민간 부문 진출 등의 수요 확대 정책이 동시에 필요하며 누적되는 박사후연구원 문제 개선을 위한 단기 정책 대응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 선임연구원은 “박사후연구원은 균일한 집단이 아니며 경력, 연구역량, 희망진로 등에 따라 넓은 스펙트럼을 갖는 게 특징”이라며 “특성에 따라 사업 규모, 대상 선정, 평가, 사후 관리 등 차별화된 박사후연구원 지원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현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대외협력팀 선임연구원과 박기범 국가연구개발분석단 선임연구위원, 김지선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연구원(왼쪽부터)은 국내 박사후연구원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9일 발간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공
박현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대외협력팀 선임연구원과 박기범 국가연구개발분석단 선임연구위원, 김지선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연구원(왼쪽부터)은 국내 박사후연구원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9일 발간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공

관련 태그 뉴스

이 기사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기사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과학기술과 관련된 분야에서 소개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고발 소재 등이 있으면 주저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