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서울대병원 연구진, 비후성심근증 정신질환 연관성 규명

강중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2.08 10:28

수정 2022.12.08 10:28

서울대병원 다학제 연구팀, 세계 최초로 규명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비후성심근증' 질환
약 1만6000명의 환자, 일반인 대상 비교분석
서울대병원 제공.
서울대병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비후성심근증이 정신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순환기내과 김형관·박준빈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 공동연구팀이 약 1만6000여명의 비후성심근증 환자 및 일반인을 추적 관찰해 비후성심근증 진단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8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비후성심근증은 유전적으로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연간 사망률 1%로 비교적 예후가 좋지만 부정맥을 일으켜 급사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비후성심근증을 진단받은 환자는 질병에 대처하면서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그동안 비후성심근증과 정신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정확히 연구된 바가 없었다.
환자의 정신건강은 약물 순응도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치료를 위해 연관성을 규명해내는 것이 중요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0~2016년 사이 비후성심근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4046명과 성향-점수 매칭을 통해 선택된 대조군 1만2138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기분장애, 불안장애, 스트레스 장애, 신체화 장애) 발생 위험을 4.1년간 추적 관찰했다.

관찰 결과, 환자군의 전체적인 정신질환 발생위험은 대조군보다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장애 및 불안·스트레스·신체화 장애로 구분해 각각 분석했을 때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됐다.

다음으로 비후성심근증 진단 후 시기별로 구분해 분석이 이뤄졌다. 환자군의 정신질환 발생위험은 진단 후 △1개월 미만 △1개월 이상~1년 미만 각각 3.1배, 2.3배로 특히 높았다. △1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에서는 각각 2.1배, 1.3배 높았다.

정신질환 발생위험은 비후성심근증 진단 직후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비후성심근증 진단 후 1년 동안은 환자를 진료할 때 정신건강 관리 측면에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추가적으로 하위 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 시 60세 미만인 경우와 고혈압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대조군에 비해 정신질환 발생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교수는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진료에서는 포괄적인 임상 평가가 필요한데, 내과 진료에서 정신건강을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고위험 환자를 적절한 시기에 정신건강의학과에 의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정신질환 발생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와 하위 집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혈관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 ‘유럽예방심장학회지(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IF=8.526)’ 최근호에 게재됐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fnSurvey